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6, No. 3, pp.345-360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3
Received 07 Aug 2012 Revised 06 Sep 2012 Accepted 08 Aug 2013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08.26.3.345

A Study of the Manufacture of Wrapping Clothes Using Rice-Cake Patterns through Naturale Dyeing

JungJinsoun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Semyung University, Jecheon, Korea
천연염색을 통한 떡살문양 보자기 제작에 관한 연구

Correspondence to: Jinsoun Jung bobejin@semyung.ac.kr

Background Long ago in the past, because languages were yet undeveloped, symbols in the forms of letters and patterns were used as means of communication. A pattern is a nation?s cultural product and expresses the nation?s consciousness and life. In Korea, the kinds of traditional motives vary greatly and they have very high artistic value. A rice-cake is a board that prints patterns on jeolpyeon. The patterns mainly feature geometric motives that display proportional beauty. Wrapping cloth has long been one of the daily necessities that has been indispensable to Korean people?s daily life, and has been used to wrap or cover things. In the olden days, women prayed for longevity by sewing pieces of clothing as the occasion demanded while collecting pieces of clothing thrown away after clothes or blankets were made. In this study, I tried to apply Korean rice-cake patterns to manufacture wrapping clothes.

Methods First I selected five Korean rice-cake patterns following literature review of Korean rice-cake patterns. The motives were reconstituted as patterns for the manufacture of wrapping clothes using the illustrator 10.0 computer graphic program. Ramie and silk used for the manufacture of wrapping clothes were dyed through the process of natural dyeing with various natural materials.

Results Using the fabrics I made five wrapping clothing items.

Conclusion I could feel naturalness from ramie and silk dyed through the process of natural dyeing. I think that the simplicity of ramie and the politeness of silk was well expressed in works.

초록

연구배경 언어가 발달하지 못한 오랜 옛날에는 기호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문자와 문양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문양은 한 민족의 문화적 소산으로, 그 민족의 의식과 삶의 표현이며 오랜 역사를 통하여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한 민족의 전통 문양으로 정착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양도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우수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 중에서도 떡살은 절편의 표면에 무늬를 찍어내는 판으로서, 그 문양은 비례미가 물씬 느껴지는 기하학적인 문양이 주류를 이룬다. 예로부터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덮을 때 사용 되었던 생활필수품 중의 하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떡살문양이 지니고 있는 기하학적인 비례미와 천연염색에서 얻을 수 있는 은근하고 깊이 있는 색감을 보자기 제작에 응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떡살문양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네 점의 떡살문양을 선정,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일러스트레이터10.0을 이용하여 보자기 제작을 위한 패턴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보자기 제작에 사용된 천은 모시와 명주이며 그것을 여러 가지 천연염재로 염색 하였다.

연구결과 그리하여 다섯 점의 보자기를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보자기 제작에 사용된 명주와 모시에 천연염색을 함으로써 차분하면서도 은은한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모시의 소박함과 명주의 은근함이 작품에 잘 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Natural dyeing, Rice-cake pattern, Wrapping clothe, 천연염색, 떡살문양, 보자기

