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6, No. 3, pp.287-302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3
Received 21 Mar 2013 Revised 22 Apr 2013 Accepted 06 Jan 2013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08.26.3.287

Template of Archives of Design Research

LeeHa Eun ; YooTeak Sang
The Graduate School of Lifestyle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Lifestyle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서사학적 기준을 적용한 리노베이션 유형 구분

Background Most of renovations that are being conducted nowadays have been initiated generally for economic reasons and other improvements but still, regarding how those renovations would go, people try to reuse old buildings to maintain some meaningful factors from the past even if it would cost them more money. In order to protect the meanings of the buildings and everything, people would still leave old designs as they are or make new designs look old on purpose. The thesis believed that the renovation was not merely a simple process of reusing neglected spaces only because of costs or physical reasons, so as a result, it focused meaningful viewpoints that the renovation would stand for to understand how the renov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modern times. Afterwards, the study proposed renovation standards that would be used in the futur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e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ism and systemized it by adopting narratology. More specifically, based on Mieke Bal’s three elements of narrative structure – fabla, story, text –the process of renov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which were visualized in a diagram. The five classified types were analyzed by assigning renovation cases in Korea and elsewhere.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enovation was not only achieved from a physical perspective such as the form or material, but it also emphasizes the semantic aspect.

Results Renovation examples were substituted to a selected diagram,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ampl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Regarding those factors as a structure, history, functions and symbols and lastly, direction and experience, they would be divided into fabula, story and text but still, since they were all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the substitution, they were categorized into various forms. When people try to find old spaces in their past, they mostly want to have this 'experiences in the past' again with them. That is why they did the renovation while not only did they protect the past as much as possible but also fulfilled the contemporary designs at the same time. If they had not preserved the past, they have reproduced any symbolic factors from the past so that other people could experience the past once again in their lifetime.

Conclus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renovation to use it as a reference point for renov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as it attempts to suggest diversity of design by combining narratology with design.

초록

연구배경 오늘날 행해지고 리노베이션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이유 또는 그 밖의 형태적인 개선 등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현대의 리노베이션의 양상 중에는 오래된 건물을 재사용함에 있어서 비용이 더 들더라도 의미적인 부분을 유지하기 위해 낡은 요소를 남기거나 새것을 의도적으로 낡게 만들어 재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흐름을 통해 단순히 비용이나 물리적인 이유에서 그저 방치된 공간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없었다고 여겨져 이러한 리노베이션이 갖는 의미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춰서 현재 행해지는 리노베이션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 향후에 이루어질 리노베이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리노베이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조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서사학이라는 학문을 도입하여 체계화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케발의 서사구조인 파블라( Fabla), 스토리(Story), 텍스트(Text) 3요소를 통하여 리노베이션의 과정을 6가지로 유형화 하였고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유형화된 6가지 요소들은 국내외 역사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건물들로 리노베이션 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대입하였고,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추출된 6가지의 요소들이 갖는 특징을 통해 구체화 시킬 수 있었다.

