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장애인 화장실의 휠체어 사용자를 배려한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 고려 사항 연구
초록
연구배경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는 고정식이어서 키가 작거나 큰 사람뿐만 아니라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중 장애인 화장실을 이용하는 휠체어 사용자들을 배려한 가변형 세면대 개발 시 참고할 만한 디자인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첫째, 국내외 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한 세면대 관련 선행 연구와 가변이 적용된 세면대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 고려 요소를 도출하였고 수직, 수평으로 가변 되는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디자인 안을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디자인 고려 사항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세면대가 수직으로 가변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무릎 공간이 확보되었고, 수평으로 가변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가 변기에 앉은 채로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세면대 정면 접근을 위해 바닥에서 650~750mm의 수직 가변 범위가 요구되었고, 좌변기까지의 수평 가변을 위해 세면대와 좌변기 간격 750mm를 기준으로 가변 범위 설정이 요구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가변형 세면대의 디자인 고려 사항은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세면대 접근 및 사용성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향후 노인,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가변형 생활 보조기기의 연구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다.
Abstract
Background Since the washbasin installed in the toilet for the disabled is fixed, it is inconvenient for a wheelchair user as well as a short or tall person to us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design consideration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developing a variable washbasin in consideration of wheelchair users who use public disabled toilets.
Methods First, previous studies on washbasins considering domestic and foreign wheelchair users and cases of washbasins with variables applie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variable washbasin design were derived, and a design proposal that was variab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as presented. Third, a prototype was produced based on the design proposal and design considerations were verifi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By adjusting the sink vertically, the space for the wheelchair user's knees is secured, and by adjusting it horizontally, the wheelchair user can use the sink while sitting on the toilet. A vertical variable range of 650 to 750 mm from the floor was required for frontal access to the sink for users of manual and electric wheelchairs, and a variable range setting was required based on the 750 mm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oilet for horizontal variation to the toilet seat.
Conclusions The design considerations for the variable washbasin not on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ess and usability of the washbasin for users of manual and powered wheelchairs, but also can be appli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adjustable devic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n the future.
Keywords:
Flexibility, Wash Basin, Accessibility, Accessible Toilet, 가변형, 세면대, 접근성, 공중 장애인 화장실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장애인의 자립 생활과 여가 활동을 위해서는 위생과 관련된 욕실, 화장실의 설비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인개발원(KODDI, 2018)의 장애인 편의 시설 실태 전수조사에 따르면 공공, 민간시설의 장애인 화장실 세면대 설치율은 91.4%, 적정설치율은 84.8%로 나타났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휠체어의 성능은 향상되어 전동휠체어 이용 비율이 증가하였지만, 장애인 화장실 설치 규격은 수동휠체어에 맞추어져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장애인 화장실 출입구의 폭과 화장실 바닥 면적도 넓어져서 전동휠체어의 시설 접근이 편해지긴 했지만,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 세면대의 경우 설치 높이가 고정되어 전동휠체어의 진입이 어려워 세면대 이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는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UD) 관점에서 장애 유형과 이동 수단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중 장애인 화장실의 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장애와 위생 기기 사용을 고려하여 조절 가능한 가변형 세면대 개발을 위한 디자인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를 대상으로 휠체어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첫째, 공중 장애인 화장실의 세면대 설치 기준과 휠체어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국내외 장애인을 고려한 세면대 관련 연구와 가변이 적용된 세면대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 안을 도출했다. 넷째,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가변형 세면대의 접근성, 사용성 등을 검증하였다.