1. 디자인 배경

21세기는 문화를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로 간주하는 문화의 세기로 세계 각 나라에서는 문화의 진흥을 위한 계획 수립에 부심하고 있다. 이렇듯 세계 각국은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자국의 전통과 의식이 담긴 문화상품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산업의 개발 및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긴 역사와 풍부한 문화 자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문화 이미지 면에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해외시장과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독특한 문화유산에 바탕을 두어 현대적 기호와 감각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국제 경쟁력이 있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 육성하여야 한다. 떡살은 선조들의 삶과 문화가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판으로 한민족의 독자적인 조형 감각이 충분히 발휘된 우리 민족의 공예품이다. 기교를 부리지 않아 단순하지만 조형 감각과 현대적 디자인이 혼합된 참신성이 돋보인다. 또한 떡살은 손쉽게 떡에 문양을 넣을 수 있는 데다 만드는 사람의 성품이 떡살에 배어있어 우리 조상의 그 시대 생활의 흐름을 느끼게 해 준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라는 속담처럼 우리의 선조들은 떡살에 새겨진 문양으로 떡을 아름답게 장식하였고 일상의 소망과 기원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떡살은 먹는 음식에서도 아름다움을 추구한 우리 선조들의 미적 감각과 풍류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전통문화이다(Kim & Oh, 2011). 떡살문양을 도자기(Lee, 1999 : Chung, 2000 : Han, 1981), 액세서리(Kim, 2007, Kim, 2002 : Jang, 2008), 패션(Kim, 2006 : kim, 2000 : Kim, 1992 : Lee, 1994 : Lee, 2001: Park, 2002 : Ha, 1998) 및 직물 디자인(Kim, 1984 : Kim, 2012 : Yoo, 2008)에 응용한 연구들은 많으나 떡살문양을 보자기 제작에 활용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떡살 문양에서 느낄 수 있는 기하학적인 미와 천연염색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스러움을 보자기 제작에 응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전통적이면서 현대적인 미를 살린 보자기를 제작, 우리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다. 그를 위하여 먼저 떡살문양을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그 중 네 점의 떡살문양을 선정하여 보자기 제작을 위한 패턴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시판되는 천을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 황벽, 소목, 자근, 인도람 및 홍화 등의 천연 염재를 이용하여 모시 및 명주 등에 염색한다. 여러 가지 색으로 천연염색한 모시 및 명주를 패턴에 따라 재단하고 바느질하여 실생활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보자기 다섯 점을 제작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떡살문양의 유형을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고 그 중 네 점의 문양을 선별하여 보자기 제작을 위한 패턴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일러스트레이터 10.0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고, 여러 가지 천연염재로 모시 및 명주 등에 염색하여 다양한 색의 천을 얻어 사용하였다. 다양한 색으로 염색된 모시 및 명주를 패턴에 따라 재단하고 바느질하여 실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보자기 다섯 점을 제작하였다.


3. 이론적 배경

3.1. 떡살

(1) 떡살이란?

‘떡살’이라는 말은 떡에 살을 부여한다는 뜻으로, 떡에 무늬를 찍는 것을 살박는 라고 일컬어 왔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 있듯이 무심한 흰떡에 살을 박아 넣음으로써 음식에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우리 조상들의 미적 감각을 엿볼 수 있다(Lee, 1994). 떡살은 날마다 사용된 일용품은 아니었으나 신께 풍요를 기원하거나 조상께 드리는 제사, 각종 행사나 의식에 빠지지 않은 떡과 관련된 생활기구로서 아름다움의 추구뿐만 아니라 기구(祈求)의 의식을 표현함으로써 주술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Shin, 1970).