연구결과 리노베이션 사례를 추출된 다이어그램에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 총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조와 역사, 기능과 상징, 그리고 연출과 경험이라는 요소들은 파블라, 스토리, 텍스트라는 구분이 있지만 상호적인 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대입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사람들이 과거의 공간을 찾게 될 때 얻고자 하는 ‘과거의 경험’을 하고자 하는 흐름으로 인해 과거의 모습을 최대한 지키며 현대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옛 모습을 지키지 않았다면 과거의 상징적인 것들을 재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바로 이와 같이 행해지는 리노베이션이 갖는 인지적인 관점에 대해 초점을 맞춰서 리노베이션이 어떤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밝히고 향후 리노베이션의 참고점으로 사용하고자함이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서사학을 접목시킨 연구로서 디자인의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novation, Narratology, Structuralism, 리노베이션, 서사학, 구조주의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오늘날 ‘re-'라는 개념은 사회 전반적으로 하나의 흐름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래의 것‘, ’과거의 것‘을 재해석하는 방법은 사람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전해질 뿐 아니라 ’다시‘ ’재再‘의 반복과 지속의 개념은 환경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대에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키워드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리노베이션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사고에서는 건물의 재사용하는 리노베이션은 경제적인 이유 또는 이미지개선과 그 밖의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행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리노베이션 양상 중에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과거의 건축물을 활용하되 그에 맞게 맞춰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우 낡은 요소들을 남겨 당시의 분위기를 유지하려 하였고 새것을 의도적으로 낡게 만들어 재현하려는 노력을 찾을 수 있었다. 어떠한 경우는 골조를 그대로 사용함에 있어서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건물이 갖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 리노베이션을 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것은 오래된 건물이 이젠 더 이상 비용절감의 목적이나 오래된 처치 곤란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의 이러한 리노베이션 시도는 단순한 재활용의 목적이나 보존이 아닌 과거와 현재의 조화로움 안에서 기존의 것을 경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존의 것을 경험하는 데에 있어 형태적인 것보다는 그것이 갖고 있는 의미를 더욱 중요시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행해지고 있는 리노베이션을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물리적, 의미적 관점으로 나누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유형화하였다. 그리하여 향후에도 행해지는 리노베이션이 단순히 물리적인, 경제적 이유 뿐 아니라 다양한 이유에서 사회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히고, 리노베이션을 바라보는 기준을 마련하여 리노베이션의 목적과 방법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리노베이션의 대상이 되는 건물이나 구성물을 바라 볼 때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골격이나 인테리어, 감각적인 연출요소와 우리가 주관적으로 해석 하거나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정신적인 부분을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물리적, 인지적인 부분으로 바라보고 이들이 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시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구조주의적 관점은 구체적으로 서사학에서 함축적인 내용과 형식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특히 미케발이 제시한 파블라, 스토리, 텍스트라는 서사학의 삼중구조를 이용하여 리노베이션의 과정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미케 발의 파블라, 스토리, 텍스트 각각의 요소에 물리적인 부분과 인지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총 6가지로 유형화 하였고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리노베이션 각각의 사례들은 과거의 것을 얼마나 유지하고 어떠한 관점에서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였으므로 국내외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건축학적 등의 이유로 보존가치가 있어 앞으로 지속적으로 보존되고 활용도가 높은 사례들로 무선 추출하였다. 그 이유는 건물의 형태와 목적 그리고 지역 등의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현재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리노베이션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의 범위는 현상을 분석해서 그로부터 어떠한 경향성이나 이론을 도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디자인 분석이 물리적, 형태적, 시각적 즉, 디자인 창작물에 집중 되었다면, 이것은 조금 더 깊이 들어가서 디자인이 인지적인 인간의 심리와 디자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서사학을 적용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인문학과 영상 미디어학과 관련되는 학문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대부분 서사학(narratology) 즉, 의미와 구조를 총체적으로 적용시킨 것이 아닌 이야기학(narrative)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강혁진 (Kang,2002) 서사의 기본이 되는 연속성이라는 측면을 통해 건축공간에서의 동선과 흐름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그 외, 역사박물관의 전시를 서사적 구로서 분석한 최유나(Choi,2012)의 연구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화예작품을 서사적 시간성에 기인한 화예작품의 표현가능성을 확장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는 정현숙(Jung, 2007)의 실험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관련 학문에서 서사학의 구조를 도입한 사례는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사구조를 통해 공간 디자인을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리노베이션과 서사학

2.1. 리노베이션의 개념

리노베이션은 기존 건물의 물리적인 형태를 보수하거나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는 것으로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방식에 유연하게 변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현정, 이혜영, 그리고 김태훈(2000)의 리노베이션 연구에서는 리노베이션의 성격을 시기에 따라 생활의 방식과 규범이 변화하므로 건물을 사회에 적응해야 한다는 전제를 두고 접근해야 한다는 좀 더 본질적인 개념을 들어 설명하고 있었다. 리노베이션이란 기본적으로 남겨진 것과 새것이 결합이다. 남겨진 것은 원래의 구조나 역사, 당시의 경험의 일부이며, 새로운 것에는 연출 요소나 감각적인 경험이 있을 수 있다. 이같이 리노베이션에 있어서 과거의 것과 과거의 것을 받아들이는 방법, 그리고 새로운 것을 바라보는 관점은 언어학에서 시작된 구조주의를 통해 설명이 가능하다.

