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9, No. 3, pp.217-229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6
Received 07 Jun 2016 Revised 03 Jul 2016 Accepted 05 Jul 2016
DOI: https://doi.org/10.15187/adr.2016.08.29.3.217

A Study on Selecting Korea's 50 Superior Designs

ChungSungmo ; 정성모 ; LeeSoonjong ; 이순종 ; KimJongkyun ; 김종균 ; JeongHoon정훈
Department of Design, Hanyang Cyber University, Seoul, Korea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 서울, 대한민국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서울, 대한민국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aejeon, Korea 특허청, 대전, 대한민국 Korea Institute of Design Management, Seoul, Korea 한국디자인경영연구소, 서울, 대한민국
한국의 우수디자인 50선 선정 연구

Background It has been more than half a century since the modern notion of the industrial design was introduced to Korea. Recently, the design phase of Korea is at a world-class level in terms of its industrial outputs and its prestigious international design awards. Afte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with the process of Western countries, despi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ial design and culture that was achieved over a relatively short time period compared to Western industrialized countries, efforts to raise awareness of the excellence and originality of Korean designs have been somewhat lack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basic study for discovering superior design and building utilization system to inform about the designs of Korea both at home and abroad.

Methods At First,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selecting design cases which have a similar nature and then we establishe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sign candidates. Second, we researched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design evaluations and established the evaluation criteria. Thirdly, we investigated the design candidat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complemented those through the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by an advisory group consisting of each sector. Finally, we selected the final 50 items by performing the advisory group's evaluation and carrying out the citizens' preference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two sets of criteria were established for selecting design candidates and evaluating excellent designs and 50 items were selected as superior designs.

Conclusions The 50 superior design items from this study have value as the results for the life of Kore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Korea's industry and culture.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when government agencies or aid organizations plan the selection of Korean designs and carry out the exhibition. Also, this study can be a catalyst that can increase and spread the excellence and value of Korean designs both at home and abroad.

초록

연구배경 한국에 근대적 의미의 산업디자인이 도입된 지 반세기가 넘은 현시점에서 한국 디자인의 위상은 산업 결과물과 권위 있는 국제디자인 상의 수상 측면에서 세계정상권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서구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기간의 과정을 거쳐 이룩한 디자인의 산업과 문화적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자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한국 디자인의 우수성과 독창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한국의 디자인을 알리기 위해 우수디자인 발굴과 활용체계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첫 단계로 본 연구와 유사한 성격의 디자인 선정사례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여 디자인 후보선정 기준을 정립하였다. 둘째 단계로 디자인 가치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가치평가 기준을 정립하였다. 셋째 단계로 후보선정 기준에 따라 디자인 후보 안을 조사하여 1, 2차 후보를 선정하였고, 각 분야별 자문단을 구성하여 추천 및 평가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후보 안에 대해 가치평가를 실시하고, 시민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여 최종 50선을 선정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우수디자인선정을 위한 후보선정 기준과 가치평가 기준을 정립하였으며, 한국의 우수디자인 50선을 최종 결과로 도출하여 자료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50선은 한국의 산업과 문화의 발전에 따라 한국인의 삶을 위해 창작된 결과물로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 기관 및 지원 단체들이 한국디자인의 선정과 전시를 계획하고 수행할 때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한국디자인의 우수성과 가치인식을 제고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Keywords:

Korea Design, Design Evaluation, Design Selection, Design Industries and Culture, Superior Design Evaluation, 한국디자인, 디자인가치평가, 디자인선정, 디자인산업과 문화, 우수디자인평가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에 근대적 의미의 산업디자인이 도입된 지 반세기가 넘은 현시점에서 한국 디자인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디자인상을 가장 많이 수상하는 국가 중의 하나라는 측면에서 세계정상권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서구 선진국에 비해 단기간에 거쳐 이룩한 디자인산업의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자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한국디자인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노력은 디자인계에서조차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적으로 자국민들에게 발전된 디자인 산업과 문화를 지닌 국가로서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대외적으로는 자국의 우수한 디자인 산업과 문화 역량을 인식시키고 확산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장 선행되어야 할 연구는 우수성과 독창성을 지닌 한국의 디자인을 발굴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전시 및 출판 등을 통하여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활용하고, 한국 디자인의 산업과 문화의 가치를 역사적으로 축척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한국의 디자인을 알리기 위한 우수디자인 발굴과 활용체계구축의 기초연구로서 문화체육관광부의 후원으로 수행 되었으며, 해방 후 60년간 디자인 되어온 결과물에 대해 후보선정기준과 가치평가기준을 정립하고, 이에 따라 후보군을 선정한 후 그중 최상위 가치를 갖는 디자인 50점을 선정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2. 후보선정기준 및 가치평가기준 연구

