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and Their Evaluation Direction
This journal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MEST)
이 학술지는 2013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Background Since the early 2000s, policy makers in Korea have put greater emphasis on culture and humancentered issues than on construc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s. In that regard, public design emerged as an instrument to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and governme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various public design policies. However,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s are mostly used to evaluate public design as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s, which is the same as other public policies. In fact, public policies are alien to design. The aim of design is to meet people's values, while that of public policies is to achieve public purposes using material, finance and human resour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evaluating outputs is sufficient for public design policy evaluation. The paper aim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evaluating policies on sustainable public design and helping people in reality. Although the number of policies for public design has increased, policy evaluation systems have not been properly developed yet.
Methods The current meaning of public design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public design policies in Korea are examined, and then existing policy evaluation systems a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ults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s focus on public design itself rather than citizens' realization of public value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alysis such as performance measurement using BSC(Balanced Scorecard).
Conclusion The study attempts to give initial guidance on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which focuses on civic engagement on the premise that design can solve social problems.
초록
연구배경 2000년대 초반부터 도시들은 개발과 산업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인간 중심의 도시문화를 강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이 출현하였고 관련 정부부처와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공공디자인 정책을 실행중이다. 하지만 기존의 정책 평가체계는 여타 공공정책과 마찬가지로 공공기관의 성과로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공공정책이 공공성을 목적으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지침인 반면, 디자인은 고객의 가치관을 만족시키는 활동이라는 이질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시행기관이 목표로 한 사업 결과 평가만으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가 충분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하고 사람들이 실제 삶을 영위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공공디자인 정책을 위한 정책 평가의 새로운 방향 제시에 있다. 공공디자인 정책의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체계적인 정책의 평가도구 개발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서의 공공디자인 개념과 공공디자인 정책 현황에 대해 검토 한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체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BSC(Balanced Scorecard: 균형성과표)를 활용한 성과 측정 등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시민들의 공공의 가치 실현보다 결과물로서의 공공디자인 자체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시민의 능동적 참여와 디자인 역량에 중점을 둔 공공디자인 정책의 평가 기반을 제시하였다.
Keywords:
Public Design Policy, Design Policy Evaluation, Public Design Evaluation, Evaluation System, 공공디자인정책, 디자인정책평가, 공공디자인평가, 평가체계1. 서론
2000년대에 접어들며 우리나라는 도시개발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삶의 공간으로서 도시공간을 재조명하게 되었다. 도시 문화와 특성을 발현하고 도시경쟁력 강화의 도구로서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중앙부처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많은 공공디자인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공공디자인이 지속가능하고 주민들과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을 둘러싼 정책의 평가, 분석 및 피드백이 중요하다. 하지만 공공디자인 정책의 양적 증가에 비해 정책의 구체적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며 관련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공정책 평가는 일반적으로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주요정책 과제를 ‘업무 추진 및 집행성과에 관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분야별로 개발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재정사업 및 행정업무를 점검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이윤식, 2006). 현재의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도 주로 시행기관에서 마련한 평가지표에 의한 사업의 성과평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정책이 공공성을 목적으로 인적, 물적, 재정적 자원을 활용하는 지침인 반면, 디자인은 고객의 가치관을 만족시키는 활동이라는 이질성을 지니고 있다(권영걸 외, 2011). 이런 특수성을 고려할 때 과연 시행기관이 목표로 한 사업 결과 평가만으로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가 온전히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책에 적합한 평가 목적, 평가모형과 연계된 정책평가방법을 통해 평가가 실시되어야 그 타당성이 확보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 체계를 분석하여 그 특성과 한계점을 알아보고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의 방향성을 모색하도록 한다.
2. 공공디자인과 공공디자인 정책
2.1. 공공디자인 이해와 접근
공공디자인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 유럽에서는 도시디자인(urban design)이 일반적이다(이소영, 2011; 김정후, 2008).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사회를 거치며 발달한 산업디자인, 즉 사적 영역의 디자인에 비해 간과되어온 공공영역에서의 디자인에 주목한 것이 그 발생배경이라 할 수 있다.