2.2. 구조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관점은 사람이나 사물 등 어떠한 개체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혼자가 아닌 다른 개체들과의 관계에 따라 규정된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른다면 어떠한 현상을 바라볼 때 일방적인 입장이 아닌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구조주의의 원류에는 마르크스 헤겔 니체 프로이트1 등 여러 학자들이 자신들의 견해를 말하고 있지만, 기본이 되는 것은 인간에 대한 탐구로 본인이 직접 적으로 알 수 없는 마음의 활동이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지배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누구나 갖고 있는 보편적인 어떠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어떠한 사물을 바라볼 때 겉으로 보이는 사실만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좀 더 깊숙이 들어가 내면의 것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리노베이션을 파악한다면 표층 구조인 물리적인 면에 치중되기 보다는 심층구조인 인간이 느끼는 인지적이면서도 한편으로 한 대상의 의미를 중시하는 내면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조주의적 관점에서의 서사학개념을 실제 리노베이션에 적용하여 보기로 한다.

2.3. 서사학의 도입

구조주의와 기호학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서사학(narratology)은, 'narrative이야기‘라는 의미와 ’ology학문‘이라는 뜻으로 함축적인 의미와 내용, 그리고 서사의 형식적인 문법이나 구조를 총체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사학을 도입하여 리노베이션의 형태와 의미를 파악하고, 실제 리노베이션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미케 발의 서사이론을 도입하고자 한다.


3. 분석의 실행

3.1. 미케발의 서사학 적용

서사학은 서사텍스트에 관한 이론으로 존재하는 특정 자료들에 대해 일반화시킨 진술들을 체계화시킨 학문이다.2 일반적으로 서사학의 이원론적 이론이 되는 스토리(story)와 담론(discourse) 즉, 내용과 형식을 미케 발은 삼원론적으로 풀어내었다. 그의 해석은 파블라, 스토리, 텍스트로 좀 더 세분화되는데, 파블라는 이원론적 개념에서 스토리에 해당하는 내용이 되고, 스토리와 텍스트는 담론, 즉 형식에 가까운 범위라고 할 수 있다. 미케 발(Mieke Bal)의 이러한 3가지 서사구조는 상호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독자적으로 존재 할 수는 없지만 독립적으로 분석은 가능하다.3 고 하였다.

(1) 파블라(Fabla)

파블라는 어떠한 이야기나 상황에 있어서 필수 요건이 되는 대상과 과정(사건)을 말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기본요소가 된다. 이것은 소설이나 드라마,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리-메이크 되는 과정에서 원작 즉, 가장 핵심이 되는 사건(event)를 말하는 것으로서, 파블라는 항상 변하지 않고 스토리 단계에서 시대에 맞게, 대상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다.

(2)스토리(Story)

하나의 핵심요소인 파블라는 스토리에서 순차적으로 다양하게 만들어지는데 스토리에서는 동일한 파블라를 이용하더라도 다루는 방법에 따라 표현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은 하나의 원작이 리메이크가 되는 것과 같다. 우리는 동화, 성서나 신화 고전 속에 있는 핵심 즉, 파블라를 잘 알고 있고, 또한 그 속에 내제된 상징성을 잘 알기에 스토리단계에서 시대에 맞게 각색이 된다 하더라도 단번에 어떤 이야기를 말하는 것인지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

(3) 텍스트( Text)

텍스트는 파블라와 스토리를 제시하는 방법으로서 서사 속에서는 언어텍스트를 말한다.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은 동화 ‘신데렐라’ 이야기를 같은 텍스트로 읽은 것이 아니다. 언어텍스트가 갖는 의미는 같지만 전달하는 형식이 제각각으로서 표현방법이 다르다 하더라도 함축된 내용은 같다.