2. 1. 선행 우수디자인 선정사례 고찰

한국의 디자인 50선을 위한 후보군을 선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선행연구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우수디자인 선정의 선행연구 사례로는 ‘우리를 닮은 디자인’, ‘한국 디자인 DNA연구’와 ‘한국의 디자인 프로젝트 50’ 등이 있으며, 선행연구의 개요와 본 연구진행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선정기준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1) 우리를 닮은 디자인전

한국디자인문화재단 아카이빙 사업의 일환으로 2008년에 진행된 '코리아 디자인 2008'은 '한국인의 일상에 영향을 끼친 한국적 아이덴티티를 지닌 품목'이라는 주제로 52가지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품목은 칠성사이다, 시발택시, A501 라디오, 대전차 장애물, 이태리 타올, 마포아파트, 철가방 등이다. 한국디자인문화재단 갤러리 ‘D+’에서 '우리를 닮은 디자인 KOREA DESIGN HERITAGE 2008'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했으며, 동 제목으로 전시 도록 겸 도서를 발간하였다.

강현주 외 6인의 연구진(Kang et al, 2009)은 한국적 아이덴티티를 갖고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인의 삶의 방식을 형성하거나 구체적인 영향을 끼친 대상을 선정기준으로 산업제도권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과 일상적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디자인된 것을 선정하였다.

Figure 1

Korea Design Heritage 2008‘s book and exhibition

(2) 한국디자인DNA연구

한국디자인DNA연구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이 2011년 ‘디자인 정책・정보 서비스 선진화’라는 목적으로 3년여에 걸쳐서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김영기를 단장으로 하여 각계 전문가 50여 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결과로 선정된 품목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국디자인진흥원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다. 연구목적이 디자인 자체가 아니라, 디자인의 원류를 찾는 인문학적 배경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정기준으로 한국적 디자인의 철학과 특성을 추출하여 '자연과의 조형적 조화', '자연의 원리를 이용한 과학성', '단아하고 소박한 멋', '부드러운 곡선의 미', '정적인 미와 역동적인 미' 등을 주요 특징으로 정립하고(Jung, 2011), 이로부터 건축, 가구, 도자ㆍ유기, 의복, 인문정신, 예술정신, 산업디자인 분야에 걸쳐 한국적 디자인 키워드를 잘 살려서 현대 산업 사회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문화적 파급력을 가진 디자인이라고 판단되는 대표사례 141품목을 선정하였다.

Figure 2

Korean Design DNA Research‘s Web pages

(3) 한국의 디자인 프로젝트 50

디자인 전문잡지인 월간디자인은 2011년 10월호의 기사로 전문디자이너 135명에게 의뢰하여 한국 대표디자인 50선을 선정하였다. 제품, 그래픽, 광고, 인테리어, 공공디자인 등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의 다양한 품목을 선정했다. 특히 가로쓰기 조판방식, 광고, 편집디자인, 궁궐안내판, CI, 간판디자인 등 시각디자인 분야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정기준은 4가지로 현대적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 산업에 끼친 영향력이 큰 프로젝트, 디자이너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프로젝트, 조형적인 관점에서 완성도가 높고 디자인적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방식은 설문 형식으로 국내 디자이너 135명에게 추천을 받아 최종 50선을 선정하였다.