도시디자인은 공공성을 담는 공간인 도시를 다루는 행위를 뜻하는 것이므로 그 자체에 이미 공공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도시디자인이 광범위한 도시 관련 전문가들이 관여하고 그 전문성이 반영되어 왔다면(Carmona et al., 2003),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인 공공디자인은 공공의 문화와 시민들에 보다 중점을 둔 공공의 가치를 고려하고 있다.(최범 외, 2007; 장동련 외, 2006). 역사적으로는 20세기 후반부터 도시디자인에 있어 미학적 사고가 비판받기 시작했다. 도시 이론가 Kevin Lynch는 디자인의 미학적 사고를 넘어 사람들이 어떻게 공간을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어떤 개념적 이해가 있는지 그들의 인식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관심을 강조했다(Lynch, 1981).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공공디자인은 불특정 일반을 위한 디자인의 공공성보다는 형태적 미학에 치중하면서 본연의 목적인 ‘공공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김기수 외, 2009: 8, 16).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공디자인은 관련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종합해보자면, 공공디자인을 주로 도시의 공적 영역에서 기반시설과 시설물들을 설치·관리하고 심미성을 높이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공디자인 시행주체의 접근을 알 수 있는 한 단면인 이 정의에서는 공공의 가치 실현이나 사회적 관계 속의 문제해결 방법으로서의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공공디자인 사업을 계획하고 실시하고 있다. 이들은 공공디자인을 도시상품화의 도구로, 시민들을 소비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오창섭, 2013).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담론의 장을 연 ‘de-sign Korea: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2001) 전시에서는 공공영역의 디자인 대상을 공공공간뿐만이 아니라 공공성의 의미를 담는 일상생활의 모든 것이라고 확장, 제시했다. 이것은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장소, 공간의 개념을 넘어선 것으로, 공공의 영역이라는 것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며 이를 구축하는 주체가 국가나 시장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시민사회의 역할에 따라 공공영역이 확장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국가주도로 근대화를 이룬 우리나라에서는 공공영역은 국가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아직 팽배해 있고 실행 프로세스에서도 사용자 개념은 부족하다. 다시 말해 한국 사회에서 공공영역의 디자인은 ‘주체’의 공백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김영철, 2010)라는 지적도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공공디자인의 목적은 공공성 회복이며, 시민들에 대한 다면적 이해와 그들의 참여가 중시된다는 공통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공공디자인 정책 시행주체의 접근은 이와 거리가 멀다.
2.2. 우리나라 공공디자인 정책 현황
우리나라의 공공디자인 정책은 2000년 이후 디자인 정책이 산업디자인 중심에서 디자인전분야로 확대되며 시작되었다. 국내에서 시장 중심에서 일상에서의 디자인에 주목하기 시작한 움직임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개관전인 ‘디자인의 발견: 일상 속의 디자인 문화’(1999.11)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후 ‘de-sign Korea: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2001)전에서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전시에서는 디자인의 공공성이 디자인의 어떤 한 관점이나 공공영역의 디자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자체가 공공의 문제라고 말하고 있다. 이런 논의들이 디자인계 안팎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2001년에는 산업디자인진흥법이 개정되면서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이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 출범했다. 그리고 2003년에 산업자원부에서 발표한 디자인산업 발전전략에서는 생활 속의 디자인 문화 확산,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환경디자인 개선사업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2004년 제1차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2004~2008)을 기점으로 여러 정부부처와 지자체의 사업들이 본격화 되었다. 각 부처마다 국토 환경개선을 통한 국가이미지 제고, 문화환경 조성, 지역발전 등을 목적으로 공공디자인 사업을 추진 중이다(Table 2).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문화체육관광부의 ‘간판문화개선 시범사업’, 행정안전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2007년 서울시에 디자인서울총괄본부가 신설되며 지자체의 공공디자인 사업이 본격화되었으며 안양, 인천 등을 비롯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윤정영, 2013; 이소영, 2011; 김기수 외, 2009).