Figure 1

Mieke Bal's narratology structure

3.2 미케발의 서사구조를 도입한 리노베이션

다음은 미케 발의 3요소를 리노베이션에 대입하여 각각의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실제 리노베이션의 분석에 있어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대입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구조주의적 관점을 통해 물리적, 그리고 인지적인 관점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1)파블라(Fabla) - 구조와 역사

파블라는 시대가 변하더라도 바뀌지 않는 기준이 되는 핵심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건물의 리노베이션에서 기본 골격 즉, 유지하여야 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었고 물리적인 구조는 그에 따른 의미적인 역사를 갖게 된다. 과거의 같은 공간, 예를 들어 그것이 교회였다고 가정하여 현재 쇼핑몰과 도서관4 (Figure 2)으로 기능이 변하였고 연출 역시 전혀 다르게 바뀌었다 하더라도, 이용하는 사람은 구조와 그에 따른 인지적인 역사를 인식하기 때문에 동일한 파블라(기존의 같은 교회 )임을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Figure 2)

Figure 2

Identical Fabla, Different Renovation

(2)스토리(Story) - 기능과 상징

하나의 파블라가 스토리 단계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면 리노베이션에 있어서 가장 많은 변화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공간은 시대에 맞게, 또는 이용자의 취향이나 필요에 의해 기능 변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물리적인 기능은 상징성을 포함하기 마련이다. 여기서 상징성이란 물리적인 기능을 따르는 상징성이 있는 반면에 오직 상징적인 기능을 하는 상징성이 존재하기도 한다. 오래되고 낡은 공장의 기계들은 현재 기능적인 역할은 사라졌지만 과거의 공장임을 상징적으로 알려주는데 이는 오히려 현재 공간의 중요한 설정이 되기도 하기도 한다. 리노베이션에 있어서 기능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분위기 또는 경험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인지적인 상징성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3) 텍스트( Text) -연출과 경험

미케 발의 서사구조에서 파블라와 스토리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던 언어텍스트는 리노베이션에 있어서 구조와 기능을 표현하는 연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공간을 찾는 목적이 ‘이용’이라고 한다면 오래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공간을 찾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용’보다는 ‘과거의 경험’을 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경험’이라‘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으로 퍼스의 기호학에서 말하는 ’해석체‘와 같은 정신적인 개념으로서 공간 경험 유무와 차이는 사람마다 다를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 과거의 경험을 전달하는 것을 연출의 과정에서 연출의 방식 또는 정도에 따라 공간을 찾는 이용자들에게 인지적인 경험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으로 직접 또는 경험을 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리노베이션의 유형은 총 6가지의 형태로서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Figure 3

Renovation on the Mieke bal's structure

리노베이션 유형의 요소들은 앞서 언급한 미케 발의 3요소와 같이 상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고 각각의 분석이 가능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소들의 특징들은 실제 분석에 있어서 기준이 되었다.

Feature by elements on Renovation types

3.3. 분석 및 유형화

(1) 분석의 실행

사례의 분석에 앞서 본 연구는 현재 리노베이션 경향에 있어서 과거의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하나의 흐름으로 보았고 흐름 파악에 있어서 실제 분석을 할 사례들의 기준을 건물의 형태나 크기 또는 장소의 범위 등으로 정하여 분석하기 보다는 현재 역사성을 띄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리노베이션이 이루어진 사례를 무선 추출하였다. 이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리노베이션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바라봄으로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흐름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기존의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기준이 필요했으므로,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으로 보존해야하는 가치가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것은 후세에 이어갈 수 있는 사례들로서 리노베이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지속’이라는 개념에 걸맞게 지속적으로 리노베이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사례들로 추출하였다. 기본적으로 파블라(구조와 역사)는 유지가 되고 있으며, 스토리(기능과 상징), 그리고 텍스트(연출,경험)의 변화의 유무에 따라 붉은 색으로 변화가 있음에는 붉은 표시를 나타내었다.