Figure 3

Korean Design Project 50's book and selected works

2. 2. 후보선정기준의 정립

문헌중심으로 수행한 국내 우수디자인 선정사례와 디자인 선정의 평가기준에 대한 고찰은 본 연구의 디자인 후보군 선정 및 평가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마련해 주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기준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인의 생활형성, 산업적 영향력, 문화적 파급력, 국제 경쟁력, 조형적 완성도, 디자이너 참여 및 주도 등 5가지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공통 키워드에 대해 일부 내용에 대해서는 논의를 거쳐 재조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일례로, 한국의 디자인과 같이 특정 국가를 지칭하기 위해서는 행위자인 디자이너와 결과물인 디자인에 대한 속인주의와 속지주의적 관점을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선행사례연구의 결과로 볼 때, 일부 디자인에 대해서 해외 디자이너에 의해 디자인되고 국내에서 양산된 결과물을 의식하여 속지주의적 관점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에서 최초로 디자인되었거나 양산된 산업적 의미에 초점을 맞춘 결과로 파악된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것은 해외 디자인의 수입 및 라이선스 기술에 의해 단순 양산한 것과 순수 국내 디자인 창작 및 주도적인 기술에 의해 제작 된 것을 구분하여 선정기준을 명확하게 마련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우수디자인 50선을 선정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들의 우수디자인 선정 키워드를 통합적으로 수용하고, 일부 문제 사항에 대해 논의와 재조정을 거쳐 후보선정기준을 아래와 같이 4가지로 정립하였다.

첫째, 시대적 기준으로 1945년 대한민국의 해방 이후, 본 연구의 수행년도인 2014년까지로 한다. 예를 들어 종묘(1394)의 경우 우리의 건축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1995)에 등재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나 근대 이전의 작품으로 후보선정에 포함되지 않았다.

둘째, 속인과 속지주의에 대한 기준으로, 연구대상인 디자인 작품의 담당 디자이너는 한국인 혹은 한국계 재외동포로 한정하였으며, 작품 활동지역은 국내, 국외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현대 포니(1975)의 경우에 국내 첫 독자모델이자 수출모델이라는 점에서 산업적 측면의 의의와 가치는 매우 높으나 이탈리아의 디자이너 쥬지아로(Giorgetto Giugiaro)가 디자인한 것이며, 엔진이나 주요 부품은 일본 미쓰비시 사의 것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조립하였다. 따라서 디자인사적으로는 연구가치가 훌륭하나 본 연구의 범위로 한정한 기준에 따라 이와 같은 디자인은 후보선정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단순히 해외 라이선스를 회득하여 국내에서 일부 디자인을 변경하여 생산한 것을 제외하고, 독자적인 디자인에 의해 국내 기술로 제작된 것으로 한정하였다. 일례로 삼성자동차의 SM5(1998)의 경우 닛산자동차의 2세대 ‘세피로(수출명 맥시마)’를 기반으로 디자인 일부와 편의사양을 국내 사정에 맞게 변경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 기업이 기술력과 생산경험이 전무한 실정에서 해외 기업에 의존하여 개발한 디자인은 제외하였다.

넷째, 해외 디자인에 대한 복제, 스타일 카피 등의 문제가 있는 디자인은 후보선정에서 제외하였다. 잠실올림픽 주경기장(1984)의 경우 서울올림픽을 치른 기념비적인 경기장이나 프랑스의 파리 스타디움(1972)과 유사한 점이 있다(Kim, 2015). 이와 같이 해외 디자인의 도용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거나, 전례가 있는 디자인 작품들은 후보선정에서 제외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관점으로 정립한 후보선정기준 및 선정대상을 선행사례연구들과 비교해보면 아래 Table 1과 같다.

Comparison of this study with previous researches

2. 3. 우수디자인 가치평가기준 정립

한국의 디자인 후보군 선정이후 최상위 50선 선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보 사례들의 디자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디자인평가기준에 대한 선행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신익수(Shin,2014)의 연구에 의하면 국내외 디자인 시상제 및 인증제 7개를 대상으로 우수디자인을 선정하기 위한 심사항목의 주요 평가기준들은 30가지로 파악하였으며 이중 가장 반영률이 높은 주요한 기준으로 혁신성, 심미성, 소재성, 생산성, 독창성, 사용성, 품질성, 기능성, 안전성 등이 공통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다시 인간적 요인, 기술적 요인, 비즈니스 요인, 사회적 책임 요인 등 네 가지 요인으로 재분류하였다. 또한 이시창(Lee, 2008)은 브루스 아쳐(Bruce Archer), 황두빈, 홍현주 등 11명의 국내외 학자들의 디자인 평가기준요인을 연구하여 16개의 평가기준들을 추출하였는데, 이중 가장 반영률이 높은 기준으로 기능성, 심미성, 편의성, 상징성 등이 공통적 요소로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개의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 산업계와 학계의 디자인 가치 평가기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던 데 의의가 있었으며, 두 연구에서 가치평가기준 반영률이 높은 항목 8개를 정리해보면 Table 2와 같다.

