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8, No. 1, pp.113-131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5
Received 02 Dec 2013 Revised 16 Jun 2014 Accepted 02 Jul 2014
DOI: https://doi.org/10.15187/adr.2015.02.113.1.113

A Comparative Analysis of Masks Adapting Design in Art and Fashion

HanJiyeon ; 한지연 ; ChungKyoung-Yeon ; 정경연
Department of of Fiber Art,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홍익대학교 섬유미술과, 서울, 대한민국 Department of of Fiber Art·Fashion Desig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서울, 대한민국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의 조형성 비교

Correspondence to: Jiyeon Han pinku0218@gmail.com

Background In fashion, mask design is increasing in use and its product launch frequency is increasing as well. Also, mask design collaborations between artists and fashion brands are appearing in the field of art. Therefore, a systematic research of mask design form which can be utilized and applied to both designs in fashion and art needs to be conducted.

Methods The methods of the study included a review of related books, other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mask design prevalence and positive cases of mask design. The study range was limited to mask designs that appeared in the fields of fashion design and art in the last 10 years, considering the year that mask designs started becoming prevalent in fashion. Phot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ccredited web data. Osborn’s Checklist, which is used in developing creative designs, was used to categorize collected design types. Through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sks in each category were deriv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 conversion-type mask design was major figure in the field of art. In the fashion field, the simplification-type of mask was the major design. Second, according to cross tabulation, art and fashion mask desig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e and homogeneity between the two.

Conclusion By examin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here are intersections between art and fashion masks' desig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research can be a basis for a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systematic data in creating, developing and utilizing mask design collaborations between the two fields.

초록

연구배경 현대패션에서 마스크 디자인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상품 출시 빈도도 늘고 있다. 또한 예술 분야에서도 예술가와 패션브랜드간의 마스크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예술과 패션의 관계성에 기반한 예술협력, 또는 디자인 상호 차용화 전개에 활용될 수 있고 적용 가능한 체계적인 마스크 디자인 형태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연구방법 마스크 디자인 성행 배경과 실증적 사례 조사를 위해 관련 서적, 문헌 연구, 웹 자료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범위는 패션에서 마스크 디자인이 성행하기 시작한 년도를 고려해 최근 10년간 패션 디자인 분야와 예술 분야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으로 한정하고, 사진자료는 공인된 웹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디자인 유형 분류 방법으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쓰이는 오스본의 체크리스트(Osborn’s Checklist)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한 각 분야별 마스크의 조형 특징을 도출하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대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디자인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예술 분야는 Conversion유형의 마스크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었고, 패션 분야는 Simplification 유형 디자인이 부각되었다. 둘째, 교차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현대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디자인은 각각 독립성과 동질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조형 공통성과 차이점에서 공동으로 적용되는 디자인이 존재함을 찾아냈다. 이 연구는 향후 두 분야의 예술 협업 디자인 창출과 전개 및 활용성 연구에 체계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Keywords:

Mask, Design Features, Art, Fashion, 마스크, 디자인 조형성, 현대예술, 패션

1.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마스크는 세계 모든 지역의 문화 안에 존재한다. 세계 각국에서 가면은 연극, 전쟁, 제사, 축제의 범주에서 변장, 위장,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그 테마와 재료 또한 많은 공통성을 내포하고 있다. Sarah Bryan Miller(1999)는 세인트루이스 아트 뮤지엄(The Saint Louis Art Museum)에서 1999년 열린 “마스크: 문화의 얼굴” (“Mask: Faces of Culture”) 전시의 큐레이터인 Cara McCarty의 인터뷰를 인용해 왜 인간은 늘 마스크를 사용해 왔는지에 대한 이유를 일상의 평범함이 아닌 것이 되기 위함이라고 기술하고 마스크 착용은 그 착용자를 놀랍도록 다르게 변화시키고 그들의 두려움과 열망 욕구를 드러나게 한다고 주장했다. John Picton(1990)은 마스크의 기능에 대해 착용자의 정체성의 문제를 들며 현대에서 인간의 사회적 삶 자체가 마스크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의 마스크 착용은 마스크 착용 그 자체로 착용자의 아이덴티티를 드러내고 감추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현대 패션에서는 마스크 디자인 사용의 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21세기의 예술과 패션은 장르의 융합과 탈 경계화로 혁신적인 디자인을 창출하는 패러다임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예술과 패션의 관계성에 대해 James Laver(1967)는 패션과 예술은 아름다움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분명히 같은 목적을 가진다고 주장하였고, Ingrid Sischy(1997)는Germano Celant의 Art/fashion(1997)에서 패션과 예술은 수많은 접근방법과 접합점을 찾아내며 지속적으로 공존해 오고 있다고 기술하였다. 오랜 기간 서로 인접한 분야로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받아온 예술과 패션에 대해 박신미(2011)는 현대 패션과 예술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유동적 영역의 공유가 보편화 된 두 분야 모두에서 창조의 범위를 확장 시켰다라고 연구결과를 밝혔고, Florence Muller(2000)는 패션과 예술이 협조를 통해 서로의 비즈니스를 발전시켜나가고 있음을 밝혔다. 예술의 마스크 작품은 패션의 마스크 디자인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콜렉션의 창출과 광고효과, 캣워크(Catwalk)를 통해 나타난 최신의 유행, 브랜드의 컨셉과 발전을 위해 패션디자이너 또는 브랜드와 예술가 간의 예술 협업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의 증가에서 볼 때 현대예술과 패션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또는 디자인 상호 차용화 전개에 활용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각각의 조형 독립성과 동질성을 비교하여 조형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의 조형 특징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예술로서의 패션, 패션으로서의 예술로 상호 발전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세부적 자료를 제시하고 실질적 사례를 고찰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1. 2. 연구배경의 실증적 사례