2. 세면대와 휠체어 사용자 특성
2. 1. 세면대의 구조와 설비
세면대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수도꼭지(수전), 용기를 받쳐주는 브래킷(선반대), 세면대에 물을 가두어둘 수 있는 팝업(세면볼), 수전을 연결해주는 세면대 고압 호스와 앵글밸브, 물을 잘 흘러가게 할 수 있는 배수 처리관으로 구성되어있다. 보건복지부령(MOHW, 1998)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에 의하면 장애인 화장실의 세면대 설치 의무 사항으로 휠체어 사용자의 접근성을 위해 Figure 1에서 세면대의 상단 높이는 바닥 면으로부터 850㎜, 하단 높이는 6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세면대의 하부는 휠체어 사용자의 무릎 및 휠체어의 발판이 들어갈 수 있게 되어야 한다. 휠체어의 활동 공간을 고려하여 변기 전면에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1400mm × 1400mm의 활동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휠체어 회전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 설치되어서는 안 된다. 선택 사항으로 목발 사용자 등 보행 곤란자를 위하여 세면대의 양옆에 수평 안전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2. 2. 휠체어 유형과 세면대 사용
국민건강보험법 시행 규칙 장애인 보장구에 대한 보험급여기준(제26조 제1항 관련)에 따르면 수동휠체어는 양팔 및 자세 균형 제어 기능이 양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휠체어를 작동할 수 있는 경우 사용하고,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는 상체 및 손의 힘이 약하거나 상실해서 체력이나 근력이 부족한 지체장애인과 보행 능력이 저하된 노인, 관절염 및 심폐질환 환자가 사용한다고 하였다. 휠체어 사용자는 시설 접근 시 단차 제거와 휠체어의 활동 공간이 필요하며, 전후좌우 방향으로는 손이 닿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통계청(KOSIS, 2016)의 장애인 외출 시 이동 수단 조사에 의하면 전동휠체어 이용 비율이 4.2%(92,841명)로 가장 높고, 전동스쿠터 1.8%(39,789명), 수동휠체어 1%(22,105명) 순서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KODAF, 2018)에 의하면 장애인 화장실 설치 규격은 수동휠체어에 맞춰져 있어서 전동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실정이며 세면대 밑의 무릎 공간은 수동휠체어 사용자가 겨우 들어갈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진입하기 어려워 세면대 이용이 곤란하다고 하였다.
Figure 2에서 비장애인,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존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 사용 과정을 관찰하였다.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안정된 자세에서 세면대를 사용하지만,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전동휠체어의 리모컨 조작부가 설치된 안전손잡이와 간섭이 생겨서 허리를 숙이고, 양손을 쭉 펴야 사용할 수 있었다. 수동휠체어와 전동휠체어의 앉은 오금 높이는 모델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바닥면에서 약 50~100㎜ 이상 높이 차이가 나며, 휠체어 사용자는 오랜 탑승을 위해 100㎜ 이상의 의자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앉은 오금 높이는 더 높아질 수 있다.
3. 선행 연구 및 사례 분석
3. 1. 세면대 선행 연구
세면대 개발을 위한 내용을 중심으로 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한 세면대 개선과 UD를 적용한 국내외 선행 문헌을 조사하였다. 미국 장애인 복지법(ADA, 2010)에서는 휠체어 사용자의 원활한 접근을 위해 국내 기준과는 달리 Figure 3에서 전방 도달 범위, 세면대 아래의 무릎 여유 공간과 배관 아래 발판 공간을 위해 구체적인 치수를 제시하였다. 매리 조 피터슨(Mary Jo Peterson, 1998)은 휠체어 사용자의 무릎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세면대 아래의 각종 지지대, 배수관 등을 내부로 매립하고, 모든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여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장애인개발원(KODDI, 2018)은 세면대 높이는 휠체어 종류 및 사용자마다 선호하는 높이가 있으므로 모든 사람을 수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세면대 하부 공간의 경우 휠체어 등을 배려해 비워져 설치되고 있지만, 세면대 전면에 설치된 가로형 안전손잡이로 인해 세면대로의 도달 거리가 멀어 이용 시 어려움이 있으므로 안전손잡이와 세면대의 거리 등을 검토하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최웅, 김원섭, 고영준(Choi, Kim, & Ko, 2021)은 공공임대주택 욕실 위생 기기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대응을 위해 핵심 디자인 요소로서 가변성을 제시하였다. 가변성은 사용자 행위에 최적화된 운동 방식 적용과 안정적인 고정장치 등을 포함한 가변 구조, 휠체어 사용자 및 장애인의 신체 치수와 동작을 수용한 가변 범위, 가변을 위한 조작부는 찾기 쉽고, 손이 닿는 범위 내에 설치 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일본 TOTO는 높이를 조절하는 세면대 개발을 위해 키가 작은 아이(110cm), 키가 큰 남성(180cm), 휠체어 사용자의 작업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하기 쉬운 세면대의 높이를 제시하였다,
3. 2. 가변형 세면대 사례
가변형(Flexibility)은 모양이나 성질을 바꾸거나 다르게 할 수 있는 형태, 융통성 있는, 유연한 대응이라는 사전적 의미이다. 이은지(Lee, 2018)는 가변형 디자인은 다양한 가능성과 상황 그리고 고정형으로부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으로서 형태나 구조를 변화시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가변형 세면대는 사용자의 신장, 앉은 높이 등을 고려하여 수직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 가변형 세면대와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 최소화 등을 위해 수평 가변이 조절되는 수평 가변형 세면대로 구분될 수 있다.