Example on renovation types

①리노베이션 유형 A

Figure 4

Type A

과거 감옥이었던 (유형A)는 기존의 높은 벽과 분리된 내부 구조, 좁은 복도 등의 기존의 구조를 모두 유지하였으며 그러한 구조로 인해 호텔이라는 기능을 찾게 되었다. 낡은 요소들은 모두 제거 되었고 벽면, 바닥 조명, 가구 등 새로운 연출이 이루어졌으나 연출의 과정에서 과거의 요소들을 재현하였고 그 밖의 과거의 경험을 전달하려는 상황적 연출까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5

Type A

구조적으로 모든 것을 유지하였고 공장의 상징인 녹슨 기계들이 오히려 현재 갤러리형 카페의 설정이 되는 경우이다. 이는 산업화 시대의 노동자들의 공간이 현재에는 아티스트, 또는 카페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창작의 공간 또는 쉼터로 리노베이션 된 경우로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하여 최소한의 연출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서 감옥의 사례와 같은 A유형은 감옥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낡은 요소들은 제거하면서도 과거의 경험을 전달하였다면, 이 같은 사례는 실제과거의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서 경험을 유지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②리노베이션 유형 B

Figure 6

Type B

일반적인 구조를 유지하여 이 건물이 가지고 있던 역사를 자연스레 남겨둔다. (유형B)는 과거의 기차역의 내부를 카페로 변화시켰다. 연출에 있어서 시계탑 내부의 공간은 파란 스테인드글라스 벽면과 천장에 매달린 종 모양의 램프가 설치되어, 시계가 있는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이라는 환경적인 요인을 통해 바다를 연상시키는 것이다. 건물이 기차역이었으므로 시계라는 상징성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연출자의 의도에 있어서 공간에서 느껴지는 과거의 경험은 사라졌다고 할 수 있었다.

③ 리노베이션 유형 C

Figure 7

Type C

(유형C)는 200년 된 일본식 가옥의 목욕탕이었던 곳으로 기본적으로 구조와 역사가 유지되고 있다. 현재 갤러리로 용도가 변경 되었고 다양한 전시가 이루어 지므로 가변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간에서 느껴지는 과거의 상징성, 그리고 그로인한 과거의 경험은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④리노베이션 유형 D

Figure 8

Type D

(유형D)는 한옥을 서양식으로 개조한 주거공간이다. 서양인이 생활하기엔 적합한 입식형태로 실용성 위주 리노베이션 되었으며, 한옥의 뼈대만을 살리고 내부를 입식의 형태로 바꾼 기능적인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바닥과 벽면 역시 현대식으로 리노베이션 되었다. 외부에서 보이는 기와지붕과 내부의 천장 서까래 등 한옥의 상징적인 요소를 유지하였지만, 공간 내부에서 느낄 수 있는 과거의 분위기는 사라져 경험 역시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⑤리노베이션 유형E

Figure 9

Type E

(유형E)의 사례는 일제시대 때 만들어진 한국의 통의동에 위치한 평범한 여관이었다. 한국문학사의 시초가 되는 여러 문인들이 기거하며 작품 활동을 하던 곳이었고 그러한 상황들로 인해 구조가 보존이 되고 있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이것은 다른 사례들과는 달리 인지적인 역사에 의해 물리적인 구조가 유지된 독특한 경우로서, 기능 또한 당시 문인들의 행위를 재현하고 있다. 물리적으로 기능이 변하였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보안여관’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실제 창작의 공간과 동시에 투숙의 기능까지 함께 하고 있다는 점을 통해 기능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연출은 전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기에 변화 있음으로 두었다.

