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8, No. 1, pp.233-251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5
Received 19 Aug 2014 Revised 22 Sep 2014 Accepted 30 Sep 2014
DOI: https://doi.org/10.15187/adr.2015.02.113.1.233

A Study on Color Improvement for Regional Identity

LeeChunghoon ; 이충훈 ; ImJunhong ; 임준홍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Chungnam, Republic of Korea 충남발전연구원, 충남, 대한민국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Chungnam, Republic of Korea 충남발전연구원, 충남, 대한민국
지역 정체성을 위한 색채개선방안 연구

Correspondence to: Junhong Im jhim0212@empas.com

Backgroun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the image shows the local historical traditions of the region. Tradition is something that a number of people pursue and accept over many years.

Currently there are no speci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s in the local architectures of Gongju, and in the disorder with the absence of specific colors, no specific image can be portrayed. In other words,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are not being reflected. In a cultural era, creating a region's unique chromatic standards is required to preserve its regional identity.

Methods As the research method, we analyzed the status of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colors.

In overseas cases, the status of the city and color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Using the extraction method, the color guidelines, the unique colors which showed the historical cultur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regional themes of Gongju were extracted.

Next, the main color, sub-color, and the emphasis color were made into a color scheme and with this as the base, the color application range was proposed.

Result The materials for the color guide used were based on the colors attained through the color analysis of the different facets of the intensive Gongju region, historical cultur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For the intensive Gongju region, a color scheme to improve the standards criteria such as buildings, public facilities, and outdoor advertising was proposed.

To advanc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research, a thorough inspection and management utilizing a checklist after reviewing enacted laws and regulations is required.

Conclusion Thus, the image must be created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region, cultural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colors to create the regional identity of Gongju's standard colors.

Since the issue of the identity of a city or a region lies with each municipality-level,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ublic perception and awareness must be exalted to achieve the regional identity. In addition, the vision of the region must correspond to the goals of the regional colors, followed by specific strategies to sufficiently promote strategies and practices that enable members to understand and participate.

초록

지역 정체성을 위한 색채기준을 수립하는 것은 그 지역의 색상을 인위적으로 규제하고 단속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생활에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지역적 특성을 부여하는 계획이다.

지역 아이덴티티를 위한 색채계획은 그 지역 구성원을 주체로 하여 고려되어야 하고, 시각적으로는 편안하고 쾌적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 또한 지역 나름대로의 개성과 의미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색채의 기본은 지역색을 고려하여 색채계획을 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지역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색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한 체계적이고 계획된 색채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공주고도의 색채기준은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색채기준이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법 검토 및 조례제정과 사전 · 사후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배경 공주는 역사문화지역으로서, 역사적 전통성을 지닌 지역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전통성은 오랜 세월을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그 어떤 것을 의미한다.

현재 공주지역의 건축물 등에 사용된 인공 환경색채는 특징이 없고, 무질서하며, 지역적 색채의 부재로 특정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없다. 즉 지역 특성과 개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의 시대, 창조의 시대에 부합되는 지역 아이덴티티를 살릴 수 있는 지역만의 고유한 색채기준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의 건축물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해외사례는 도시 현황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 도출 방법으로는 공주 고도의 역사문화, 자연환경, 지역적 소재에서 나타나는 고유의 색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컬러 팔레트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색채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공주 고도지역 유형별 색채현황분석과 역사문화 및 자연환경 통해 나타난 색을 토대로 색채가이드라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공주 고도색채 개선 기준으로서 건축물, 공공시설물, 옥외광고물 등의 배색기준을 제시하였다.

고도이미지 제고를 위한 색채의 개선은 연구에서 제시한 색채 가이드라인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법 검토 및 조례제정과 사전과 사후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결론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주민의식 등을 소재를 토대로 정립된 색채는 지역발전에 있어 대내적으로는 주민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대외적으로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통일화 수단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매개체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주고도의 지역 정체성을 살린 색채기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색채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

도시나 지역의 정체성은 각 지자체 수준의 문제이므로 행정주체 및 시민들의 지역정체성 확보에 대한 인식과 의식수준이 고양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비전에 해당하는 지역 환경색채의 목표상을 명확히 하고, 이를 충분히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전략과 구체적인 실천전략이 뒤따라야 한다.