1. 2. 1. 패션 캣워크(Catwalk)에서의 마스크

마스크 패션의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과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Maison Martin Margiela)는 그들의 콜렉션 중 수 회에 걸쳐 마스크 패션을 선 보였다. 알렉산더 맥퀸은 1995년 Spring/Summer Collection 에서 메탈릭 펜싱 마스크를 캣워크에서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것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 중 하나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는 패션쇼 피날레에 등장하지 않고 자신의 얼굴을 철저하게 알리지 않는 디자이너로 1995년 Autumn/Winter Collection 에서 복면 디자인의 페이스 마스크를 모델에게 입히고 캣워크를 진행함으로써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디자이너로서의 이미지를 고착 시켰다.

그 외에도 많은 디자이너들이 마스크 패션을 선보여 왔으며 그 중 가장 최근 자료인 2012-2013년도 패션에서 마스크 디자인이 성행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는 다음과 같다.[Table1

Fashion Designers Create Masks for Collections

1. 2. 2. 패션 브랜드 상품으로서의 마스크

2010년을 전후로 패션 브랜드에서는 마스크 출시 빈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Adidas는 힙합 레코드 회사인 Def Jam Recordings 와 2011년 주문 제작용 Gas masks를 출시, Nike는 2011년 컨셉 광고용 Gas masks를 제작하고 판매하였고, 2013 현재에 이르기 까지 매년 꾸준하게 제작되고 있다. 미국 의류회사인 Urban Outfitters는 2010년 Fall/Winter 시즌에 Ski Masks를 출시하였다. 이들의 마스크 디자인 상품 출시는 매니아 층과 콜렉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Table2].

Fashion Brands Mask products

1. 2. 3. 셀레브리티(celebrity)의 마스크 착용

패션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상품 출시와 더불어 유행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는 셀레브리티(celebrity)들의 콘서트 또는 일상에서 마스크 착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킨예 웨스트(Kanye West)의 콘서트와 시상식에서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Maison Martin Margiela)의 마스크 착용과, 레이디 가가(Lady Gaga)의 콘서트 및 시상식 등에서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의 마스크 착용 사례들이 있다.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는 일상에서 게스(Gas)마스크를 착용하고 길거리에 나선 사진으로 2013년 화제가 되었다. 이러한 셀레브리티들의 마스크 착용은 일반 소비자로 하여금 마스크 패션에 관심을 가지게 하고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전시효과(Demonstration Effect)를 가져왔다.[Table3].

Trend watch: Celebrities in Masks

1. 2. 4. 예술 협업 마스크 디자인

마스크 디자인이 성행하면서 예술가와 패션브랜드간의 마스크 디자인 예술 협업이 다각화된 방법으로 이루어진 대표적 사례들을 살펴보면 크로쉐 마스크 아티스트인 Aldo Lanzini의 마스크 작품은 미쏘니(Missoni)의 Spring/Summer 2011 패션쇼에서 30여명의 좌석 안내원들에게 씌워 좌석안내를 하게 함으로써 니트웨어와 크로쉐 마스크의 협업을 이루었다. 마스크 디자이너이자 헤어스타일리스트인 Guido Palau의 대표적 사례는 알렉산더 맥퀸과의 마스크 협업 작품을 2011년 Metropolitan Museum of Art’s Costume Institute “Alexander McQueen: Savage Beauty” 맥퀸 추모전에서 전시 했다. 이 전시는 Costume Institute 가 뮤지엄의 일부가 된 1946년 이레 여덟 번째로 많은 방문자 수를 기록한 대단한 전시로 이 후 Guido Palau는 패션업계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마스크 디자이너로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안 아티스트인 Jenny Kee는 오스트레일리안 패션의 선구자인 Linda Jackson과 길거리의 아이들을 위한 자선사업의 취지를 가지고 2009년 마스크 디자인 협업을 진행 한 바 있다. 패션과 예술의 협업은 초기의 예술 협업 형태인 예술가의 디자인을 입힌 상품을 생산해 내어 상품성이 보이는 측면이 강조된 사업에서 전시, 패션쇼, 자선사업의 비 가시화된 가치 창조 측면을 고려하는 예술협력 사업으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본 연구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며 연구의 기대효과로 향후 이와 같은 예술가와 패션브랜드간의 마스크 디자인 협업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Table4].