The main evaluation criteria of the design awards and the certification and design scholars

두 가지 선행연구의 평가요인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본 한국의 디자인의 선정 연구에서는 디자인 주체나 기업과 관련된 사업성과 측면에서의 비즈니스 요인을 제외한 인간, 기술, 사회 측면에서 세 가지 평가요인을 설정했다. 각 평가요인 별로는 두 가지씩의 평가항목을 두어 총 여섯 가지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즉, 인간적 측면의 평가 요인에는 ‘독창성’과 ‘조형성’을, 기술적 측면에서는 ‘혁신성’과 ‘효용성’을, 사회적 측면에서는 ‘문화성’과 ‘파급성’을 가치평가기준으로서 적용하여 Table 3과 같이 용어를 정의하여 기준을 정립하였다.

Design evaluation criteria

2. 4. 가치평가기준별 가중치 적용방안

선정 디자인은 시각, 제품, 공간, 패션 및 디자인 문화, 경영, 서비스 등 사례의 분야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가치평가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등 비교평가가 불가능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한국디자인의 우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 사례여야 하는 연구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례에 가치평가의 중요도를 다르게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가중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가중치는 향후 선정된 50선의 개별 디자인이 디자인적 관점에서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가늠할 수 있는 가치척도의 기준으로 작용한다.

자문위원을 대상으로 5점 척도 스케일의 평가기준 및 가중치 적용과 관련된 의견을 조사하였다. 한국의 우수디자인의 선정을 위한 전체적인 사례 평가 측면의 가중치는 Figure 4와 같이 사회적 요인의 평가기준인 ‘문화성’, ‘파급성’이 각각 5점 만점에 4.4점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인간적 요인의 평가기준인 ‘독창성’이 4.2점, ‘조형성’이 4점으로 측정되었고, 기술적 요인의 평가기준인 ‘혁신성’이 3.8점, ‘효용성’이 3.0‘으로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낮게 평가되었다. 이를 분석하여 보면 가치평가기준에서 사회적 요인, 인간적 요인, 기술적 요인 순으로 평가의 중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4

Applying analysis of the weighted value in evaluation criteria

본 가중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선정된 디자인에 대해서는 분야별로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가중치 적용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분야별 가중치는 전체 가중치와 분야별 가중치의 평균값으로 계산하고 분야별로 가중치의 합계가 달라지므로 각 분야별 가중치의 합이 100%가 되도록 값을 치환하였다. 각각의 평가항목에 분야별 가중치를 1/10(치환 가중치가 18.5%일 경우 '평가값*1.85')으로 곱해주었으며, 이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가중치 환산값을 도출하였다. 이를 도표화하여 정리해보면 Figure 5와 같다.

Figure 5

Applying and converting of the weighted value in evaluation criteria


3. 한국의 디자인 50선 후보 선정 및 평가

3. 1. 1차 디자인 후보군 조사 및 분석

우수디자인 후보선정을 위해 디자인 분야를 시각, 제품, 건축/공간, 패션/패션악세서리, 디자인경영/서비스디자인, 디자인문화와 같이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1차적으로 후보군으로 조사하여 주요 내용을 Table 4와 같은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Data mining and arrangement formality

총 120여 점의 예비 후보군 중에서 4가지 후보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85점을 1차 후보작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세부분야를 보면 시각디자인 10종, 제품디자인 10종, 운송디자인 3종, 산업공예 2종, 콘셉트디자인 2종, 건축 7종, 인테리어 3종, 환경디자인 3종, 공공디자인 4종, 패션디자인 9종, 패션소품 5종, 디자인 문화 18종, 디자인경영 3종, 서비스 5종이 추천 안으로 조사하였다.