(2) 분석의 결과

리노베이션 사례 44곳을 6가지 유형에 맞게 대입하여 분석할 결과 5타입의 유형이 나타났다. 그리고 41곳에서 상징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그 중 3곳은 상징성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경험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었다. 리노베이션 사례의 공통점은 기본구조를 이용하여 적용 가능한 기능을 찾는다는 것, 그리고 기존의 장소의 특징이나 상징성을 통해 현재 기능의 설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좁은 복도와 분리된 감옥과 기차가 호텔이 되기도 하고, 넓은 공장이 갤러리 또는 카페가 되거나, 층층별 돔 형태의 공연장이나 교회가 대형서점이 되는 경우가 기본구조를 이용하여 기능을 찾게 된 경우의 일반적인 특징이었으며 과거 기능을 현재 공간의 설정으로 이용함에 있어서는 상징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징성은 어떠한 설명이 없이도 감각적으로 누구나 알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인 동시에 그 곳만이 가지는 의미가 있는 표시이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한 공간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리노베이션이 여러 번 이루어진 경우, (Figure 2)의 쇼핑몰은 80년대 뉴욕의 클럽이었음을 상징적인 모습들로 알 수 있었다. 그 외,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과감하게 연출이 된 곳이라면 당시 상황을 재현하여 체험을 유도하는 연출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연출의 방법과 정도에 따라 과거의 경험이 고스란히 전달되기도 하고 현대적인 요소들과 섞여 독특한 경험으로 전달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유형E)와 같이 본래의 공간이 갖고 있는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같은 경우는 최대한의 옛 모습을 유지한 채 그저 관람이 아닌 과거의 모습을 체험을 전달하려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었다. 분석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Characteristic result on five different renovation types


4. 결론

4.1. 결과의 해석

리노베이션이 되는 과정에서는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구조를 알아야 했고 이 때 구조의 특징은 현재의 기능에 따라 설정 되었다. 또한 과거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상징성을 남기거나 재현을 통한 연출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직.간접 적인 경험으로 전달되었다. 그리고 오로지 경험을 위한 공간이라면 역사를 들춰내지 않을 수 없었다. 6가지 유형들은 이처럼 서로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통해 좀 더 다양한 사례들을 대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뿐만 아니라 전체 분석을 통해 그곳의 원래 크기나 형태 그리고 장소와는 관계없이 과거의 경험을 하려는 이들은 기본적으로 공간의 ‘이용’에 있어서 ‘문화’라는 키워드를 통해 ‘과거의 경험’을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이처럼 자신들이 추구하는 것을 어떤 물리적인 기준에 가둬놓지 않고 주어진 조건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래된 침몰하였던 타이타닉 호가 2016년 출항을 앞두고 관심을 받고 있다고 한다. ‘20세기의 복장을 하고 있는 것처럼‘ 이라는 설정과 현대 사회에서 필수가 되는 TV,인터넷 설치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독특한 과거의 경험에 대한 기대감을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과거의 모습을 물리적으로 재현함과 동시에 당시의 상황까지 연출하여 경험을 이끌어내려는 이러한 시도는 그것을 바라봄에 있어서 단순히 형태적이고 시각적인 관점에서만 단정 지어 생각할 것이 아니라 공간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들과 다양한 행동들 그리고 경험을 통해 좀 더 본질적인 의미 파악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4.2.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본 연구는 서사학에 디자인을 접목하여 리노베이션의 유형을 분석한 경우로 공간디자인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리노베이션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실제 공간을 가지 못하는 경우는 사진자료나 유투브 영상 또는 관련기사, 후기 등을 통해 분석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기초적인 연구에 초점을 두어 미케 발의 서사학을 도입하여 연구하였으므로 향후 좀 더 현대적인 서사적 학문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Glossary