Collaborations between Artist and Fashion brand

1. 3. 연구방법 및 범위

1. 3. 1. 연구범위 설정 및 자료수집

연구범위 설정에 앞서 본 연구에서 아트 마스크와 패션 마스크를 분류한 기준은 아트 마스크는 패션으로 사용되지 않은 예술품으로 제한하였고, 패션 마스크는 캣워크 또는 실생활에서 사용되도록 제작된 형태로 지정하였다. 여기서 이러한 범위의 한계를 둔 이유는 아트 마스크와 패션 마스크를 정의하자면 패션이 예술의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한 논쟁으로 확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료 수집은 현대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을 제작 년도와 제작자의 공인된 자료를 선별하기 위해 보그(Vogue),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오브 아트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패션디자이너 아티스트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사진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근 10년을 기준으로 1993년도에서 2013년 사이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패션 마스크 디자인으로만 보면 그 기간을 더 좁혀야 트랜드에 부합하는 자료를 얻기에 더 적합할 것이나 예술 분야의 마스크와의 조형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에 그 개체수가 부족할 것을 감안하여 더 많은 자료로 더 정확한 디자인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예술가 선정에 있어서는 그래피티, 텍스타일, 사진 등의 2D 작업을 하는 작가는 조형성 연구에 부적합하다고 사료되어 제외시켰고, 3D 조형작품을 하는 작가 중 마스크 디자인으로 창의적인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예술작가와 패션 디자이너로는 전 세계 패션을 움직이는 4대 패션 콜렉션인 파리, 밀라노, 런던, 뉴욕 콜렉션을 통해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각 25명씩 선정하였다. 수집된 사진은 조형적 특성 구분을 위해 제작자와 제작년도가 같을 경우 하나의 디자인으로 각기 다른 컬러로 제작된 여러 작품의 경우 그 개체를 하나로만 선정하였으며, 소재, 실루엣, 디테일 등에서 그 형태의 구분이 명확한 자료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예술 분야의 마스크 227장과 패션 디자인 분야의 마스크 224장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진 자료의 형태별 분류에 있어 한 가지 이상 형태에 부합하는 디자인은 중복 체크해서 빈도수에 포함하였고, 사진자료의 분석과 분류에 있어서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공 분야의 대학원 및 박사 과정 10명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증 받고 최종 451장의 사진자료를 형태 분석에 사용하였다.

1. 3. 2. 연구방법

창의성의 정의에 대해 유혜경(1998)은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접근, 남들이 예상치 못하는 새로운 조합의 발견이라고 하였고, Nagata Toyoshi(2011)는 오스본의 체크리스트(Osborn's checklist)를 이용한 아이디어 발상 프레임 워크의 사용법을 기술하고 블루오션 전략에서 가치혁신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오나령, 이승희(2009)는 자유연상법, 창조적 연관법, 분석적 조합법을 패션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발상법으로 분류하고, 그 중 가장 독창적이고 발전된 아이디어를 위해 체크리스트 법이 활용된다고 하였다. Alex F. Osborn이 개발한 체크리스트법은 산업전반의 아이디어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독립변이에 대한 문제와 관련된 항목들을 매개변이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아이디어를 개발시키는 발상법으로 Dr. Eleni Sefertzi(2000)는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는 제품향상과 개선을 위해서도 쓰이지만 이미 존재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또는 그 속성을 수반하는 연구에 쓰인다고 하였고, Nöllke Müller(2002)는 연구에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미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나 생산된 제품 연구에 특히 적합하다고 하였다. 남미영, 김윤경, 이경희(2012)는 패션분야의 디자인 경쟁력 개발을 위해서는 창의적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고, 그 발상법 중 체크리스트법은 창의적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에 활용도가 높다고 연구하였다. 앞서 언급된 선행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밝힌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법은 디자인 경향과 특성 파악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창출에 도움이 되는 발상법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는 이미 생산된 있는 디자인을 역으로 대입시켜 디자인이 되기 전에 고려되어야 할 조형성 분석에 적합하다고 본다. 따라서 연구방법으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마스크 디자인의 조형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오스본의 오리지날 체크리스트는 S=Substitute, C=Combine, A=Adapt, M=Magnify, P=Put to Other Use, E=Eliminate or Minify, R=Rearrange 로 각 항목 리스트의 첫머리 글자를 따서 일반적으로 SCAMPER 라고도 불리며 이것을 베이스로 각 분야의 연구에 맞는 단어로 조정되어 사용 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체크리스트법의 유형분류를 살펴보면 최윤미(2001)는 패션디자인의 모형 개발을 위해 수정하기, 크게 하기, 작게 하기, 대치(대체)하기, 재배치하기, 뒤집기, 합치기로 체크리스트를 분류하였다. 남미영 외 2(2012)는 창의적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Limit, Elimination, Addition, Combination, Conversion으로 분류하였고, 김민채, 임지영(2012)은 트랜치 코트 디자인 분석을 Magnification, Addition, Modification, Combination, Elimination, Minimization, Conversion으로 분류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체크리스트의 유형 분류법이 5-7가지로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해 하나의 유형으로 되어 있는 E=Eliminate or Minify의 항목은 마스크 디자인분류에 있어서 분명한 다른 특징을 나타내므로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것을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유형을 정하고 오리지널 체크리스트 유형 분류에 나타난 단어인 SCAMPER를 연구에 적합한 Substitute=Substitution(대체), Combine=Combination(결합),Adapt=Alteration(변경), Magnify=Magnification(과장), Put to Other Use=Conversion(전환), Eliminate=Elimination(제거),Minify=Simplification(단순화), Rearrange=Rearrangement(재배치)의 8가지 단어로 분류하였다. 8가지 카테고리에 대한 마스크 디자인 분류의 기준으로 삼을 단어를 정리하면[Table5]와 같다.

