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5, No. 3, pp.198-211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2
Received 11 Jul 2012 Revised 15 Aug 2012 Accepted 15 Aug 2012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Style

KangHyun-Jung ; RhieJin-Min ; JangMi-Jeo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TYLE에 대한 연구 동향

This study investigates style researches on food, clothing and shelter by year, sphere, and term. It is a primary research draw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based on dictionary and conceptual defini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style. For that aim, this study investigates literature found onthe internet and in related books, with a focus on domestic journal articles and theses from 2000 to 201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s on style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show that there are 1,600 articles and theses in the clothing sphere, 97 in the food sphere, and 830 in the shelter sphere among 1,155 articles and 907 theses.

Among them, it is found that many researches related to the arts and physical areas appeared from 2000 to 2011, and they greatly influenced researches on the style of external expression also, the ‘~style’ expression of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spheres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rends by the passage of time.

In summary, it is concluded that style in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spheres has correlations with society, culture, economy and individuals’ features. Finall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trends of style-related studies over the last ten plus years since the first study on styles was conducted. The present study asserts itself as a primary study that identifies the typ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tyle studies and organizes the studies at the level of overall matters based on the sequence of the studies. It is oncluded that an in-depth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er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rms is needed in future sequential studies and future sequential study tasks.

초록

본 연구는 스타일의 사전적, 개념적 정의를 그 기본에 두고, 의식주 전반에 나타나는 스타일 연구를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로 유형화 하고 그 표현 특성을 도출하는 것으로 스타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1차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1년 까지 국내의 학술논문 및 학위 논문, 그리고 인터넷과 관련 서적을 토대로 문헌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논문 1155개와 학위논문 907개에서 ‘의’분야는 1600개, ‘식’분야는 97개, ‘주’분야는 830개로 조사되었다. 그 중, 2000년부터 2011년 까지 예체능계의 연구가 많이 등장하여 외적 표현 스타일 연구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의식주 분야에서의 ‘~스타일’ 표현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트렌드의 특징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의식주 전반에 걸쳐 나타난 스타일은 사회, 문화 경제, 개인의 특성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내 스타일 관련 연구가 처음 연구된 이래, 스타일관련 연구를 최근 10여 년간의 동향을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스타일 연구의 유형과 표현특성을 도출하는 1차적 연구로서의 논지 집중 및 연구의 순차성에 따라 전반적인 사항 차원에서 정리했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 연속적인 차후 연구에서 다루어질 스타일의 분야와 용어간의 상관성 및 특성의 심층적 분석이라는 향후 순차적 연구 과제를 남긴다.

Keywords:

style, Dissertations, Theses, clothe, food, shelter, 스타일, 학위논문, 학술논문, ,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일상생활에서 아름답게 디자인되어 선택된 사물들은 우리의 생활공간 안에서 필연적으로 또는 자연스럽게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의 미(美)는 필요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 현재의 미적인 선택은 개인의 주관성, 시대성, 사회 문화적 특성과 경제적 영향을 받게 된다. 선택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디자인과 자신의 특성을 표현 할 수 있는 스타일1)을 필요로 하게 된다. 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사회, 경제,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일, 양식(樣式), 트렌드, 경향(京鄕), ‘~스타일’2)로 표현되어 학문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인터넷의 영향으로 다양한 정보 공유가 빠르게 확산 되는 2000년 이후 스타일에 관한 논문은 사회적 위치와 문화적 정체성이 개인의 개성적인 가치 표현과 기업의 특정적인 양식(樣式)으로 연구 평가되어, 패션, 헤어, 메이크업, 제품디자인, 실내, 건축 등의 디자인 전공자에 의한 스타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사회적 문화 현상에서 개인적인 문화 현상이 두드러진 2004년대 이후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스타일의 연구가 한 분야에 편중되기 보다는 여러 복합적인 분야에서 다양하게 배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매년, 학술 논문 및 학위 논문에서 스타일에 연구 논문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의·식·주 관련학과에서의 스타일 수업 및 연구 자료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를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 향상과 관련학과 스타일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관련학과의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고,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으로서 발전하는 계기와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 가치평가를 마련하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생활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스타일에 관한 이론적, 사전적 용어 개념의 정의를 산업 구조 기반에 두어 의·식·주 관련 분야에 한정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정보 문화의 교류가 빠르게 발전되는 2000년 1월 1일 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로 정하고 이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의·식·주 스타일 주제관련 학술논문 및 학위 논문을 검색3)하였다. 학술논문은 편의상 등재학술지와 등재후보학술지4)로 표시하며, 등재 및 등재 후보에 포함되지 않은 학술논문은 기타로 포함하였다. 기타 각 대학교, 대학과 대학 부설연구원등에서 연구한 논문은 포함하지 않았다. 셋째, 주 키워드 스타일, ‘~스타일’, 규범적 양식과 기술적 양식의 용어 검색과 패션, 의복, 텍스타일, 헤어, 푸드스타일, 제품디자인, 실내, 건축으로 생활공간 안에서 표현되는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검색하여 자료로 활용 하였다. 넷째, 라이프스타일, 문학, 영화는 스타일의 범주에서 제외하였다. 그 이유는 라이프스타일은 인생관, 생활태도까지 포함한 넓은 의미의 생활양식을 말하므로 가치관의 다양함을 수반하기에 스타일의 진위를 정확히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과 영화는 개별 영화나 표현주의와 같은 특정 문화 운동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고 스타일상으로 무대 장치와 의상을 모방하여 특정 시대를 표현함과 동시에 감독이나 작가의 개인적인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이론적인 고찰로 스타일에 관련된 역사적 개념정의와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사회, 문화예술, 디자인, 패션 분야별 개념적 용어를 산업구조 규정5)에 따라 경제구조 분류 안에서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 통계로 분석하여 내용적 추이와 추세의 흐름에 관한 성향을 파악한다. 셋째, 분류된 스타일의 특성을 유형화 하여 스타일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2. 스타일에 관한 이해