Keywords:

Gongju altitude, egional identity, traditional Color, City image, 공주고도, 지역정체성, 전통색채, 도시이미지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공주는 역사문화지역으로서, 역사적 전통성을 지닌 지역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전통성은 오랜 세월을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그 어떤 것을 의미한다.

현재 공주지역의 건축물 등에 사용된 인공 환경색채는 특징이 없고, 무질서하며, 지역적 색채의 부재로 특정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없다. 즉 지역 특성과 개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의 시대, 창조의 시대에 부합되는 지역 정체성(identity)을 살릴 수 있는 지역만의 고유한 색채기준이 요구된다.

1. 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주의 역사유적 경관 특성을 보존하고, 향유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공주 고도색채 기준을 제시하여 고도로서의 정체성을 지닌 도시이미지를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색채 적용범위 : 도시가로경관, 공공시설물, 옥외 간판, 건축물 또는 기존건축물 외관 등

- 국제화시대에 차별화된 역사문화 지역의 색채이미지 제고 및 상징성 부여 : 백제역사문화도시의 정체성 확립

- 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을 통한 지역의 색채 확립

: 컨셉의 구체화를 통한 색채이미지 정립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주도시 환경색채를 개선하여 도시전체에 새롭게 변화를 주면서 나아가 타 지역과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형성 살기 좋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는 색채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3.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도시현황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였고, 해외도시 색채를 분석하여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소를 파악하였다. 공주 고도의 역사문화, 자연환경지역적 소재에서 나타나는 고유의 색을 추출하여 주조색, 보조색으로 컬러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조색의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2. 현황분석

2. 1. 도시현황

도시의 시각적, 심미적 경관 특성을 극대화하고, 역사적 흐름과 장소적 차별화를 통하여 다양한 공간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공주 고도경관은 그 가로변의 건축물들과 조경에 의하여 주로 형성되고 있다.

특히 건물 형태 및 외벽의 색채는 방문객들에게 일차적인 인상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역사문화도시의 건물 형태와 외벽 색채는 그 도시의 개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경관 구성요소이며, 도시이미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공주는 백제의 역사문화를 비롯하여 구석기시대에서 삼국시대부터 근대를 거처 현대에 이르고 있으나, 오랜 역사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색채의 차별성이 매우 부족하다

2. 1. 1. 대상지역 및 분석방법

조사대상의 선정방법은 공주고도 역사․문화지역내 공산성을 중심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지구의 색채를 현황 조사하였다.

조사는 주요 건축물, 공공시설물을 포함시켰으며, 측색방법은 디지털 카메라(Canon pro1)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측색된 색상․명도․채도는 먼셀표색계에 의한 색채기호를 사용하고, 측색된 자료를 색표집화하여 측정된 먼셀값을 배치하였다.

2. 1. 2. 색채현황

주거지역의 지붕색채 - 회색76.9%(203동), 청색11.3%(30동), 흰색1.9%(5동), 녹색 1.5%(4동)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톤이 L(밝은), Gr(회색의), Dl(칙칙한), Dk(어두운)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R(빨강), YR(주황), Y(노랑) 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원색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

Residential districts color distribution

상업지역의 건물색채- 회색37%(100동), 백색25%(68동), 적색16.7%(44동), 갈색6%(16동), 청색4.5%(12동), 황색2.6%(7동), 흑색1.9%(5동), 녹색1.5%(4동), 기타색 3%(8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Vivid톤의 고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여 건물의 색채가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Figure 2

business district Color distribution

역사문화지역색채 - 석장리 구석기 유물유적과 공산성의 성문 및 성곽, 백제시대 토성의 색채 및 충청감영(포정사), 중동성당 등의 색채 등을 측색자료로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L(밝은), Gr(회색의), Dl(칙칙한), Dk(어두운)의 톤으로 구성되어 중후하고 오래된 느낌을 주고 있다. 주조색으로는Y(노랑), GY(연두), G(초록)계열로 저채도의 차분한 색상의 사용으로 전통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Figure 3

Historic District of color distribution

옥외광고물 색채 - 건물간판에서도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고채도의 색상을 부문별하게 사용하여 고도의 정체성이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

Figure 4

Building strong colors

Figure 5

Complex signs


3. 해외도시 사례분석

3. 1. 사례분석

해외도시 중 색채를 통해 지역정체성을 나타낸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주고도의 색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참고하였다.