List of helping words for checklist types

1. 3. 3. 자료 분석

자료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451장의 마스크 디자인 사진 자료를 각 체크리스트 유형별로 [Table5]에 의해 분류하고 카이스퀘어 검정 빈도분석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백분율, X²-test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술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 조형특징을 빈도분석하고,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 조형특징을 빈도분석한 다음 8가지 결과를 교차분석하여 두 분야의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였다.


2. 예술에 나타난 가면 디자인

2. 1. 아트 마스크 유형별 디자인 빈도

수집된 사진 자료를 통한 예술의 마스크 디자인 빈도 데이터를 살펴보면 Conversion 타입의 마스크가 73회로 뚜렷한 격차를 보이며 부각되어 나타났다. 이것은 예술의 특성상 일반적이지 않은 발상, 즉 오스본의 오리지날 체크리스트인 Put to Other Use의 법칙이 적용된 형태로 일반적인 추론에 부합되는 결과 값이다. 다음으로 Magnification이 52회 체크되어 두 번째로 많은 수의 빈도차를 보였고, Elimination, Simplification, Combination이 각각 24회, 23회, 22회로 비슷한 수의 분포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Substitution이 16회, Alteration, Rearrangement는 각각 7회로 최하의 빈도수를 나타냈다. [Table6].

List of helping words for checklist types

2. 2. 아트 마스크 유형별 특징

(1) Elimination

예술에서 Elimin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얼굴의 일부를 가린다는 마스크의 기능을 달리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것, 작아진 것, 둘로 나뉜 것 등이 분류에 속한다. [Figure1], [Figure2] 는 입을 수 있는 조각품을 만드는 두 작가로 많은 작품이 얼굴의 일부분이 제거된 마스크 형태로 나타나며 Elimination 분류에 속한다. 그 밖에도 Elimination의 형태로 나타나는 마스크 디자인은 눈 부분만 가리는 형태, 입 부분만 가리는 형태 등의 얼굴전체를 감싸는 형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형태들이 사례에 포함되었다.

(2) Magnification

예술에서 Magnific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는 형태가 전체적으로 커지는 것과 일부분이 늘어지거나, 길어지거나, 높아지거나, 넓어지는 과장된 형태와 일부 구조가 덧대어져 형태가 커지는 마스크와 전신마스크의 형태가 나타났다. 일부 디테일 즉, 일반적인 사람 얼굴 사이즈에서 입 부분만 조금 커진 형태 등의 모호한 구조는 체크 항목에서 제외시키고 시각적으로 일반적이지 않게 과장된 사이즈만을 항목에 포함시켰다. [Figure3], [Figure4]

Figure 1

Elimination

Figure 2

Elimination

Figure 3

Magnification

Figure 4

Magnification

(3) Conversion

예술에서 Convers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아이디어, 컨셉, 아이템 등이 일반적인 상식에서 벗어나 마스크로 전환이 이루어진 형태를 말한다. 구두가 마스크가 되고, 머리빗이 마스크 형태를 이루고 헤어드라이어, 다리미가 마스크가 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Figure5]는 Calixte Dakpogan의 작품으로 머리빗이 주재료로 마스크가 된 형태이고, [Figure6] 는 Willie Cole 의 작품으로 하이 힐 구두가 모여 마스크 형태를 이룬 작품이다.

(4) Substitution

예술에서 Substitu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물질 본연의 의미가 대체되어 마스크의 형태가 된 것을 말한다. 즉 동물의 얼굴이 마스크가 되고, 동물의 입 가리개가 사람의 마스크가 된 것, 위급상황의 외부공기 차단을 위한 Gas 마스크가 적절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재료인 니트나 레이스로 짜여 진 마스크로 디자인 된 것 등의 사례가 있었다. [Figure7], [Figure8].

Figure 5

Conversion

Figure 6

Conversion

Figure 7

Substitution

Figure 8

Substitution

(5) Alteration

예술에서Alter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마스크가 그 형태를 갖추고 마스크가 아닌 다른 용도로 쓰인 것을 말한다. 마스크가 신발이 된 것, 마스크가 의자가 된 것, 마스크가 주얼리가 된 것 등의 사례가 있었다. [Figure9], [Figure10].

(6) Combination

예술에서 Combin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두 가지 이상의 형태가 하나가 되어 마스크 형태를 이룬 것으로 양말과 야구모자가 하나의 마스크로 된 것, 야구 모자 두 개가 하나의 형체로 마스크가 된 것, 다른 두 동물 또는 사람과 동물의 형태가 합쳐져서 하나의 마스크 형태를 이룬 것 등이 사례로 나타났다. [Figure11], [Figure12].

Figure 9

Alteration

Figure 10

Alteration

Figure 11

Combination

Figure 12

Combination

(7) Rearrangement

예술에서 Rearrangement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마스크의 원래의 목적인 가리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마스크 형태로 투명 소재, 비치는 소재, 글래스, 또는 와이어 등의 선으로 이루어진 소재로 커버 기능이 없는 형태를 말한다. [Figure13], [Figure14].

(8) Simplification

예술에서Simplific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마스크의 형태는 외형이나 소재의 단순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세부적 디테일이나 장식적 요소가 배제되고 형태적 측면에 있어서도 간결화 된 아웃라인을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Figure15], [Figure16].