추진 중인 공공디자인 사업의 면면을 살펴보자면 주민참여에 의한 사업들도 단편적인 공간정비 혹은 외형의 장식적인 측면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김기수 외, 2009). 다수의 공공디자인 정책들이 도시공간의 역사, 문화, 사회적 가치와 복잡한 기능들을 고려한 것이 아닌 단편적인 환경개선 사업들로 채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부처별로 목적을 달리하고 있으나 사업 자체의 성격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경향이 있어 예산낭비, 통합적 추진 및 관리 문제가 제기된다. 결국 공공디자인 사업으로 도시의 조화로운 환경 형성이 오히려 어려워질 염려가 있다. 무엇보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궁극적으로 사회구조와 체계의 치료와 회복, 사회화의 실천을 위한 것이므로(성윤정, 2009) 그 바탕이 되는 시민들의 공공의식 확립이 우선시 된다.
3.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체계 분석
3.1. 공공디자인 평가
공공디자인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편이며 객관적 평가를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 연구도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가도구 개발 연구는 크게 전반적인 공공디자인, 공공디자인의 대상, 공공디자인 사업을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기준에 의하여 Table 3, 4, 5에 분류된 연구들은 고유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체계를 마련한 사례들로, 기존 평가틀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디자인 요소 등 단순 구성요소별 측정에 의한 연구는 제외하였다.
공공디자인 전반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는 환경적 지속가능성, 디자인품질 평가, 이용자 중심의 평가 관점에 따라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Table 3). 그리고 공공영역에 포함되는 다양한 디자인 대상들에 대한 평가체계에 대해서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공공디자인의 여러 대상들에 대한 평가지표, 평가체계 개발 연구는 Table 4에서 알 수 있듯이 공공시설물(박재호 외, 2011; 김현정 외, 2009; 박성진 외, 2012; 백승철, 2009), 가로시설물(이양병 외, 2010; 박재덕 외, 2009; 김민희, 2009; 이경순, 2012), 사인시스템(안상락, 2009), 및 도시공간 디자인(이현철 외, 2010; 하재경 외, 2009; 김도경, 2013; 백승경, 2009)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확대된 영역으로서 디자인프로세스(곽동화 외, 2011), 공공서비스 디자인 평가 등이 있다(김연희 외, 2012). 디자인 대상에 대한 연구들은 유니버설 디자인, 지속가능성, 거주 후 평가(POE)와 이용자의 만족도 등의 사용자 중심의 평가, 도시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접근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여러 기관을 통해 많은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사업의 평가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 중이다. 사업평가도구 개발은 공공디자인 사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설물디자인 사업과 경관개선사업, 대표적 공공디자인 사업인 디자인거리조성사업에 대한 연구들이 있다(Table 5). 사업평가의 경우 효율적인 사업운영과 지속성의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용자 및 사업 참여자들의 의견 반영에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공공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은 유니버설 디자인, 이용자의 참여를 고려한 평가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개개의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넘어서 보다 거시적 측면에서 정책실현을 위한 장치, 평가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눈여겨 볼만하다.
3.2.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
Lasswell과 Kaplan에 의하면 정책은 ‘목적 가치와 실행을 투사한 행동계획’으로 정부기관이 공익달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행동방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정책의 수단은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행동방침으로 사업, 사업계획, 정부방침 등이 있다(이목훈, 2007).
정책평가는 이 정책수단과 목표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활동이다.