3. 2. 1차 디자인 후보군 평가 및 제언 반영

1차 자문회의의 목적은 한국 디자인 후보작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보완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총 5명의 디자인 전문 영역별 자문위원들과 분야별 전문연구원 5인이 각 선정후보군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의견과, 디자인선정후보에 대해 제기된 주요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디자인에서 한국의 해석에 대한 문제

한국의 디자인이 ‘한국적’이라는 전통과 정체성을 포함하는 것인지를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한국인에 의해 디자인 된 결과물로 그것을 사용하고 향유하는 한국인의 정서와 가치관에 영향을 끼친 것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우리의 문화가 산업과 융화된 결과물로 나타난 것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여 50선을 선정하는 것으로 정립하였다.

(2) 디자인의 기본적 조형성에 대한 문제

한국의 디자인은 그 역사적, 산업적, 문화적인 의미도 중요하나 기본적으로 디자인의 조형성이 중요하다. 특히 우리의 문화를 현대 제품으로 반영한 불판, 덕트, 김치냉장고, 황토침대 등과 같이 전통이 현대화된 것은 의미있는 디자인으로 인정하나 조형성이 떨어진다. 디자인이 가지는 의미와 실제 디자인된 결과물에 대한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선정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3) 맥락적 변화를 지닌 디자인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

일부 디자인은 그 맥락적 변천을 보여줄 수 있도록 몇 개 디자인을 묶어서 대표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안상수체는 한글의 창제원리가 반영된 한글 폰트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디자인으로 특정 폰트 하나만으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김치 냉장고의 경우에도 한국의 식문화를 담은 제품으로 특정 제품 디자인이 잘 되었다기보다는 김치 냉장고 디자인의 개념 전체를 묶어서 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CI나 BI의 경우에도 시대상황에 맞게 디자인을 리뉴얼하여 바뀌어 나가는 특징이 있는데, 하나의 디자인 대상에 따른 시대적 변화의 소산이므로 전체 맥락 속에서 조형성이 뛰어난 디자인으로 선정하되 디자인 전체를 소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기로 하였다.

3. 3. 2차 75선 후보선정 및 평가

2차 후보군의 선정은 1차 자문단 회의에서 1차 후보군 50점과 추천작 16점을 추가하고, 1차 후보작 중 1차 자문단 회의에서 제기된 ‘맥락적 변화를 지닌 디자인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그중 9점의 디자인은 통합적으로 맥락과 변천을 보여줄 수 있도록 재조사 및 재 기술을 실시하여 총 75개의 후보군을 재확정하였다.

자문단과 연구진에 의해 후보군 75선에 대한 디자인 가치평가를 수행하고 선행 연구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각의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또한 디자인 후보 75선에 대해 시민 100명에게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시민평가단은 20대 40명과 3~50대 일반인 60명으로 구성 되었으며, 후보 디자인 75선에 대해 5점 척도 스케일로 점수를 체크하도록 한 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최종 우수디자인 50선의 선정은 자문단과 연구진의 가치평가를 기준으로 시민선호도를 참조하여 확정하였다. 이를 정리해 보면 Table 5와 같다.

Final Selected Design 50 items and evaluations

3. 4. 선정된 50선 디자인 분석

50점의 디자인 선정안을 시대별로 분류를 해보면 대다수의 디자인이 90년대 중반 이후, 2000년대에 분포되어 있다. 그 이유는 첫째, 후보선정 기준에 따라 산업초기의 단순 라이선스에 의해 생산된 제품을 제외했거나, 해외 디자인의 스타일이나 콘셉트 복제 등의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한 결과로 분석이 된다. 또한, 디자이너에 대한 기준으로서 한국인 혹은 재외 한국계 디자이너로 한정하여 산업초기 해외 디자이너에 의해 생산한 것을 제외한 것과도 관계가 있다.