(2) 떡살문양의 종류

떡살문양은 도장과 같이 찍어내기 위하여 도식화하여 단순하게 표현하였다. 사실적인 문양도 등장하지만 추상적이고 도안화된 형태의 비중이 높다. 떡살문양에는 자연현상이나 자연 속의 동·식물 등을 모방한 문양이 많으며 기하학적으로 표현된 경우 역시 상당하다. 떡살문양은 단독으로 쓰이기보다 다른 문양과 함께 복합적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특히 귀갑문, 뇌문, 격자문, 국수문등의 기하문의 경우 동물문, 식물문, 문자문 등의 배경 문양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떡살문양은 비례미가 물씬 느껴지는 기하학적인 문양이 주류를 이루며 크게 식물문양, 동물문양, 기하문양, 문자문양으로 분류되는데 문자문양은 기하문양에 포함되기도 한다. 식물문양에는 꽃문양이 주로 애용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사랑받은 것은 국화문양이다. 풍성한 꽃잎으로 국화가 가지는 이미지가 경사스러운 음식인 떡과 잘 어울렸기 때문에 식물무늬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성질이 길상의 징조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Heo, 1995). 국화는 복을 가져다주는 신기한 꽃으로 불로장생 및 상서로운 영초로서 예로부터 숭상되어왔다(Lee, 2005). 당초문은 떡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주로 넝쿨이나 꽃과 잎이 복합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연면(延綿)의 뜻을 가지고 있다. 매화는 꽃잎이 다섯 장이어서 예부터 오복(福, 祿, 壽, 回, 財)을 상징하였다(Lee, 2005). 불교의 상징적인 꽃인 연꽃은 그 씨앗의 강한 생명력 때문에 생명의 창조와 생식 번영의 상징으로 사용되었(Hanam museum of history, 2005)고, 씨가 많은 석류는 부귀와 자손의 번영을 상징하기도 한다(Lee, 2005). 떡살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동물문양은 물고기이다. 물고기는 효와 충성, 부귀와 자손의 번창, 입신출세를 상징하며, 항상 눈을 뜨고 있어서 근면을 뜻하기도 한다(Hanam museum of history, 2005). 십장생에 속하는 학, 거북, 사슴도 애용되었는데 이는 장수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박쥐는 일반적으로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잡귀를 쫒는다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떡살문양에서는 오복과 장수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외 다남을 상징하는 나비문양도 애용되었다(Lee, 2005). 기하문양으로는 선문, 원형문, 태극문, 방형문 등이 있으며, 이것은 단독문양으로 쓰이기보다는 주 문양을 보조해 주는 역할로 많이 쓰였다. 문자문양에는 경사로움을 뜻하는 복, 수, 희, 부귀, 강녕 등의 문자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문자문양은 다른 문양과는 달리 인간의 기원이 직설적으로 드러나는데 이것은 문자문양만이 가지는 특징이다(Lee, 2005). 쌍희(囍)자는 두 가지 기쁨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쓰였으며 수(壽)자는 완전히 도안화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수(壽)와 복(福) 두 글자는 그 표현방법이 다양하게 여러 형태로 도형화하여 문자의 기능성을 상실하기까지 하였고 기하학적인 선의 구성에 의한 문양으로 즐겨 사용하게 되었다(Goo, 2001). 그리고 문자는 꽃문양, 원형 테두리, 사각형의 연속 돌림문양 등의 문양과 함께 쓰이기도 하였다(Lee, 2005).

3.2. 보자기

(1) 보자기란?

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물건을 싸거나 식기류를 덮을 때 사용해 온 고유의 포를 보자기 라고 부르고 있다. 이 보자기는 칸막이나 깔개 등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생활용품으로서 널리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록된다. 고문헌 등을 보면 보자기가 「褓」로 기록되어 있는데 「褓」라는 것은 물건을 싸는 천을 의미한다. 보자기는 한자로 「褓子器」라고 쓰고 약어로 「褓」라고 부르고 있다(Choi, 2003).

(2) 보자기의 분류

보자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일상용, 혼례용, 장례용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고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일상 보에는 부엌 용구로 사용한 보자기와 침선 용구로 사용한 보자기, 기타 일상적으로 사용한 머리 보 등이 있다. 이 외에 보부상보, 책보, 옷보, 빨래보, 이불보 및 일반 봇짐용 보자기가 있다. 보자기는 사용하는 계층에 따라 궁중에서 사용한 화려하고 선명한 궁보와 일반 평민이 다목적 상용보로 사용한 민보로 구분할 수 있다. 보자기에 사용된 소재에는 명주, 모시, 무명, 삼베, 종이, 가죽 등이 있다. 견직물은 주로 귀족층에서 사용하였으며 그 종류에는 사(紗), 라(羅), 능(綾), 단(緞) 등이 있다. 베 보자기와 모시 보자기는 마직물의 자투리 천으로 만든 것인데 베 보자기는 삼베 조각 천으로, 모시 보자기는 모시 조각 천으로 만든 보자기이다. 보자기를 구조에 따라 분류하면 홑보, 겹보, 솜보, 조각보, 식지보 및 누비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홑보는 한 겹으로 된 보자기, 겹보는 안감을 댄 두 겹의 보자기이다. 솜보는 안에 솜을 넣어 만든 보자기로 깨어지기 쉬운 물건이나 손상되기 쉬운 물건을 싸는데 사용되었다. 조각보는 조각 천을 이어서 만든 보자기로 의복을 짓고 남은 천을 이용하여 만든 조선시대 민보의 대표적인 양식이다. 식지보는 유지보라고도 하며 보자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기름종이로 만들어 습기 있는 음식물을 싸서 습기를 방지하였다. 누비보는 솜을 넣어 만든 보자기로 누비 겹보는 파손되기 쉬운 물건을 싸는데 사용하였으며 누비 식지보는 음식물을 보온해야 하는 겨울철에 사용하였다 (Shin, 2003 : Kwon, 2001 : Jung, 1999 : Choi, 2003 : Hyen, 1997).