정책 평가의 목적은 첫째, 정책의 지속적 추진여부 결정하고 집행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둘째, 과정상의 책임 확보, 셋째, 이론구축을 통한 학문적 기여가 있다. 정책평가에는 과정평가와 총괄평가가 있는데 그 중 주로 총괄평가를 다루고 있다. 정책평가의 방법은 아주 다양하다. 그 중 총괄평가는 정책 집행 후 효과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방법은 크게 비실험적 방법, 실험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정책평가(policy evaluation)는 사업평가(program evaluation)와 종종 혼용되는데 사업이 정책집행을 위해 구체화된 수단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책의 영향을 파악하려는 경우, 하위사업들의 평가 종합으로 정책을 평가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 평가방법 면에서도 사업평가와 정책평가의 방법이 거의 동일하나, 평가 대상인 사업과 정책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사업평가와는 차별화된 정책평가방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정정길 외, 2013). 정책평가의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정책과 사업의 성격을 고려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일반적인 공공정책과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둘 다 공공의 목적 달성을 위해 여러 자원들을 활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디자인은 고객의 사적 가치관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공공디자인 정책은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 및 욕구충족을 고려하고 개개의 가치와 사회적 가치 간의 간극을 조율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이러한 특성은 사회의 소외계층, 소수의 의견을 포용할 수 있는 가치실현을 가능케 한다(권영걸 외, 2011). 따라서 공공디자인정책은 정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가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 결과물이나 사업자체에 대한 다양한 평가연구에도 불구하고 공공디자인 정책을 평가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공공디자인 사업은 정책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이며, 정책의 올바른 결과와 영향 측정을 위해서는 개개의 사업을 넘어서 정책 전반의 평가가 필요하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공공디자인이 목표로 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수립된 정책이다. 하지만 현재 실행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정책과 사업들은 이름만 바뀌었을 뿐 기존에 있었던 환경개선사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에 일컬어지던 도시디자인, 환경디자인 사업 및 정책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앞서 살펴봤듯이 현재 공공디자인의 현주소는 사업 실행에 따른 눈앞의 가시적인 성과를 위해 정작 정책의 본래 목적은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즉, 공공디자인 정책의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업에 앞서 공공디자인 정책이 근본적으로 지향하는 바에 대한 제고와 그에 따른 실행계획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에 개별 사업들로 인해 실현된 결과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 적절한 방향 및 방법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기존의 디자인정책을 비롯한 공공디자인정책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시행기관에서 성과평가 및 관리의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들은 정책 평가에 대해서 논할 때 몇몇 관련 통계치나 사례를 바탕으로 기술하거나, 공무원 및 전문가 설문, 혹은 평가 기준을 기존 연구와 문헌에서 자의적 발췌를 통해 제안하고 있다(윤정영, 2013; 구자훈, 2010; 박영윤, 2008; 백선혜 외, 2008; 허강숙, 2008; 박재연, 2006; 금진우, 2000) 하지만 체계적인 공공디자인정책 평가도구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졌고 그 수도 손에 꼽을 정도이다.
3.3.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체계 분석
디자인정책 및 공공디자인정책의 체계적인 평가도구 개발 연구는 BSC(Balanced Scorecard) 성과평가시스템을 활용하거나(신예철 외, 2010; 송상민, 2009), 공공디자인 매개체의 평가 척도어 개발(정희정, 2008), 문화도시 형성 측면에서 공공디자인 정책을 바라본 평가체계 개발 연구(안진근, 2011)가 있다.
송상민(2009)과 신예철 외(2010)의 연구는 정책의 성과관리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정책 평가의 방법론으로 활용한 BSC는 재정적, 비재정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조직의 성과측정체계로 공공조직의 성과평가에도 널리 쓰인다. BSC는 정책수립 및 전략과제 도출, 정책평가체계 설정이 용이한 평가체계이다. 정책 수립단계에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전략과제와 세부추진사항에 주민참여를 통한 Bottom-up 방식이 가능하다(신예철 외, 2010). 하지만 공공디자인정책 평가에 활용하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우선, 이 성과평가체계가 조직에 대한 평가에 초점이 맞춰 있다는 점이다. 공공디자인의 주체로서 시민들의 중요성을 감안 할 때 실행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 성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다른 한계는 측정지표를 발굴해 측정이 가능한 사람이 조직전반에 대한 이해를 가진 운영자에 국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조직구성원이나 이해관계자와 상관없이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용자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변화를 추적하는 성과측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지은구, 2011).