해외도시중 지역의 고유한 색을 살려 전통과 개성을 유지하여 모범사례로 꼽히는 도시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도시들은 기존의 전통을 고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통색을 찾아 유지보존하고, 그에 맞추어 주조색을 정하였다.

주조 색채를 건축물과 공공시설물에 접목시켜 자연과 전통, 역사, 현대의 색채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Colorful wooden building(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Rome City Architecture Color(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Building roof and wall color harmony(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3. 2. 시사점

가나자와는 전통건조물 보존지역의 목조건축물의 암갈색 색채를 개성 있는 역사문화 경관의 보호와 유지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원색(R, YR, Y)과 형광색은 금지색으로 규정하고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로마는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지역의 석재재료들을 사용하여 암갈색, 회백색, 주황색 등의(GY, YR)특색을 나타내게 된다. 오스트리아 그라츠는 중세적인 이미지를 지닌 도시로서 도시전체가 건물의 지붕은 Y, YR계열의 중저채도 주황색으로 통일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해외도시들의 색채는 지역의 역사․문화적 요소와 지역 소재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지역색채를 정립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지역 특성에 어울리는 색채를 건축물과 공공시설물에 접목시키면서 엄격한 규제와 관리를 통해 경관을 유지해 오고 있다.

따라서 공주는 고도로서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색채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공공건축물, 상업건축물, 공공시설물 등에 적용시키기 위한 구체성 있는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4. 공주고도 색채개선방향

4. 1. 색채개선방향

색채개선방향은 도시의 경관을 살릴 수 있도록 공주고도에서 지각되는 색채를 건축물 및 시설물에 적용하고, 차분하며 안정감 있는 색상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편안함을 조성해야 한다. 색채는 환경과 색채사이에 인간이 중심이 되어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문제로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지역 환경색채의 분석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이미지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색채개선 계획의 방향을 설정한다. 색채의 제안은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구분하여 면적배색을 한 다음 면적 배색 띠를 형용사 이미지 맵에 배열하여 전체적인 도시색채 이미지를 형성한다.

4. 1. 2. 기본방향

공주고도의 역사유적 경관 특성을 보존하고, 향유할 수 있는 색채개선방향을 제시하고, 내츄럴(Natural)계열 색채를 적용하여 경관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색채 이미지를 지향하도록 한다.

4. 1. 3. 색채디자인 컨셉 설정

공주의 환경색채 정체성을 위하여 설정한 색채디자인 컨셉은 Welcome, Memory, Transition을 추출하였다.

Welcome - 공주가 백제역사의 중심지역으로서 국내외 방문객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중요한 일이며, 방문을 환영한다는 이미지가 필요하다.

Memory - 세월의 두께가 쌓이고 그만큼의 사람과 이야기가 따르고 전통과 문화의 향을 입히면 거리는 위대한 유산으로 남는다. 잊혀져가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 전통이 공주라는 도시 속에서 제 모습을 가지고 살아 숨쉴 때, 지역의 의미와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다.

Transition - 흐름은 인생을 생각하게 한다. 이 흐름을 통해 시간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시간이 흘러가면 모든 만물은 소멸한다. 이러한 소멸은 인간의 마음을 슬프게 하지만 다음 세상을 기대하게 만든다. Transition은 이러한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4. 1 .4. 색채이미지 스케일

공주의 모습은 '루빅스 큐브(Rubik's Cube)' 처럼 여러 가지 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큐브를 이루고 있다.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역사전통과 현대, 자연스러움과 인공적인 모습들이 서로 얽혀 있다. 새로움은 그 자체로서 의미는 없으며, 역사와 전통이 맞물려 돌아갈 때 그 의미가 있다. 공주는 도시 속에 백제 역사의 전통적 모습이 살아 있을 때 그 의미가 있는 것이다.

공주의 색채계획은 공주라는 공간이 아닌 의미와 정체성이 있는 장소로 만들 수 있는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주의 기존 색채에 역사문화재와 자연환경 등에서 추출한 색채를 적용한다면 정체성 있는 환경색채를 찾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디자인 컨셉에 형용사를 대응시켜 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의 지향이미지에 적용하도록 한다.

- Welcome : 친근한, 편안한

- Memory : 전통적인, 오래된

- Transition : 활동적인, 변화하는 등의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

4. 1. 5. 기본 원칙

첫째, 공주고도의 색채는 백제역사유물과 자연환경, 지역적 특성이 있는 소재에서 나타나는 고유의 색을 중심으로 한다

둘째, 회색조의 색채 사용 시 따뜻한 느낌의 색으로 안정적이고 편안한 이미지의 색채를 계획한다.