국내 유디시스템에서 개발한 높낮이 조절 세면대는 노인, 휠체어 사용자 등 간단한 조작으로 바닥에서부터 600㎜~850㎜ 사이에서 자신에게 편리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일본 TOTO의 높이 조절 세면대는 노인, 휠체어 사용자, 가족 동거인 간에 신장이 다를 때 세면대의 높이를 660㎜~810㎜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대응으로 세면대의 전면부는 손으로 잡기 쉽고, 팔꿈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에서 30㎜ 낮추어져 디자인되었다.
영국 Ropox의 회전세면대(Swing Wash Basin)는 180도 회전 이동을 통해 휠체어 사용자가 좌변기에서 앉은 상태에서 손을 씻을 수 있어서 용변을 본 후 휠체어 이승하여 세면대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Figure 6에서 회전 반경이 600㎜이어서 최대 1200㎜까지 수평 가변이 가능하고, 벽면 유닛을 통해 수동으로 바닥으로부터 750㎜~950㎜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세면 도기의 모양은 휠체어 사용자가 여러 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원 형태이다.
덴마크 Pressalit사의 세면대는 높이 조절뿐만 아니라 벽면에 장착된 수평 레일을 통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세면대의 높이는 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하여 바닥면에서 668~968mm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평 가변을 위해 유연한 호스로 연결된 급수, 배수 처리관을 통해 다양한 화장실 환경에서 좌변기와 가까운 위치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수평 레일에 연결된 높이 구동장치에 일반 세면대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매우 좋다.
사례 분석 결과 table 1에서 업체별로 가변 유형과 가변 범위는 다르지만, 이들 세면대는 600㎜~960㎜ 사이에서 높낮이 수직 가변이 가능하고, 180도 회전과 벽면 레일 이동을 통해 수평 가변이 가능하다. 사례별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 개발
4. 1. 디자인 고려 요소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서 경증장애인은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휠체어에서 좌변기까지 스스로 이승이 가능하지만, 중증장애인 대부분은 개호인의 도움이 없이 혼자 힘으로 좌변기를 사용하기 힘들다.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에서 가장 우선으로 고려된 대상은 변기 사용 후 세면기 사용이 가장 곤란한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과 그다음으로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증장애인이다.
휠체어 유형과 휠체어 사용자의 작업 범위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무릎 공간을 고려한 수직 가변 영역, 발판 공간을 고려한 하부 공간, 팔 동작과 관련된 도달 가능한 범위, 좌변기까지 접근을 고려한 수평 가변 영역을 고려하였다. Figure 8에서 수동과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무릎 공간을 고려하여 세면대 하단 높이의 가변 범위를 바닥 면에서 650mm~850mm로 수직 범위를 적용하였다. 휠체어 사용자가 전면에서 수전을 사용하기 위해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도달 가능한 범위로서 ADA 휠체어 대응 세면대의 전방 도달 범위를 참고하여 약 600mm로 설정하였다. 세면대의 수평 가변의 영역은 공중 장애인 화장실 내 좌변기 설치 위치와 휠체어 활동 공간을 고려하여 600mm~1200mm 이내로 설정하였다. 가변 전 세면대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다가 잠금이 풀리면 회전축을 따라 좌변기까지 접근하는 수평 가변되는 동작으로 설계하였다.