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주민들이 참여하는 공공디자인정책 평가의 바탕으로 삼기에 중요한 한계가 됨을 보여준다.
정희정(2008)의 연구는 공공디자인 평가 척도어 개발을 위하여 공공디자인 영역들을 대상으로 공통의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디자인을 둘러싼 다양한 측면들(제도 및 정책적, 디자인, 교육·문화·사회적 측면)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인식조사를 거치긴 했으나, 정책 전반을 포괄하는 평가척도라기 보다는 공공디자인 결과물 자체에 대한 평가척도에 가깝다. 이것은 평가척도 개발이 공공디자인을 둘러싼 제반 조건들 보다 공공디자인 대상에서 출발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안진근(2011)의 연구의 경우 도시의 문화정체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을 정의하고 접근하고 있다. 도시의 문화에 지역민의 가치가 녹아있다고 볼 수 있으나, 문화도시를 도시계획의 하나의 방편으로 바라보고 접근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공공디자인을 도시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바라본 평가요소이므로 지역민의 주체적 참여보다 가치 소비의 측면이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시민들을 도시를 소비하는 대상으로 보는 관점은 정작 일상을 살아가는 시민들을 디자인 과정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처럼 공공디자인정책 평가체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성과관리, 또는 대상 및 수단으로서의 공공디자인 자체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의 주체로서 시민 참여에 대한 평가요소가 존재하지만 일정한 참여 형식이 전제된 것으로 공공디자인 주체로서 역할하기에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정책 평가의 새로운 방향성 제시를 위하여 공공디자인의 의미와 공공디자인을 둘러싼 정책평가의 중요성, 기존 정책평가체계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대상, 사업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에서 공공디자인 개별 사업의 성과평가는 있어왔으나 정책 전반의 영향에 대한 평가 연구는 부족했다. 기존의 공공디자인 정책 평가체계 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디자인 정책은 도시 경쟁력 강화의 수단보다 주민 스스로의 욕구실현,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지역주민들이 공공의 영역에서 관계를 만들어가는 행위의 실천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을 바라보아야 한다.
둘째, 공공디자인 결과물, 사업 결과로서의 성과에 대한 평가보다 디자인 과정 자체에 대한 평가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디자인은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을 보다 나은 곳으로 바꾸기 위한 행위로 결과 이상으로 과정에 의미가 있다.
셋째, 이 디자인 과정에 대한 평가는 시민 참여의 과정에서 디자인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이란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이므로 시민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야말로 공공의 가치 실현을 위한 방향이 될 것이다.
넷째, 정책 실행단계의 주민참여의 소극적인 틀에서 벗어나 정책 수립 단계부터 참여기회와 선택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들은 정책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시책일지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이란 대상과 사람, 환경과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공디자인은 정책 실행주체의 목표만이 투영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처럼 본래의 목적인 공공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참여에 중점을 둔 정책 평가가 필요하다. 이는 일방적인 정책의 틀 내에서의 참여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삶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 역량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디자인, 환경디자인 등의 유사 사업 및 정책과 구분하여 공공디자인 정책, 사업에 대해 이해 및 평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공디자인의 영역이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둔 문제해결, 범죄예방, 헬스케어 등의 공공서비스 디자인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주체의 디자인 역량을 강조한 본 연구의 평가 방향은 지속적인 공공디자인 정책수립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의 평가 방향이 구현될 수 있도록 공공디자인의 정책 및 사업 성격을 고려해 체계적인 시민참여 중심의 공공디자인 정책평가도구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DAS BK21 Plus project in 2014.
Notes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An, S. L. (2009).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공항사인시스템에 관한 시인성 평가 연구[A Study on visuality research about airport sign system from universal design view].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2 (1), 59-68.