셋째, 단청 등 화려한 색채는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공주고도 색채의 강조색으로 적용한다.

위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정체성을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주 고도색채 계획의 전략적 방향을 제안한다.


5. 공주고도 색채가이드라인

5. 1. 주조색 도출

공주 고도 주조색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황색과 회백색을 바탕으로 주조색과 보조색을 도출하였다

공주도시 재생프로젝트(2009) - 황색을 기조색으로 하나, 부정적요소로 다른 대체 색상을 주조색으로 정한다.

갈색(10R-5Y),무채색, 저채도톤N1, N2, N3 및 짙은 그레이 색상을 적용한다.

공주 디자인예술고을(2010) -색채이용범위는 10R~10Y범위로 하며10R9/4, 10RY9/4, 10Y9/4 무채 및 저채도 톤으로 N1, N2, N3, N4 색 사용 권장한다.

공주 고도경관기준(2011) - 공주고도내 백제 및 조선시대 역사유물 색채조사 결과 회색, 노란색, 갈색을 도출하였다.

Figure 6

Color concepts derived

Figure 7

Main color coverage

5. 2. 색채 개선방향

건물전체의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는 주조색을 결정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투시도를 통해 기본 색채안을 평가 수정하여 색채작업 완성 및 지역고유의 색을 발굴한다. 그리고 건축물(상업지역, 주거지역), 공공시설물(가로시설물, 구조물), 옥외광고물에 대해 경관유형별 색체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5. 2. 1. 경관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

① 건축물

·유형별 색채 가이드라인 - 주거지역

지향이미지 : 내츄럴한, 은은한, 편안한

편안하고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채도가 높은 색보다는 채도와 명도가 높은 색이 효과적이다.

주거지역은 중명도/저채도의 YR을 기조색으로 하고, 지붕은 중명도/저채도의 N계열을, 입면의 주조색은 고명도/저채도의 YR, Y계열과 중명도/저채도의 YR로, 보조색은 중명도/저채도의 Y, GY로 계열을 선정하여 내츄럴하고, 은은한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8

Residential color guidelines

·유형별 색채 가이드라인 - 상업지역

지향이미지 : 세련된, 활동적인, 변화하는 상업지역은 중명도/저채도의 Y를 기조색으로 하고, 지붕은 중명도/저채도의 N계열을, 입면의 주조색은 고명도/저채도의 YR, Y계열로, 보조색은 고·중명도/저채도의 Y, YR로 계열을 선정하여 세련되고, 활동적인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9

Commercial areas of color guidelines

·유형별 색채 가이드라인 - 유적지

지향이미지 : 고상한, 점잖은, 전통적인 유적지의 주조색은 무채색의 N(Grey)과 YR계열로, 지붕은 중명도/저채도의 N계열을, 벽면의 주조색은 고명도의 무채색과 고, 중명도/저채도 Y, YR계열, 보조색은 중명도/저채도의 YR계열을 선정하여 고상하고 점잖은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10

Historic area guidelines colors

② 공공시설물

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

·공공시설물

지향이미지 : 모던한, 진보적인, 활동적인 공공시설물의 주조색은 중명도 N계열과 저명도/저채도의 YR계열을, 보조색은 고·저명도의 N과 표기요소에 나타나는 고명도의 N계열을 적용하여 모던하고, 진보적인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11

Public facilities color guidelines

·공공구조물(교량)

지향이미지 : 모던한, 진보적인, 활동적인 교량의 주조색은 무채색 계열의 GY계열로, 녹지주변에는 중명도/저채도의 GY계열을 선정하고, 보조색은 중명도의 N과 중명도/저채도의 B, GY로 계획하여 모던하고, 진보적인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12

Public structure color guidelines

옥외광고물의 주조색은 무채색 계열의 N계열과 YR계열로 명도 2~4, 채도4이하로 하며, 보조색은 중명도/중채도의 YR계열을 계획하여 모던하고, 은은한 주조색에 밝은 보조색을 강조하는 이미지로 배색한다.