둘째는 한국 정부가 90년대 이후 디자인원년 선포, 디자인진흥 전담부서의 설치 및 디자인 국제교류를 확대한 결과가 반영된 점으로 관측된다. 정부의 진흥사업 결과로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ㆍ산업적 인식의 전환, 대기업 중심의 디자인 조직 정비, 투자 확대가 이루어진 시기가 1990년대 중반이었으므로(KOTRA, 2008), 이 시기를 기점으로 각 분야별로 독창적이고 우수한 디자인이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이유로는 디자인 결과물의 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제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자인 최종 결과물의 품질이 90년대 이후 급격하게 향상됨으로써 조형성과 혁신성에 대한 평가를 높게 받았고, 인터넷과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한 IT와 SNS시대의 문화성과 파급성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시각 영역과 건축/공간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1990년대 이전 디자인 작품이 다수 선정이 되었다. 진로BI, 칠성사이다BI, 커피믹스 패키지와 N서울타워(남산타워) 등 한국인의 삶과 그 맥을 같이 해온 디자인과 함께, 88서울올림픽 휘장, 호돌이, 평화의 문 등 국가적 이벤트의 결과로 오랫동안 각인되어온 기념비적인 디자인으로서 가치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Figure 6

Selected design distribution map by Years

본 연구의 목적상 순위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위 10위권의 디자인을 정리해보면 전문가의 가치평가와 시민선호도 조사의 결과 사이에 아래 Table 5와 같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esign evaluation in top 10

전문가의 디자인 가치평가와 시민 선호도에서 뽀로로, 네이버, 포도호텔과 카카오톡이 공통적으로 10위권 내에 선정되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면, 전문가들은 김치냉장고가 가지는 문화성과 혁신성을 높게 평가한 반면, 시민들은 카카오톡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편리하게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청계천과 평화의 문이 연구진과 자문단 사이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시민선호도에서는 각각 10위와 18위로 높게 평가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공공정책에 의해 수행된 디자인 프로젝트가 전문가 관점에서 조형성이나 혁신성 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나, 시민들은 입장에서는 자주 접하고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효용성과 파급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한국의 우수디자인 선정에 대한 연구로서, 디자인 선정을 위한 조사 및 분석 과정의 연구를 통하여 후보선정과 가치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최종적으로 50점의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50선의 디자인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으며, 선행연구사례들을 감안하면 연구관점과 방법에 따라 선정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들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디자인 문화 지원 단체들이 한국의 디자인을 선정하거나 전시를 계획할 때 선정기준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디자인을 대중들이 인지하게 된다면 각 분야의 디자인이 지닌 가치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 문화가 지닌 잠재적 역량에 대한 자긍심을 향상시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산업 패러다임이 급변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수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한국산업의 과거와 현주소를 파악하고 미래 디자인산업을 선진화시키는 촉매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 인적자원의 부족으로 정량적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후속연구 등을 통하여 디자인 분야의 각 영역이 지닌 고유한 특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 문화 및 산업의 발전에 따라 디자인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진화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의 선정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시대상의 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가치의 연속성을 탐구하고, 한국미의 근원, 전통을 반영한 디자인 등의 주제와 연계하는 보완적 연구가 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done by 20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Research Fund.

*본 연구는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연구비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Notes

Citation: Chung, S., Lee, S., Kim, J., & Jeong, H. (2016). A Study on Selecting Korea's 50 Superior Design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9 (3), 217-229.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Editorial Department. (2011, September). Korean Design Project 50's. Monthly Design, 400, 142-177.
  • Kang, H., Kim, M., Kim, Y., Kim, J., & Park, H. (2009). Korea Design Heritage 2008. Korea Design Foundation, Seoul, Korea.
  • Kim, J. (2015). The Influences of Japanese Design o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and the Task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8 (3), 190. [https://doi.org/10.15187/adr.2015.08.28.3.187]
  • Korean Design DNA Research. (n.d.). Retrieved July 5, 2016, from http://kddna.designdb.com/03_etc/dna.asp.
  • Korean Design Project 50's. (n.d.). Retrieved July 5, 2016, from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1/57213.
  • Lee, S. (2008). A Model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roduct Design Element Evaluation : based on design application at a new product planning st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Ahn Sung, Korea.
  • Research team of KIDP & KOTRA. (2009). Design industry trend of European and American developed countries. KOTRA Report . Seoul, Korea.
  • Shin, I. (2014). A Study on the good design evaluation criteria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i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DAS, Seoul, Korea.