3.3. 천연염색(Jung, 2010)

(1) 황벽 염색

말린 황벽의 속껍질을 잘게 잘라 추출용 그릇에 넣고 그 10배량의 물을 부어 가열한다. 끓기 시작해서 20분 동안 추출, 여과를 2회 반복한다. 1~2회째의 추출액을 합하여 염색액으로 사용한다. 욕비 1:50,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한 다음 수세, 건조한다.

(2) 소목 염색

말린 소목의 심재를 잘게 잘라 추출용 그릇에 넣고 그 10배량의 물을 부어 가열한다. 끓기 시작해서 20분 동안 추출, 여과를 2회 반복한다. 1~2회째의 추출액을 합하여 염색액으로 사용한다. 욕비 1:50,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한 다음 수세, 건조한다. 매염처리는 욕비 1:50, 40℃에서 20분 동안 한다.

(3) 자근 염색

말린 자근에 그 20배량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추출, 여과를 2회 반복한 다음 1~2회째의 추출액을 합하여 원액으로 한다. 그 원액에 대해 약 5배량의 물로 희석한 것을 염색액으로 사용한다. 욕비 1:50,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한 다음 수세, 건조한다. 매염처리는 욕비 1:50, 40℃에서 20분 동안 한다.

(4) 쪽 염색

쪽 분말 20g을 녹을 정도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수산화나트륨 2g을 첨가해서 섞고 그 속에 50~60℃의 증류수를 400㎖ 넣는다(A액). 다른 비커에 20℃의 증류수를 3600㎖ 넣고 수산화나트륨 3g을 조금씩 넣어가며 교반한다(B액). B액에 A액을 넣는다(C액). C액에 하이드로술파이드 10g을 덩어리지지 않도록 조금씩 넣어가며 교반한다. 염색액의 색이 녹색이 되면 염료가 환원된 것이므로 염색이 가능한 액이 된다. 이 액을 염색액으로 사용한다. 염색액에 천을 담가 상온에서 3분 동안 염색하고 10분 동안 발색을 1회 염색으로 하고 이를 반복할수록 짙은 청색을 얻을 수 있다.

(5) 홍화 염색

홍화 300g을 물 5000㎖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황색 색소를 우려낸다. 우려낸 홍화를 그물망에 넣고 잘 짜서 황색 색소를 제거한다. 황색 색소가 제거된 홍화를 2% 탄산칼륨 수용액 5000㎖에 넣고 2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홍색 색소를 우려낸다. 이를 그물망에 넣고 잘 짜서 홍색 색소의 액을 얻는다. 홍색 색소의 액에 초산을 첨가하여 pH 5 정도로 조정한다. 이것을 염색액으로 사용한다. 염색액에 천을 담가 상온에서 30분 정도 염색한다.


4. 작품제작

4.1. 작품제작의 의도 및 방법

떡살문양을 활용한 보자기 제작을 위하여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떡살문양 중에서 기하문양 3점과 식물문양 1점을 선정하였다. 그 문양들을 기본으로 하여 간결함과 단순함을 살린 보자기 제작을 위하여 컴퓨터 디자인 프로그램인 아도브 일러스트레이터10.0을 이용, 그래픽 작업을 하였다. 그것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Rice-cake models and design development process