세면 행위와 관련된 수전과 가변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장치, 세면 도기, 안전손잡이로 구성하였다. Table 2 에서 세면 도기는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풀림이 가능한 구조로서 고려하였다. 가변 조절 장치는 손동작이 어려운 장애인을 고려하여 높낮이 상하조절 버튼은 누름버튼 방식으로 상하 화살표 모양을 표시하여 세면대 전면부에 위치하였고, 세면대 고정이 풀리는 잠금해제 버튼은 지지대 부분에 배치하였다. 수전은 손으로 잡고 돌리지 않아도 되는 광감지식 수전으로 고려하였다. 안전손잡이는 세면대의 가변을 고려하여 세면대와 결합한 구조와 상하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타입으로 고려하였다.
4. 2. 공간, 세면대 프로토타입
공중 장애인 화장실의 공간적 환경과 좌변기와 세면대의 배치 간격과 접근적, 기능적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가변형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Figure 9에서 세면대 프로토타입은 Rofox사의 회전축을 활용한 수평 가변 사례를 기초로 아이디어 스케치와 렌더링을 한 뒤, 적층 방식 모형제작과 3D 프린팅 등을 활용하여 1:1 규모의 디자인 목업(Mock-up)을 제작하였다. 장애인 화장실 유효바닥면적 기준을 고려하여 실험 공간(Test bed)을 조성하였고, 프로토타입의 벽면 거치와 높낮이 가변 범위 조절을 위해 50mm 간격의 GRID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처음 설치된 세면대의 하단 높이는 650mm이고, 세면대와 좌변기의 거리 간격은 휠체어의 좌변기 측면 접근을 위해 750mm으로 설정하였다.
5. 가변형 세면대 디자인 검증
5. 1. 사용성 평가 개요
휠체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가변이 가능한 세면대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행위를 관찰하고, 불편 사항을 파악하여 디자인을 검증하는 것이 사용성 평가의 목적이다. 피험자는 수동휠체어 사용자(남녀) 2명, 전동휠체어 사용자(남) 1명(개호인 동행)이었다. 사용성 평가의 주요 Task는 Table 3에서 세면대 앞까지 접근, 수전을 조절해 손을 씻는 행위, 변기에서 세면대를 사용하는 행위이며, 불만족(○), 보통(◑), 만족(●)으로 측정하였다. Task 수행 중에 구두로 피험자에게 가변형 세면대의 구성 요소에 대해 불편 사항을 확인하였다.
5. 2. 사용성 평가 결과 및 분석
세면기 앞까지 접근 task에서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세면대의 하단 높이 650mm가 무릎 공간으로서 접근이 수월하였고, 전동휠체어 사용자는 750mm 높이가 접근이 수월하였다. 피험자의 주관적 의견으로 기존 세면대보다 접근이 수월하다고 하였지만,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세면대의 회전축과 휠체어의 무릎 공간이 활동에 간섭되어 방해될 것 같다는 의견과 전동휠체어 사용자는 안전손잡이로 인해 접근이 수월하지 않다고 하였다. 손을 씻는 task에서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 모두 손을 씻기에 적당한 수전의 위치와 세면기의 크기라고 하였다. 다만 세면대의 각진 모서리가 날카롭다는 의견을 주었다. 좌변기에서 세면대를 사용하는 task에서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 모두 휠체어에서 이승하지 않고 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손을 씻는 방식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잠금해제 버튼의 위치를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좌변기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 모두 세면대가 가변 중인 상태에서 고정되지 않아서 신체를 지지하는 데 불안하다고 하였다.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앉은 오금 높이는 Figure 10에서 바닥면에서 650mm보다 낮아 세면대의 아래 공간에 깊게 진입하였고, 무릎 부위와 세면대의 하단 회전축에서 간섭이 발생하였다. 디자인 개선 방안으로 세면대의 하단 높이를 650mm 안에 가변형 회전축을 포함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전동휠체어 사용자는 세면대의 하단 높이가 700~750mm일 때 전동휠체어의 리모컨 조작부와 세면대 전면부에서 간섭이 발생하였지만, 수전 도달 거리와 세면대를 사용하는 행위는 가능하였다.