Figure 1

Figure 1
Korea Design Heritage 2008‘s book and exhibition

Figure 2

Figure 2
Korean Design DNA Research‘s Web pages

Figure 3

Figure 3
Korean Design Project 50's book and selected works

Figure 4

Figure 4
Applying analysis of the weighted value in evaluation criteria

Figure 5

Figure 5
Applying and converting of the weighted value in evaluation criteria

Figure 6

Figure 6
Selected design distribution map by Years

Table 1

Comparison of this study with previous researches

연구 선정기준 키워드 선정대상
우리를 닮은 디자인전 -한국적 아이덴티티
-한국인의 삶의 방식을 형성하거나 구체적인 영향을 끼친 대상
고유성
문화성
파급성
산업제도권
자생적 디자인
한국 디자인 DNA 연구 -자연과의 조형적 조화
-자연의 원리를 이용한 과학성
-단아하고 소박한 멋
-부드러운 곡선의 미
-정적인 미와 역동적인 미
고유성
역사성
문화성
자연성
조형성
과학성
산업제도권
역사적 유물
한국의 디자인 프로젝트 50 -현대적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
-산업에 끼친 영향력이 큰 프로젝트
-디자이너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프로젝트
-조형적인 관점에서 완성도가 높고 디자인적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
현대성
산업성
파급성
조형성
산업제도권
한국의 디자인 50선 연구 -해방이후 한국의 현대디자인
-한국인에 의한 수행된 디자인
-독자적인 디자인과 산업기술로 제작
-해외디자인 도용논란이 있는 디자인제외
고유성
문화성
독창성
파급성
산업제도권

Table 2

The main evaluation criteria of the design awards and the certification and design scholars

디자인 시상제 및 인증제의 평가항목 디자인학자들의 평가항목
기준 반영 빈도 기준 반영 빈도
혁신성 7 심미성 8
심미성 5 기능성 7
소재성 5 편리성 4
생산성 4 상징성 4
독창성 3 시장성 2
사용성 3 경제성 2
기능성 3 독창성 2
품질성 3 신뢰성 2

Table 3

Design evaluation criteria

요인 기준 평가 용어 정의
인간 독창성 조형적 요소의 독창적 차별성의 확보 정도 평가
관련 가치요인 : 신규성, 독창성, 차별성, 컨셉의 우수성
조형성 심미성 등 조형적·예술적 측면의 가치 정도 평가
관련 가치요인 : 예술성, 심미성, 표현성, 조화성
기술 혁신성 기술 및 적용 요소의 신규성 및 창의성 평가
관련 가치요인 : 혁신성, 선도성, 융합
효용성 기능, 편의성, 생산성 등 효용가치 평가
관련 가치요인 : 실용성, 기능성, 편의성, 생산성, 경제성
사회 문화성 고유한 사회적 가치, 집단 문화 등의 반영 정도 평가
관련 가치요인 : 사회성, 지역성, 환경성, 사용자문화, 생활
파급성 관련영역에 대한 파급효과 및 영향력의 정도 평가
관련 가치요인 : 효과성, 국제성, 영향력, 파급력

Table 4

Data mining and arrangement formality

번호 제목 이미지 디자인 가치요소 요약 제작/디자인
C-01 뽀로로 독창적인 캐릭터와 스토리
남북합작 애니메이션의 제작 세계적 브랜드 인지도 상위권
아이코닉스/오콘
P-01 SCH-T100 한국강가의 조약돌 디자인모티브
‘익숙한 듯한 새로움’ 조형추구
삼성의 첫 '텐밀리언셀러' 모델
삼성전자/현상민
S-05 선유도 공원 서울의 풍수와 어울림추구
산업시대의 잔재를 생태공원화
도심 재생의 국내 첫 사례
서울시/조성룔
F-01 바람의 옷 한복의 심미성을 현대적으로 구현
전통적 요소의 활용 동양적 아름다움의 세계화
이영희
M-09 네이버 대표적인 한국형 포털 사이트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축 성공사례
집단지성을 통한 지식서비스
네이버/디자인팀