Figure 13

Rearrangement

Figure 14

Rearrangement

Figure 15

Simplification

Figure 16

Simplification


3. 패션에 나타난 가면 디자인

3. 1. 패션 마스크 유형별 디자인 빈도

수집된 사진 자료를 통한 패션 마스크 디자인 빈도 데이터를 살펴보면 Simplification 타입의 마스크가 76회, Elimination 타입의 마스크가 72회로 뚜렷한 격차를 보이며 부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패션 디자인의 특성상 단순화되고 부분이 제거된 Minify와 Eliminate의 법칙이 적용된 형태로 패션 디자인의 특성에 부합하는 결과값이다. Magnification은 40회로 세 번째로 많은 수의 빈도차를 보였는데 캣워크에 사용되는 마스크는 상품화 되는 경우보다 콜렉션 쇼를 위한 것이므로 과장된 형태나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Substitution이 19회, Combination이 16회로 다음 번 순위로 빈도차를 내는 분류로 나타났다. Rearrangement는 12회, Conversion과 Alteration은 각각 8회로 최하의 빈도수를 나타냈다. [Table7].

Frequency of fashion mask types by the checklist

3. 2. 패션마스크 유형별 특징

(1) Elimination

패션에서 Elimin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전체 형태에서 일부 구조가 제거 되거나 분리된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얼굴을 가리는 형태를 말한다. 눈 부분만을 가린 형태 또는 한쪽 얼굴만 가린 형태, 입 부분만 가린 형태 등으로 1/2 가면, 3/4 가면, 투구, 모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Figure17], [Figure18].

(2) Magnification

패션에서 Magnific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길어지거나, 늘어나거나, 커지거나 과장된 형태로 된 것을 말하며 전신 마스크의 형태도 포함된다. 패션 디자인의 특성상 디자인 된 옷의 형태가 더욱 부각되어야하므로 주로 머리 위쪽으로 커진 형태가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Figure19], [Figure20].

Figure 17

Elimination

Figure 18

Elimination

Figure 19

Magnification

Figure 20

Magnification

(3) Conversion

패션에서 Convers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아이템, 컨셉 등이 일반적인 마스크에 상식에서 벗어난 조합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형태를 말한다. 부러진 나무판자로 된 마스크, 장갑이 마스크가 된 형태, 성냥개비로 만들어진 마스크, 머리카락으로 만든 마스크, 신발로 만든 마스크 등이 조사되었다. [Figure21], [Figure22].

(4) Substitution

패션에서 Substitu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물질 본연의 의미가 대체되거나 바뀌어 패션마스크로 되는 것을 말한다. 동물의 입 가리개, 용접공의 마스크, 펜싱 마스크, 핸드백, 자동차 등의 형태가 패션 마스크가 된 것을 말한다. [Figure23], [Figure24].

Figure 21

Conversion

Figure 22

Conversion

Figure 23

Substitution

Figure 24

Substitution

(5) Alteration

패션에서 Alter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마스크가 얼굴을 위한 용도가 아닌 옷의 일부가 되거나 신발, 또는 가방, 밸트 등으로 사용된 사례를 말한다. [Figure25], [Figure26].

(6) Combination

패션에서 Combin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두 가지 이상의 다른 형태가 하나가 되어 마스크의 모습을 갖춘 것을 말한다. 옷의 소매부분과 후드부분이 합쳐져 코끼리의 형상을 한 마스크, 동물의 형상 일부와 사람의 터번 형태가 합쳐진 것, 두 개의 모자가 하나의 마스크 형체를 만든 것, 베일과 모자가 하나의 형태를 이룬 것, 수트와 모자가 하나가 되어 마스크 형태를 가진 전신 마스크 형태 등이 나타났다. [Figure27], [Figure28].

Figure 25

Alteration

Figure 26

Alteration

Figure 27

Combination

Figure 28

Combination

(7) Rearrangement

패션에서 Rearrangement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연의 기능인 가리는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투명 플라스틱 소재나 망사 등의 비치는 소재, 와이어 등의 소재의 밀도가 낮게 만들어진 형태 등이 이 분류에 속한다. [Figure29], [Figure30].

(8) Simplification

패션에서 Simplification에 분류 될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는 패션마스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형태, 색감, 소재 등에서 단순화된 외형으로 디테일이나 장식적 요소가 배제된 디자인을 말한다. 얼굴 천체를 감싸는 복면형이 주를 이루었고 아웃라인 등이 기하학 형태를 띄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Figure31], [Figure32].

Figure 29

Rearrangement

Figure 30

Rearrangement

Figure 31

Simplification

Figure 32

Simplification


4. 결 과

4. 1. 아트 마스크 조형 특징 분석

마스크의 기원과 역사를 살펴보면 마스크는 숭배의 대상이 되는 자연적 혹은 인공적 물건을 상징하는 것으로 우회적 풍자나 은유적 표현의 수단 또는 유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마스크는 다양한 미술운동 장르 안에서 인간의 두려움, 열망, 숨겨진 욕구를 표현하는 예술의 한 테마로서 존재한다. 예술에서 아트 마스크는 착용의 기능보다 의미성이 강조된 미적 특성이 중요시 된다. 예술에 나타난 아트 마스크의 조형적 특징은 상징적 형태 표현을 위해 재료의 기능, 아이템 등이 물질 본연의 용도로서가 아니라 다른 기능과 목적 또는 생각의 전환으로 조형성을 나타내는 마스크 타입이 두드러지게 부각되어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장된 형태의 마스크는 과장된 형태 표현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조형성을 나타내어 관람자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아트 마스크에서 부분이 제거된 타입은 상징적 표현을 위해 아웃라인이 강조된 구조가 주로 나타났다. 단순화된 마스크는 재료, 형태, 질감 등에 상당한 제한을 둔 디자인 형태를 띠고, 혼합 형태의 마스크는 두 가지 이상의 아이템이 하나의 마스크 안에서 결합되어 예술적 의미를 생산하는 형태들이 나타났다. 마스크 본연의 용도가 대체된 디자인은 형태의 강조보다 소재나 디테일 등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그에 비해 마스크의 형태가 마스크가 아닌 다른 용도가 되는 디자인과, 얼굴을 가린다는 마스크 본연의 기능을 하지 않는 마스크 디자인은 비교적 낮은 출현 빈도를 나타냈다. 이는 예술에 나타난 마스크는 마스크 자체의 용도와 기능이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된다.