Table 1의 1은 떡살문양 중 빗살문을 모티브로 하여 그 원형을 90° 회전하고 네면의 빗살문을 단순화하였다. 그것을 보자기의 중심부에 배치하여 모던하게 표현하였다. 2는 떡살문양 중 사선문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그 원형의 일부를 삭제, 변형, 첨가하여 디자인하였다. 3은 문양이 두 개의 사각형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 각 사각형은 4등분 되어 있으며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한 기하학적 문양이 새겨져 있어 세련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오른 쪽 사각형 문양을 디자인에 응용하였다. 4는 1과 같이 떡살문양 중 빗살문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네 면의 떡살문양 중 대각선방향의 두 면은 원형 그대로, 나머지 두 면은 Table 1의 4의 떡살문양에 표현된 국화문양을 원형 그대로 살려 디자인하였다. 5는 원형의 떡살문양 중심부 문양을 중심으로 좌우에 꽃문양을 배치하고 테두리 부분을 첨가하여 디자인하였다.

4.2. 제작과정 및 결과물 제시

(1) 덮개1

재료

겉감-모시(분홍:홍화, 노랑:황벽, 쑥색:황벽-철 후매염, 보라:자근-알루미늄 선매염)

안감-모시(노랑:황벽)

장식용 천-모시(보라:자근-알루미늄 선매염)

손잡이용 천-모시(노랑:황벽)

박쥐장식용 천-모시(분홍:홍화,4×4㎝ 3매)

만드는 방법

Figure 1의 겉감 배치도를 참조하여 시접을 포함하여 천을 자른다. 각 조각 천을 감침질로 바느질하여 겉감을 만든다. 시접은 가른다. 겉감과 안감의 시접을 안으로 접어 넣고 단을 감침질하여 꿰매어 잇는다. 장식 천을 본체의 네 모서리에 놓고 주위를 세 땀 상침으로 바느질한다. 손잡이 천을 만든다. 시접을 접은 손잡이 천을 반으로 접고 감침질한다. 그것을 반으로 접고 박쥐장식을 붙여 완성한다. 보자기 중심부에 사용된 색은 저채도의 쑥색, 보라색 및 분홍색이며 바탕색을 노란색으로 하여 보자기 중심부의 빗살문을 두드러져 보이게 하였다.

Figure 1

Surface fabric plan of Work 1

(2) 싸개

재료

겉감-바탕:명주(분홍:홍화, 노랑:황벽, 연두:인도람과 황벽의 복합염, 하늘:인도람, 보라:자근-알루미늄 선매염)

안감-명주(노랑:황벽)

끈-명주(노랑:황벽)

잣 씨-명주(분홍, 노랑, 연두)

만드는 방법

Figure 2의 겉감 배치도를 참조하여 시접을 포함하여 천을 자른다. 그림을 참조하여 각 조각 천들을 꿰매어 겉감을 만든다. 시접은 가른다. 겉감의 겉과 안감의 겉을 마주대고 창구멍을 남기고 홈질한다. 겉으로 뒤집고 창구멍을 공그르기 한다. 세 가지 색의 천을 네 번 접어 3매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 포개고 중앙을 고정하여 잣 씨를 만든다. 끈을 만든다. 본체의 네 변에 끈과 잣 씨를 두고 모서리 장식 천을 겹쳐 시침질을 한다. 주위를 세 땀 상침으로 고정하여 완성한다. 사용된 주조색은 보라색이며 분홍색, 노란색, 연두색을 보조색으로 하여 산뜻함을 부여 하고자 하였다. 또한 네 모서리의 장식천은 하늘색으로 하고 바탕에 사용된 분홍색, 노란색, 연두색의 천으로 잣 씨를 만들어 포인트를 주었다.

Figure 2

Surface fabric plan of Work 2

(3) 덮개2

재료

겉감-모시(분홍:홍화, 노랑:황벽, 하늘:인도람, 재색:자근-철 후매염, )

안감-모시(재색:자근-철 후매염)

손잡이용 천-모시(재색:자근-철 후매염)

박쥐장식용 천-모시(하늘:인도람, 4×4㎝ 1매)

만드는 방법

Figure 3의 겉감 배치도를 참조하여 시접을 포함하여 천을 자른다. 순서대로 감침질로 바느질하여 겉감을 만든다. 시접은 가른다. 겉감과 안감의 시접을 안으로 접고 단을 감침질로 바느질한다. 손잡이 천을 만든다. 시접을 접은 손잡이 천을 반으로 접아 감침질한다. 반으로 접은 손잡이 천에 박쥐장식을 붙인 후 본체 중앙에 붙여 완성한다. 사용된 색은 바깥쪽에서부터 노란색, 하늘색, 재색, 분홍색의 순으로 배치하여 밝은 기운이 중심부에 모여지도록 표현하였다.