Table 5

Final Selected Design 50 items and evaluations

번호 영역 제목 전문가 평가 시민선호도
평균 가중치 점수
점수 환산
A-01 시각 뽀로로 4.50 44.81 89.52 82
A-03 시각 한글폰트 3.61 36.34 72.61 80
A-04 시각 천지인 키패드 4.44 44.33 88.56 72
A-05 시각 설화수 3.33 33.64 67.21 78
A-06 시각 칠성 사이다 BI 3.78 37.77 75.47 70
A-07 시각 진로 BI 디자인 3.67 37.35 74.63 77
A-08 시각 우체국 CI 3.11 31.55 63.03 67
A-09 시각 88올림픽 휘장, 호돌이 3.67 36.80 73.52 69
A-10 시각 온라인 게임 4.39 44.04 87.99 69
A-11 시각 커피믹스 패키지 4.11 40.95 81.82 65
A-12 시각 김교만 그래픽 작업 3.06 30.74 61.42 60
A-14 시각 YG 뮤직 그래픽 작업 3.89 38.96 77.84 69
A-15 시각 서울시 인포그래픽 시스템 3.44 34.71 69.35 75
A-16 시각 테스코 홈플러스 가상매장 3.78 37.74 75.40 64
B-01 제품 SGH-T100 3.72 37.46 74.99 70
B-02 제품 KV5900 (LG초콜릿폰) 3.83 38.59 77.26 75
B-03 제품 갤럭시 S3 3.61 35.90 71.87 62
B-04 제품 아이리버 IFP-100 4.06 40.89 81.86 63
B-05 제품 전기밥솥 디자인 4.28 42.77 85.62 66
B-06 제품 김치 냉장고 디자인 4.50 45.25 90.58 66
B-07 제품 아트 디오스 프렌치 3.50 34.92 69.92 69
B-08 제품 보르도 TV 3.89 38.79 77.66 77
B-10 제품 맥포머스 3.67 36.60 73.28 63
B-11 제품 코메론 3.67 36.39 72.86 58
B-14 제품 녹말 이쑤시개 4.17 41.87 83.82 65
B-15 제품 돌판/덕트 4.17 42.01 84.10 60
B-16 제품 광주요 3.72 37.38 74.83 63
B-17 제품 하지훈 가구 3.61 36.46 72.99 60
B-19 운송 스포티지 3.11 31.17 62.40 64
B-20 운송 쏘울 3.67 36.73 73.54 64
C-01 건축 공간사옥 3.61 36.53 73.05 69
C-06 건축 경동교회 3.83 38.65 77.31 64
C-07 건축 라궁호텔 3.78 39.11 78.23 70
C-08 건축 포도호텔 4.17 42.13 84.26 78
C-09 공간 김해 기적의 도서관 3.44 34.24 68.49 70
C-10 공간 선유도공원 4.00 40.50 80.99 79
C-11 공공 전주 한옥마을 3.61 36.78 73.57 74
C-13 공공 청계천 3.61 35.79 71.57 77
C-14 공공 평화의 문 3.17 31.85 63.69 71
C-15 공공 N서울타워(남산타워) 2.89 28.55 57.09 64
D-01 패션 바람의 옷 콜렉션 3.39 34.20 68.33 61
D-02 패션 아시아나 항공 유니폼 3.11 31.24 62.42 66
D-05 패션 앙드레김 콜렉션 3.06 30.95 61.83 61
D-07 패션 Stori Handbags 3.39 33.98 67.89 62
E-01 서비스 인천공항 4.11 40.58 81.07 81
E-02 서비스 싸이월드 3.44 34.55 69.03 73
E-04 서비스 네이버 4.28 43.07 86.05 82
E-05 서비스 카카오톡 4.17 42.12 84.15 84
E-06 경영 파머스파티 3.17 31.78 63.62 65
E-07 경영 현대카드 3.83 38.29 76.66 78

Table 6

Design evaluation in top 10

순위 전문가 평가 점수 시민선호도 점수
1 김치 냉장고 90.58 카카오톡 84
2 뽀로로 89.52 뽀로로 82
3 천지인 키패드 88.56 네이버 82
4 온라인 게임 87.99 인천공항 81
5 네이버 86.05 한글폰트 80
6 전기밥솥 85.62 선유도공원 79
7 포도호텔 84.26 포도호텔 78
8 카카오톡 84.15 현대카드 78
9 돌판/덕트 84.10 설화수 78
10 녹말 이쑤시개 83.82 보르도 TV,진로 BI, 청계천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