체크리스트 분류법에 따른 예술의 마스크 조형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각 유형의 빈도분석 결과는 [Table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Conversion이 3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agnification이 23.2%, Elimination이 10.7%, Simplification이 10.3%, Combination이 9.8%, Substitution이 7.1%, Alteration, Modification이 각각 3.1%로 순으로 나타났다. Conversion 유형이 제일 높은 비(%)를 차지했다는 것은 예술분야 마스크의 창조적 디자인 발상 중 아이디어의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able9].

Art Masks Frequency Percent

Art Masks Frequency Analysis

4. 2. 패션 마스크 조형 특징 분석

Daisy Woodward(2012)는 영어에서 ‘mask’라는 단어는 숨기거나 보호를 위해 얼굴을 가리는 의미로 ‘masque’라는 중기 프랑스어에서 받아들여졌다고 기술하였다.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패션 마스크는 카니발 또는 연극에서 착용의 기능이 강조되어 의상 컨셉에 도움이 되는 장식적인 효과나 착용자의 가장을 위한 정체성 표현의 도구가 되어왔다. 마스크는 단순히 착용자의 가장을 위한 것만이 아닌 또 다른 자아를 드러나게 하는 패션 아이템인 것이다. 따라서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의 특징은 마스크의 기능이 강조된 만큼 브랜드 콜렉션에서는 디자이너의 의상 컨셉, 테마에 맞추어 얼굴의 실루엣만을 강조한 단순한 디자인으로 조형성을 나타내는 마스크 타입이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보거나 말을 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부분이 제거된 형태의 마스크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패션에서 왜곡, 강조, 확장된 형태로 조형성을 나타내는 마스크는 캣워크에서 임팩트 효과를 위해 부위 과장과 전체 과장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물질 본연의 쓰임과 다르게 디자인 된 형태는 아트 마스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연의 마스크 형태에 소재나 디테일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결합 형태의 디자인은 색상과 재질, 형태의 대비가 강조되었고, 마스크의 가리는 기능을 하지 않는 디자인은 단순화되고 제거된 형태의 마스크 디자인과 비슷한 특징을 나타냈다. 그에 비해 패션으로서 얼굴을 위한 마스크 기능보다 옷의 일부나 액세서리의 용도로 마스크 디자인 자체가 강조된 형태와 마스크 형태 표현에 있어 재료의 기능 전환이 강조된 디자인은 비교적 낮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Table 10

체크리스트 분류법에 따른 패션의 마스크 조형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각 유형의 빈도분석 결과는[Table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Simplification이 30.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limination이 28.7%, Magnification이 15.9%, Substitution이 7.6%, Combination이 6.4%, Modification이 4.8%, Conversion, Alteration이 각각 3.2%로 순으로 나타났다. Simplification이 제일 높은 비(%)를 차지한다는 것은 패션분야의 마스크의 창조적 디자인 발상 중 의상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단순화 된 디자인이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Table 11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

Fashion Masks Frequency Analysis

4. 3. 아트와 패션의 마스크 조형 공통성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의 분야별 조형 특징에 대해 교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분야에 따른 마스크 디자인 공통성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Simplification이 20.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limination이 20.2%로 두 번째로 높고, Magnification이 19.4%, Conversion이 17.1%, Combination이 8.0%, Substitution이 7.4%, Modification이 4.0%, Alteration이 3.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대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에서 Simplification과 Elimination이 높은 비율로 공통적 특징을 보였다는 것은 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상호 차용화 디자인에 있어 단순화된 형태와 부분적 제거 형태가 가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술의 절제된 미를 패션과 결합시키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Magnification은 비대칭 균형으로 신체를 강조하여 마스크와 의상이 조화를 이룰 수 있고, Conversion은 예술에 있어 발상의 전환이 패션의 형태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역할로 기대될 수 있다.

Cross Tabulation between Art & Fashion Mask

각 분야에 따라서 살펴보면 예술 마스크의 경우는 Conversion이 32.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패션 마스크의 경우는 Simplification이 30.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예술에 나타난 마스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X²=107.499, p< .001 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Table 13]와 같다.

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디자인 대표적 협업 사례를 살펴보면 세계적인 마스크 디자이너이자 헤어 스타일리스트인 Guido Palau는 2011년과 2012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오브 아트에서 Alexander McQueen: Savage Beauty 전시[Figure33]와 Schiaparelli and Prada: Impossible Conversations 전시[Figure34]에서 각각 알렉산더 맥퀸과 프라다와 협업 마스크 디자인을 선보였다. 협업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은 Simplification과 Elimination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는 연구의 결과를 입증하는 자료가 된다.