Figure 3

Surface fabric plan of Work 3

(4) 덮개3

재료

겉감-명주(분홍:홍화, 노랑:황벽, 연두:인도람과 황벽의 복합염, 파랑:인도람, 보라:자근-알루미늄 선매염, 갈색:빈랑자)

바탕천-명주(재색:자근-철 선매염)

박쥐장식-명주(보라:자근-철 선매염, 4×4㎝ 1매)

만드는 방법

Figure 4의 겉감 배치도를 참조하여 시접을 포함하여 천을 자른다. 각 조각 천을 감침질로 바느질하고 시접은 가른다. 바탕천의 안쪽 중앙에 꿰매어 이은 천을 겉으로 해서 시침질하여 고정한다. 바탕천의 단 부분과 중심의 꿰매어 이은 천을 감침질한다. 겉감 중앙에 박쥐장식을 붙여 완성한다. 10×10㎝ 크기의 두개의 조각 천에 표현된 문양은 바느질에 의한 홀치기 염색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한 것이다. 빗살문에는 분홍색, 하늘색, 연두색, 노란색, 갈색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색동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국화문양을 홀치기한 면에는 보라색을 사용하여 세련된 분위기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Figure 4

Surface fabric plan of Work 4

(5) 깔개

재료

겉감-모시(분홍:홍화, 노랑:황벽, 파랑:인도람, 적자:소목-동 후매염, 보라:자근-알루미늄 선매염)

안감-모시(보라-자근 알루미늄 선매염)

만드는 방법

Figure 5

Surface fabric plan of Work 5

Figure 5의 겉감 배치도를 참조, 시접을 포함하여 천을 자른다. 각 조각 천들을 감침질로 바느질하고 시접은 가른다. 겉감과 안감의 시접을 안으로 접어 넣고 단을 감침질하여 꿰매어 이어 완성한다. 꽃문양과 창살문양은 홀치기 바느질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중심부 문양에는 노란색과 파란색의 보색을 사용하여 산뜻함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테두리 부분에는 분홍색과 보라색의 유사색을 사용하였다.


5. 결론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산업사회에서 우리의 생활양식은 문화유산의 정통성을 뒤로 한 채 서구화되어 가고 있다. 전통은 뿌리와도 같아서 그것을 지키지 못한다면 우리의 문화가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 전통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그것을 현대적인 생활공간에 알맞게 끌어내어 새로운 창작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를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떡살문양 네 점을 모티브로 하여 다섯 점의 보자기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원래의 보자기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아름다움과는 다른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고 본다. 보자기 제작에 사용된 천은 모시와 명주로 그것에 황벽, 소목, 자근, 쪽 그리고 홍화 등으로 천연 염색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차분하면서도 은은한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모시의 소박함과 명주의 은근함이 작품에 잘 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떡살문양에 의해 재구성된 패턴의 일부 면에는 바느질에 의한 홀치기 염색기법 등을 이용하여 다채로움을 표현할 수 있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2학년도 세명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임.