세면대의 수평 가변 범위는 좌변기를 기준으로 세면대의 거리 간격 750mm와 가변형 세면대의 회전 반경 600mm를 고려하여 세면대의 수평 가변 회전축이 750mm 범위 안에 설치될 필요가 있었다. Figure 11에서 세면대와 좌변기가 같은 벽에 있는 위치보다 세면대와 좌변기가 서로 수직인 벽에 있는 위치일 때 좌변기에 앉은 휠체어 사용자가 세면대를 정면 각도로 사용할 수 있었다. 가변형 세면대의 구성 요소에 대해 Table 5에서 불편 사항을 정리하여 디자인 개선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6. 결론
본 연구는 공중 장애인 화장실에서 수동, 전동휠체어 유형에 따라 세면대 접근에서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화장실 내에서 최소 이동을 위해 UD 관점에서 고정된 세면대에서 가변형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가변형이 적용된 세면대 사례에서 디자인 특징과 고려 요소를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수동, 전동휠체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면대의 높낮이가 수직으로 가변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무릎 공간이 확보되었고, 수평으로 가변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채로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었다.
고정된 세면대에서 가변형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 첫째, 세면대의 수직 가변을 위해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바닥면에서 세면대 하단까지 650mm,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경우는 750mm 확보가 요구되었다. 수동휠체어는 무릎 부위와 세면대 하단 회전축, 전동휠체어는 리모컨 조작부와 세면대 전면부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좌변기까지 접근을 위한 수평 가변은 세면대와 좌변기 사이 간격 750mm를 기준으로 가변 범위를 고려해야 한다. 세면대와 좌변기가 서로 수직인 벽에 있었을 때 좌변기에 앉은 휠체어 사용자의 세면대 접근성은 향상되었다.
셋째,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 쉬운 가변을 하기 위해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과 풀림을 조작할 수 있는 가변 구조와 조절 장치에 대한 접근 위치, 시각적인 식별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가변으로 인해 고정이 풀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 예방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도출된 가변형 세면대디자인 개선 방안을 반영한 워킹 프로토타입(working prototype)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디자인 고려 사항은 가변성이 적용된 보조기기 연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 개발 사업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습니다(과제 고유번호: HJ20C0035).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Assistive Technology R&D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 (Project identification number: HJ20C0035).
Notes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Accessible bathrooms. Pressalit Inc. Retrieved from https://pressalit.com/accessible-bathrooms.
- ADA Compliant Bathroom: Sinks and Restroom Accessories. Retrieved from https://laforceinc.com/blog/ada-compliant-bathroom-sinks-and-restroom-accessories/.
- Adjustable height basin. UDSYSTEM Co. Retrieved from http://udsystem.co.kr/en/product/?mod=document&pageid=1&category1=Adjustable+height+basin&uid=28.
- A flexible, movable and height-adjustable washbasin designed for wheelchair users. Retrieved from https://ropox.com/products/swingline-washbasin/.
- Choi, J., & Kim, H. (2018). Design guidelines for bathroom space using human body information.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 Choi, W., Kim, W., & Ko,Y. (2021).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Toilet Hygiene Products in Public Rental Housing.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4(4), 103-119. [https://doi.org/10.15187/adr.2021.11.34.4.103]
- Dimensions of Adult-Sized Wheelchairs. Retrieved from https://www.ada.gov/descript/reg3a/figA3ds.htm.
- Estimated number and ratio by means of transportation (first priority) when disabled people go out. Statistics Korea. Retrieved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83&tblId=DT_38303N_0139.
- Insurance benefit standards for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2019, Jun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page=1&CONT_SEQ=349938.
- Introducing the features, price, and reputation of TOTO's bathroom vanity Wheelchair-friendly washbasin, Retrieved from https://jp.toto.com/products/public/counter/wheelchair_living/.
- Kim, D., Shin, H., & Ryu, H. (2011). The Evaluation of Planning Elements in the Senior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Architectural Research, 27(9), 151-161.
- Lee, E., & Park, S. (2018). The Composition of Multi-functional Flexible Furniture Design in Housing Typ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ation, 29(2), 71-79. [https://doi.org/10.6107/JKHA.2018.29.2.071]
- Mary, J. P. (1998). Universal Kitchen and Bathroom Planning: Design that Adapts to People. McGraw-Hill.
- Oh, S., & Lee, Y. (2014).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roduct Design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Basin Design for a Hospital. Journal of Digital Design, 14(2), 589-598. [https://doi.org/10.17280/jdd.2014.14.2.055]
- Ryu, S., Kim, B., & Park, J. (2018).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oilet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us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