- Ahn, J. K. (2011). 문화도시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Public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Cultural City Spatial-Identity Formatio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patial Desig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 Bae, S. K. (2012). 공공디자인의 다학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초창기(1980년대) 융합적 프로젝트를 중심으로[Solution for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in Public Design-Early Convergence Projects in 1980s]. Journal of Digital Design, 33 (-), 187-201.
- Baek, S. C. (2009). 공공디자인을 위한 미디어파사드 평가방법 연구[Study on the Media Facade Evaluation Method for Public Desig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 Baek, S. H. et al. (2008). 서울 도시디자인 전략 연구[A Study of Seoul Urban Design Strategy]. Seoul: Seoul Institute.
- Baek, S. K. (2009).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Design Checklist for Ecologically Sustainable Public Space]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patial Desig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 Bark, J. D. et al.(2009). 거리시설물의 디자인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Research for Design Evaluation Indicator Development of Street Furni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2 (5), 267-276.
- Bark, J. H. et al. (2011).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초항목 연구[A Study on Basic Items For Public Facility Design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 (3), 351-360.
- Carmona. M. et al. (2003). Public Places-Urban Spaces, Oxford: Architectural Press.
- Chang, D. R. et al. (2006). 통합 디자인을 통한 도시 디자인에 관한 연구[A Study of Multi-disciplinary Design for City Environment in Relation to Co-Design]. Hongik Faculty Journal, - (11), 7-21.
- Choi, B. et al. (2007). 공공디자인을 말하다[Say Public Design]. Seoul: the Organizing Committee of 2007 Public Design EXPO of Korea, 13-99.
- Choi, J. W. et al. (2009).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이용자디자인평가(PDE)요소의 선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Selection of Post-design Evaluation Elements in City Design for City Image Improve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 (3), 129-136.
- Ha, J. K. et al. (2009).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공공공간의 환경평가와 개선방안[A Study on U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Public Space].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9 (1), 5-10.
- Heo, K. S. (2008).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디자인정책 발전방향 연구 : 디자인산업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forging a future design policy in the context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Design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 Hur, J. H. (2012). 이용자 만족도를 위한 공공영역의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User Satisfaction in the Public Realm]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 Jang, J. G. et al. (2013). 정책학원론[Policy Theory], Seoul: Daemyung.
- Jeong, H. J. (2009). 공공디자인의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 연구[Extraction of Evaluation Criterion Descriptions for Public Designs]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Design Management,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 Ji, E. G. (2011). BSC모델의 특성과 한계: 비영리사회복지조직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of Nonprofi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30 (1), 285-312.
- Jo, J. H. (2010). 공공디자인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공공시설물 평가Tool 개발에 관한 연구[Study on Developing Valuation Tool of Public Design Facilitie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 Jung, K. H. (2011). 공공디자인의 공공성과 행정메커니즘[The publicity of Public Design and the Public Design Administration Mechanis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 (4), 345-362.
- Keum, J. W. (2000). 디자인 정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Study on the Design Policy Development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aejon University, Taejon, Korea.
- Kim, B. S. (2009).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A Study on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Public Desig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 Kim, D. G. (2013). 도시공원의 디자인 평가 지표 연구[A Study on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of City Parks]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Design Management, Chosun University, Kwangju, Korea.
- Kim, H. S. et al. (2012).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분석으로 본 공공디자인연구: 2008-2010년 디자인서울총괄본부 사업을 중심으로[A Study on Public Desig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ublic Design Policy of Seoul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5 (3), 28-38.
- Kim, H. J. et al. (2009). 공공시설에 적용된 사용자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User-oriented Evaluation Method of the U.D. applied Public Faciliti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0(2), 149-157.
- Kim, J. H. (2008). 해외리포트 :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시사점[The Public Design Policies in the UK and its Implication]. Planning and Policy, 320, 108-119.
- Kim, K. S. et al. (2009). 도시 공공디자인 도입 활성화를 위한 참여주체의 역할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articipants' View and Roles on the Urban Public Design in Korea], Cheongju: Cunngbuk Research Institute.