Notes

Citation: Jung, J.(2013). A Study of the Manufacture of Wrapping Clothes Using Rice-Cake Patterns through Naturale Dyeing: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345-36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Kwon, J. L.(2001). A study of Tableware Design Using the Modeling Feature of BOJAGI(Master’ s thesis).
  • Kim, M. S. (2006). Study of Knit wear desig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Master’ s thesis).
  • Kim, S. Y.(2012). 전통 떡살문양과 조각보를 조합한 스카프디자인 개발 [A Study on Scarf Design Development with a Combination of Traditioanal Korean Rice Cake Pattern and JOGAKBO patchwork].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 (1), 29-39.
  • Kim, S. W.(2000).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Master’ s thesis).
  • Kim, S. J.(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jewelry design using rice-cake pattern(Master’ s thesis).
  • Kim, E. S.(1992). A Study on Application of Rice-cake Mold Pattern for Modern Fashion Design(Master’ s thesis).
  • Kim, J. W.(2002). A study on the designing cultural products : Application of earring patterns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focused on techniques and patterns-(Master’ s thesis).
  • Kim, J. Y., & Oh, Y. J.(2011). 전통 떡살문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using Traditional Tteoksal Patter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 (5), 993-1008.
  • Kim, H. R.(1984). A study on the Modern Dress Using the Ddok Sal Pattern-Mainly on Pattern design-(Master’ s thesis).
  • Park, J. Y.(2002). Clothing Designs with Flocking Prints Concentrating on the Geometrical Patterns shown in Traditional Korean Patterns(Master’ s thesis).
  • Shin, Y. T.(2003). Plastering Study Applying the Patchwork Modeling of the Josun Period(Master’ s thesis).
  • Yoo, H. A.(2008). 한국 문양을 활용한 직물 구조 디자인 개발- 떡살무늬를 중심으로-[Development study of new Weaving Structures by Korean Traditional Patterns-Focus on Tteoksal Patterns-]. The Korea Contents Society, 8 (12), 190-197.
  • Lee, S. S.(2005). A study of Fabric Design Based on Minimalism in Korean Sense of Beauty-Fabric Design for Dinning Table Utilizing Rice-Cake Pattern-(Master’ s thesis).
  • Lee, Y. J.(2001). A study on Knit Wear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Patterns in the Rice-Cake’s of Chosun Dynasty(Master’ s thesis).
  • Lee, E. K.(1999). The study of the Interior Tile design on the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Master’ s thesis).
  • Lee, J. Y.(1994).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with Rice Cake Molds in Chosun Dynasty(Master’ s thesis).
  • Jang, J. M.(2008). A study on metal work using rice-cake pattern(Master’ s thesis).
  • Jung, J. S.(2010). 천연염색을 통한 한국 전통 창살문양 보자기 제작에 관한 연구[Study of manufacture of Wrapping Clothes Using traditional Korean Muntin Patterns through Natural Dye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 (6), 39-45.
  • Chung, H. J.(2000). A Study on the Plate Decorated with Patterns of Rice-cake molds(Master’ s thesis).
  • Jung, H. S.(1999). A Study on design of patchwork wrapping cloths focused on unfilled space marginal beauty(Master’ s thesis).
  • Ha, S. Y. (1998). Researvh for Wedding Dress Design-Concentration on Traditional Patterned Rice-Cake’s Moif-(Master’ s thesis).
  • Han, H. L.(1981). A Study on Patterns appeared in Ceramic Molds of Rice Cake(Master’ s thesis).
  • Hyen, S. J.(1997). A study on the Woman’s Artistic Consciousness in Chosun Dynasty-Focused on the embroidery cloth and the pieces cloth-(Master’ s thesis).
  • Goo, M. H.(2001). The material and symbolism analysis of rice-cake model’ honey-cake board. Seoul:National Folklore Museum.
  • Shin, Y. H.(1970). Korean motif. Seoul:Space magazine.
  • Hanam museum of history(2005). Rice-cake pattern and beauty. Hanam:Hanam museum of history.
  • Heo, G.(1995). Traditional motif. Seoul:Daewonsa.
  • Choi, Y. S.(2003). 布の重良なり,つぎはぎの美ポヅャギ. 東京:日本ヴォ-グ社.
  • http://top.kobay.co.kr/j_ja/sujip/min/59-1.html.

Work 1

Work 1

Figure 1

Figure 1
Surface fabric plan of Work 1

Work 2

Work 2

Figure 2

Figure 2
Surface fabric plan of Work 2

Work 3

Work 3

Figure 3

Figure 3
Surface fabric plan of Work 3

Work 4

Work 4

Figure 4

Figure 4
Surface fabric plan of Work 4

Work 4

Work 4

Figure 5

Figure 5
Surface fabric plan of Work 5

Table 1

Rice-cake models and design development process

Rice-cake model design developmen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