1) 19세기 유럽의 주요한 사상가들로서, 대표적 사상은 물질적 이익을 통한 동기유발(마르크스), 성적동기유발(프로이드), 그리고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 ;남을 억압하고 지배하는것이 아닌 나 자신을 스스로 다스리고 책임짐으로서 강한 힘을 갖는다는 의미) (니체)이지만 이들의 기본사상에 있어서 공통적 관심사는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2) 미케 발(Mieke bal), (1999), 서사란 무엇인가, p13

3) 앞의 책, p1

4) 19세기 성공회성당이었던 미국 뉴욕에 위치한 라임나이트마켓(Lime Light market place)는 미국국가 역사등록문화재로NRHP(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로 지정된 건물로서 1983년 ‘더 라임나이트’라는 나이트클럽으로 바뀌었다가 2009년 쇼핑몰로 리노베이션 되었다 http://www.limelightshops.com/ 13세기 네덜란드 마스트리히에 위치한 고딕양식의 교회가 오랫동안 방치과정을 겪고 2006년 서점으로 리노베이션 되었다. http://www.selexyz.nl/winkel/38/selexyz-dominicanen

5) 새로운 상징물이란 리노베이션이 되면서 현재 변화된 상태를 상징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과거 화력발전소에서 미술관으로 리노베이션 된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Tate Modern)미술관의 경우 과거 공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굴뚝 꼭대기에 반투명 패널을 사용하여 변화를 알렸고 밤이면 템즈강을 밝히는 등대역할을 하는 테이트모던이라는 새로운 상징물이 되었다.

Notes

Citation: Lee, H., & YOO, T.(2013). Template of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287-30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Lee, H. (2001). A study on the Renovation Tendencies in the pursuit og Value Variation .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Kim, T. (2002).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changes of the Concept of Renovation/Remodeling . Yonsei The Graduate School, Seoul, Korea.
  • Lee, H. (2005) A study on the Epression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Interior Space Renovation in a Continued Way . Gachon University, Seoul, Korea.
  • Kang, H.(2002)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Approach through the Theory of Narrative: Focused on the Narrative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 Inha University, Seoul, Korea.
  • Jung, H.(2007) A Research on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Floral Artworks by Adopting Narratological Approaches from Personal Experiences . The Graduate School at Desien at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Choi,Y.(2012) A Study on Exhibition Direct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by Narrative Structure . Kookmin Graduate School of Design, Seoul, Korea.
  • M, Bal. (1995)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Moonye Publishing.
  • William, H, Itteson (1995) Enviromental Psychology. Sungwon Publishing.
  • Han, Y.(2002) 서사이론과 그 쟁점들. Moonye Publishing.
  • www.skaithebathhouse.com.
  • www.thewappingproject.com.
  • www.musee-orsay.fr/en/visit/services/restaurants.html.
  • http://cafe.never.com/indesignclub/125480.
  • http://cafe.naver.com/boaninn/2 Template of Archives of Design Research.

Figure 1

Figure 1
Mieke Bal's narratology structure

Figure 2

Figure 2
Identical Fabla, Different Renovation

Figure 3

Figure 3
Renovation on the Mieke bal's structure

Figure 4

Figure 4
Type A

Figure 5

Figure 5
Type A

Figure 6

Figure 6
Type B

Figure 7

Figure 7
Type C

Figure 8

Figure 8
Type D

Figure 9

Figure 9
Type E

Table 1

Feature by elements on Renovation types

Table 2

Example on renovation types

Table 3

Characteristic result on five different renovation types

파블라(FABLA) 스토리(STORY) 텍스트(TEXT)
구조 기능 연출
기본골격유지 기본 구조를 이용하여 적용 가능한 기능을 찾는다. 최대한 기존의 모습을 유지한 채 현대적인 요소와 결합 한다.
역사 상징 경험
역사적 사건, 상황으로 보존가치 복원이 되며 시대에 맞게 재현 또는 새로운 상징물5이 나타나기도 한다. 상징과 연출의 영향을 받으며 직.간접적인 경험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