- Kim, M. H. (2009). 지하철역 캐노피의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지하철역 캐노피를 대상으로[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ubway Station Canop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Kim, M.J. (2011). 주민의 참여를 통한 경관사업의 평가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사례를 대상으로[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the Vitalization of Town Space Projects through the Resident Participation : Based on the case of Ulsan, Nam-ku]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e,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 Kim, Y. C. (2009).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Counterculture Movement and Social Desig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Design and Craft,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 Kim, Y. H. et al. (2012). 공공서비스 접점기관의 사용자 중심형 평가[An Evaluation for User-centric in Touch-Point of Public Service].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6, 343-354.
- Koo, J. H. et al. (2011). 가로특성 유형에 따른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 평가[An Evaluation of Design-Seoul Street Projects based on Street Characteristic Types].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 (3), 41-56.
- Koo, J. H. (2010). 도시설계적 관점에서 본 공공디자인 정책의 평가[Evaluation of the Public Design Policy from a view of Urban Desig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 (5), 52-56.
- Kwak, D. W. et al. (2011).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참여형 디자인 프로세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rocess Evaluation of Participation Design for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 (4), 119-130.
- Kwon, H. S. (2012, January 2). 공공디자인의 역사와 평가-DD Forum 8[YouTube video].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poU4Df_stUo.
- Kwon, Y. G. et al. (2011). 공공디자인행정론[Public Design Administration Theory], Seoul: Nalmada.
- Lee, H. C. et al. (2010).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Assessment Tool Applicable to Urban Park],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1 (5), 401-412.
- Lee, K. S. (2012). 서울시 가로변 버스셸터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중심에서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tan City Wayside Bus Shelter : Focusing on Universal Desig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Industrial &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 Lee, M.H. (2007). 현대행정학의 이해 [Understanding of Current Public Administration], Seoul: Daewang.
- Lee, S. Y. (2011).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추진실태 및 대응전략 [The Implement of Public Design Pilot Projects and Countermeasures]. KRILA focus, -(34).
- Lee, Y. B. et al. (2010).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거주 후 평가(POE)에 관한 연구[The Study on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Public Facilities Design].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29 (-), 79-90.
- Lee, Y. S. et al. (2013).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의 방향성 연구[A Direction for Evalua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2013 International Autumn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Design Science, 2013.12, 296-299.
- Lee, Y. S. (2006).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평가방법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An Improved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in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16 (3), 1-32.
- Lynch, K. (1981). A Theory of Good City Forum, Boston: MIT Press.
- Oh, C. S. (2013). 공공디자인에서 타자 관계에 있는 ‘시민’['Citizens' as Others in Public Desig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1), 465-481.
- Park, N. O. et al. (2008). 2008 주요 재정사업 성과평가 2008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ajor Financial Projects], Seoul: KIPF.
- Park, S. J. et al. (2012). 공공디자인측면에서 본 어반 폴리 프로젝트의 이용 후 평가: 건축학 전공 학부생의 평가를 중심으로[Post 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Folly Projecin Terms of Public Design - Focusing on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2), 105-114.
- Park, J. Y. (2006). 디자인경영 전략을 위한 다중 디자인정책 체계 [Multiplex Design Policy System for Design Management Strategy]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Design Management,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 Park, Y. Y. (2008). 도시문화 형성에 있어서 민관협력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A Study on Establish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the Formation of City Culture]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 Shin, Y. C. et al. (2010).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Design Policy as Urban Design - Focused on Evaluation for the Public Design Policy of Seoul].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1 (4), 5-22.
- Song, S. M. (2009). 한국 디자인정책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Evaluation for National Design Policy of Korea]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 Sung, Y. J. (2009). ‘사회 미학’의 관점에서 본 공공디자인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ity' of Public Design from a Point View of 'Social Aesthe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2 (1), 105-114.
- Yoo, B, H. (2013).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본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Design based on Sustainability]. Journal of Digital Design, 13 (2), 93-102.
- Yoon, J. Y. (2013).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 국가별 비교와 서울특별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Public Design Policies of Korea]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