Analysis between Art Masks

Figure 33

Alexander McQueen

4. 4. 아트와 패션의 마스크 조형 차이점

[Table 12] 의 교차분석 결과에 따라 예술과 패션에서 나타난 두 분야의 유형별 조형 차이점을 보면, Elimination은 패션에서 18% 더 높게 나타나고, Magnification은 예술에서 7.3% 패션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Conversion은 예술에서 29.4%로 패션보다 압도적으로 더 높은 빈도 차이를 나타냈고, Substitution은 0.5% 그리고 Alteration은 0.1%의 근소한 차이로 패션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Combination은 예술이 3.4% 더 많이 나타났고, Rearrangement는 패션이 1.7% 더 높은 빈도차를 보였다. Simplification은 패션분야에서 가장 높은 빈도율을 나타낸 유형으로 두 분야의 차이점 비교에서도 20%의 높은 차이를 보였다. 예술은 Conversion, Magnification, Combination의 순으로 세 가지 유형에서 패션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난 차이를 보였고, 가장 높은 빈도 차이를 나타내는 유형은 Conversion이다. 패션은 Simplification, Elimination, Rearrangement, Substitution, Alteration의 순으로 5가지 유형에서 예술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난 차이를 보였고, Simplification과 Elimination은 2%의 차이로 Simplification이 가장 많은 차이를 지닌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를 표로 나타내면 [Table 14], [Table 15] 와 같다.

Art &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age

Art &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age Differences


5. 결 론

본 연구는 최근 마스크 디자인이 사회적 환경과 문화적 이슈를 담고 예술과 패션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따라서 출시 빈도에 따른 마스크 조형성을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두 분야의 활발한 협업 디자인 개발에 효과적인 자료가 되고자 한다. 두 분야의 마스크 디자인 조형 공통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창조적 디자인 발상법에 쓰이는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마스크 디자인에 나타난 형태의 유형을 체크리스트에 의해 빈도 분석한 결과 Conversion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Magnification과 Elimination, Simplification과 Combination, Substitution의 순으로 나타났다. Alteration과 Rearrangement는 가장 낮은 출시 빈도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유형으로 나타난 Conversion은 보다 독창적이고 다양한 창작 의도를 수용할 수 있는 예술 분야의 특징이 잘 드러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패션 마스크 디자인에 나타난 형태의 유형을 체크리스트에 의해 빈도 분석한 결과 Simplification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Elimination과 Magnification, Substitution과 Combination, Rearrangement의 순으로 나타났다. Conversion과 Alteration은 가장 낮은 출시 빈도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유형으로 나타난 Simplification은 의상 자체에 포커스를 두고 컨셉에 맞는 장식과 강조를 위해 마스크가 부가적인 디자인 요소로 사용된 해당 분야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결과이다.

셋째, 두 분야의 마스크 조형 공통성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Simplification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Elimination, Magnification, Conversion, Combination에 이어, Substitution, Modification, Alteration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차분석의 결과는 분야별 조형 형태에서 예술에서 Conversion 패션에서 Simplification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조형 차이점을 분석 한 결과는 예술에서는 Conversion 과 Magnification이 패션 보다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패션에서는 Simplification과 Elimination이 예술에서 같은 유형이 사용된 빈도 보다 확연히 높은 비율을 차지한 차이점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예술은 패션과 달리, 사람이 착용해야만 하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마스크의 형태나 사이즈가 아닌 스케일과 비율로 창의적인 조합을 통해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패션에서는 상품화 되거나 패션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한다는 제한을 가지므로 예술 분야의 마스크에 비해 형태적 제약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rt & Fashion Mask Desig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이러한 분석과 검증을 통한 마스크 디자인 조형성이 패션과 예술의 협력 디자인 창출과 전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범위와 자료선정에 있어 전수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Table 16]에서 보는바와 같이 공통점과 차이점 모두에서 상당수의 교집합을 이룬 유형은 Conversion과 Simplification이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인 예술과 패션의 마스크 협력 디자인 창출을 위해서는 Conversion과 Simplification 유형의 마스크 디자인 연구가 다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집단의 값을 얻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이러한 현대예술과 패션의 관계성 연구는 두 분야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tes

Citation: Han, J., & Chung, K. Y.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Masks Adapting Design in Art and Fashio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8(1), 113-131.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Celant, G. (1997). Art/fashion. New York: Distributed Art Publishers.
  • Laver, J. (1967). Fashion, Art, and Beauty.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Bulletin.
  • Miller, S. B. (1999, December 02). The Gallery: Cross-Cultural Disguises. Retrieved June 14, 2013, from http://www.wsj.com/articles/SB9440970202371704.
  • Muller, F. (2000). Art and Fashion (Fashion Memoir). Rubin, A. (Trans). London: Thomas & Hudson Ltd.
  • Müller, N. (2002). Kreativitätstechniken. Munich: Haufe, Verlag.
  • Nagata, T. (2011). Idea Framework 55. Kim, J. H. (Trans). Seoul: Spectrum Books.
  • Nam, M. Y., Kim, Y. K., & Lee, K. H. (2012).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reative Fashion Design by the Checklis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97-116. [https://doi.org/10.5850/JKSCT.2012.36.8.849]
  • Oh, N. R., & Lee, S. H. (2007). A Study on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2), 129-144.
  • Park, S. (2011). An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 of Mutual-borrowing Paradigm in Twentieth Century Fashion and A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80-100.
  • Picton, J. (1990). What's in a Mask. African Languages and Cultures, 3(2), 181-202.
  • Sefertzi, E. (2000, Jan). Creativity. Retrieved June 14, 2013, from http://www.adi.pt/docs/innoregio_creativity-en.pdf.
  • Woodward, D. (2012). Maison Martin Margiela Haute Couture Mask. Another publishing Ltd. Retrieved June 17, 2013, from www.anothermag.com/.
  • Yu, H. K. (1998). Art Education. Seoul: Hak Yeon.