Figure 13

outdoor advertising Color guidelines


6. 결론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주민의식 등을 토대로 정립된 색채는 지역발전에 있어 대내적으로는 주민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대외적으로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통일화 수단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매개체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주고도의 지역 정체성을 살린 색채기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색채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

공주 고도지역 유형별 색채현황분석과 역사문화 및 자연환경 통해 나타난 색을 토대로 색채가이드라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공주 고도색채 개선 기준으로서 건축물, 공공시설물, 옥외광고물 등의 색채배색기준을 제시하였다.

고도이미지 제고를 위한 색채의 개선은 연구에서 제시한 색채 가이드라인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법 검토 및 조례제정과 사전과 사후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도시나 지역의 정체성은 각 지자체 수준의 문제이므로 행정주체 및 시민들의 지역정체성 확보에 대한 인식과 의식수준이 고양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색채의 목표상을 명확히 하고, 이를 충분히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전략과 구체적인 실천전략이 뒤따라야 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충남발전연구원 2014년도 기본과제로 이루어진 것임

Notes

Citation: Lee, C., & Im, J. (2015). A Study on Color Improvement for Regional Identity - Focusing on Gongju.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8(1), 233-251.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11). Creating research officer reference height Gongju. Reports, 174.
  •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8). Environmental study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f color. Reports, 22, 23.
  • Kim, M. (2003). A Study on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Considered of Korean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etem Korea, 10(2), 94-95.
  • Lee, H. (2006). City Color Story. Paju: Book publishing line.
  • Lee, J. (2010). A Study on City Environment Color Design with Consideration of Local Fe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Jun, 16(2), 393.
  • Park, Y., & Lee, H. (2005). Urban environment and color. Seoul: Ahn Graphics.
  • Sim. M., & M, S. (1998). A Study on the Natural Color Systematic(NCS) Approach in Environmantal Color Design. Korea Society of Color Journal, 10, 35-46.

Figure 1

Figure 1
Residential districts color distribution

Figure 2

Figure 2
business district Color distribution

Figure 3

Figure 3
Historic District of color distribution

Figure 4

Figure 4
Building strong colors

Figure 5

Figure 5
Complex signs

Figure 6

Figure 6
Color concepts derived

Figure 7

Figure 7
Main color coverage

Figure 8

Figure 8
Residential color guidelines

Figure 9

Figure 9
Commercial areas of color guidelines

Figure 10

Figure 10
Historic area guidelines colors

Figure 11

Figure 11
Public facilities color guidelines

Figure 12

Figure 12
Public structure color guidelines

Figure 13

Figure 13
outdoor advertising Color guidelines

Table 1

Colorful wooden building(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도시명 가나자와
도시현황 • 사찰마을이나, 성(城)을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형태
• 일본최초로 “전통환경보존조례” 제정
색채현황 • 원색(빨강, 노랑, 주황), 형광색 등을 금지색으로 지정
• 원색(빨강, 노랑, 주황) 이외의 색은 채도 2를 초과하지 못함
• 전통 건조물이나 자연 소재에는 착색 금지
• 목조 건조물이 많아 나무색(소재색)을 권장
건축물

Table 2

Rome City Architecture Color(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도시명 로마
도시현황 • 고대 그리스 이래의 오랜 역사를 지니며, 다양한 민족이 교차하여 왔기 때문에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지님
• 석조 건물이 많은 것도 특징적이며, 그것들이 매력 있는 토속적인 거리경관과 취락을 형성
색채현황 • 도시 건축적, 구성적 컨셉은 지역 특징적인 재료들이 사용
• 건축물은 YR계열의 지붕 또는 N색상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고 있음
• 건물 입면의 색채는 암갈색, 노랑색, 주황색 등을 나타내고, 도시 이미지를 차분하게 만들어 줌
건축물

Table 3

Building roof and wall color harmony(Left), Practices apply to public facilities (right)

도시명 오스트리아 그라츠
도시현황 • 1,000년 역사를 가진 인구 25만 명의 중세도시
• 그라츠는 보수적이고, 개방적인 발칸 문화권의 특징을 모두 지님
색채현황 • 주황색 지붕 색상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고 있으며, 건물 입면의 색채는 GY, YR 계열의 중·저 채도를 띠고 있음
• 건물 전면 상가의 파사드 부분은 강조색을 사용하여 차별화
• 바로크 양식 건축물에서 나타나는 프레스코 문양의 화려함이 도시의 다양한 색상을 나타냄
• YR계열의 주황색 지붕 색상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고 있으며, 입면은 Y계열의 중·저채도를 나타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