Figure 1

Figure 1
Elimination

Figure 2

Figure 2
Elimination

Figure 3

Figure 3
Magnification

Figure 4

Figure 4
Magnification

Figure 5

Figure 5
Conversion

Figure 6

Figure 6
Conversion

Figure 7

Figure 7
Substitution

Figure 8

Figure 8
Substitution

Figure 9

Figure 9
Alteration

Figure 10

Figure 10
Alteration

Figure 11

Figure 11
Combination

Figure 12

Figure 12
Combination

Figure 13

Figure 13
Rearrangement

Figure 14

Figure 14
Rearrangement

Figure 15

Figure 15
Simplification

Figure 16

Figure 16
Simplification

Figure 17

Figure 17
Elimination

Figure 18

Figure 18
Elimination

Figure 19

Figure 19
Magnification

Figure 20

Figure 20
Magnification

Figure 21

Figure 21
Conversion

Figure 22

Figure 22
Conversion

Figure 23

Figure 23
Substitution

Figure 24

Figure 24
Substitution

Figure 25

Figure 25
Alteration

Figure 26

Figure 26
Alteration

Figure 27

Figure 27
Combination

Figure 28

Figure 28
Combination

Figure 29

Figure 29
Rearrangement

Figure 30

Figure 30
Rearrangement

Figure 31

Figure 31
Simplification

Figure 32

Figure 32
Simplification

Figure 33

Figure 33
Alexander McQueen

Figure 34

Figure 34
Prada

Table 1

Fashion Designers Create Masks for Collections

콜렉션 Spring2012 Spring2013 Fall2012
디자이너 Alexander McQueen Maison Martin Margiela Rick Owens
대표이미지

Table 2

Fashion Brands Mask products

출시년도 2011 2013 2010
브랜드 Adidas Nike Urban Outfitters
대표이미지

Table 3

Trend watch: Celebrities in Masks

년 도 2013 2013 2013
장 소 Paris Concert Montreal Concert London Street
이 름 Kanye West Lady Gaga Justin Bieber
대표이미지

Table 4

Collaborations between Artist and Fashion brand

년 도 2011 2011 2009
협 업
주 체
*Aldo Lanzini
×
Missoni
*Guido Palau
×
Alexander McQueen
*Jenny Kee
×
Linda Jackson
대표이미지

Table 5

List of helping words for checklist types

Checklist types List of helping words
Substitution reposition, different place, substitute, use other ingredients or materials
Combination blend, bring together, conjoin, intermix, recombine, become one
Alteration readjust, emulate, ideas outside one’s field, similar but different context
Magnification enlarge, expand, heighten, stretch out, overemphasize
Conversion mistreat, utilize, bring into play, different disabilities
Elimination remove, get rid of, omit, split into parts, compact
Simplification limit, restrict, tone down, reduce, underemphasize, moderate
Rearrangement invert, overturn, transpose cause and effect, opposite of original intension

Table 6

List of helping words for checklist types

Table 7

Frequency of fashion mask types by the checklist

Table 8

Art Masks Frequency Percent

Checklist types Frequency(%)
Elimination 24(10.7)
Magnification 52(23.2)
Conversion 73(32.6)
Substitution 16(7.1)
Alteration 7(3.1)
Combination 22(9.8)
Rearrangement 7(3.1)
Simplification 23(10.3)
Total 224(100.0)

Table 9

Art Masks Frequency Analysis

Table 10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

Checklist types Frequency(%)
Elimination 72(28.7)
Magnification 40(15.9)
Conversion 8(3.2)
Substitution 19(7.6)
Alteration 8(3.2)
Combination 16(6.4)
Rearrangement 12(4.8)
Simplification 76(30.3)
Total 251(100.0)

Table 11

Fashion Masks Frequency Analysis

Table 12

Cross Tabulation between Art & Fashion Mask

Category Art Masks Fashion Masks Total
Checklist % % %
Elimination 24 10.7 72 28.7 96 20.2
Magnification 52 23.2 40 15.9 92 19.4
Conversion 73 32.6 8 3.2 81 17.1
Substitution 16 7.1 19 7.6 35 7.4
Alteration 7 3.1 8 3.2 15 3.2
Combination 22 9.8 16 6.4 38 8.0
Rearrangement 7 3.1 12 4.8 19 4.0
Simplification 23 10.3 76 30.3 99 20.8
Total 224 100.0 251 100.0 475 100.0
107.499***
df 7
p p.000

Table 13

Analysis between Art Masks

Table 14

Art &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age

Table 15

Art & Fashion Masks Frequency Percentage Differences

Table 16

Art & Fashion Mask Desig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