2.1. 스타일의 정의와 개념

스타일은 언어 문화권에 따라 그 정의와 개념을 크게 영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으로 살펴볼 수 있다. 영어문화권에서 본 스타일의 정의와 개념은 예술적인 표현이나 형성하는데 특유한 방식이 작품에 나타나 작품의 형식적인 통일로 특징짓는 것을 말한다. 고대 사람이 초를 칠한 널빤지에 글자를 쓸 때 사용한 뾰족한 붓·철필(鐵筆: 라틴어의 stilus, 그리스어의 stylos)에서 유래하였는데 이것이 ‘서체(書體)’, 나아가서는 ‘문체(文體)’의 뜻이 되었다. 라틴어의 스틸루스(stilus)에서 유래하는 이 개념은 이처럼 원래는 문체를 의미하고 있었으나, 18세기에 독일의 고대 미술가 요한 빙켈만6)(Johann Joachim Winckelmann, 1717.12.9~1768.6.8) 에 의해 미술적 표현 방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환 되었다. 여기에는 미술가의 개성적인 표현방식에 바탕을 둔 개인양식과, 초개인적인 집단 특유의 표현방식에 바탕을 둔 시대양식, 민족양식, 지역양식, 유파양식 등이 있다. 예술양식의 경우, 특정된 예술 의도를 떼놓고는 생각 할 수 없기 때문에, 양식의 배후에는 창조적인 어떤 일정한 유형적 정신구조(주관적 정신 및 객관적 정신)가 예상된다. 이렇게 해서 양식은 객관적 · 구체적으로 언제나 형식적 특징을 지적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외면적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식에는 형식 뿐 아니라 내용면을 동시에 포함하기 때문에, 이른바 내용과 형식, 주(主)와 객(客)을 통일한 고차의 종합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7) 특히 뵐플린8)(Heinrich boelpeulrin. 1864-1945)은 시대양식의 변천과 발전을 명백하게 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임무로 간주, 타 분야의 예술사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어떤 작가가 개성적 표현을 확립하고 있을 때, ‘양식(樣式)이 있다’ 라고 가치 평가적으로 사용하는 수도 있다. 또 작가의 주관적, 개인적인 정신보다도 재료(목조양식, 청동양식 등)나 목적(신전양식, 궁전양식 등)과 같은 객관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방식이 분화하는 경우도 양식의 개념이 적용된다. 이 경우는 단순히 ‘~식’9) 으로 표현한다. 위의 양식들의 정의를 정리해 보면, 인간의 형성 의지가 양식을 낳았으며, 창조된 대상에 형식적 요소로 통일성을 갖고 또 반복하여 나타날 때 양식이 성립한다고 생각한다. 양식은 그 규제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한다. ① 표현 수단에 의한 구분 ② 표현내용에 의한 구분 ③ 기술 또는 기교에 의한 구분 ④ 목적에 의한 구분 ⑤ 민족, 종족, 지방 등에 의한 구분 ⑥ 시대, 시기, 세대 등에 의한 구분으로 나타날 수 있다.10) 위의 구분조건에 따르면 양식은 일정한 창작 방법에 의해, 또는 민족적 전통에 의해 규정되면서 만들어지며, 또 역사적인 산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각각의 경제적ㆍ사회적 조건이 여기에 작용하고 있다. 새로운 양식이 나타나는 것은 사회적으로 변화가 생기고, 예술상의 양식과 이데올로기적 내용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상호 관계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위의 내용과 더불어 현대에는 과학 발전으로 대중매체가 확산되는 시기이기에 방송 문화 측면에서의 스타일 정의도 필요하다. 스타일은 문화적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와 타협하고 표현되는 수단으로 나타나며, 생산물, 텍스트 그리고 의복, 그림, 건물, 차 등 여러 종류의 사물들에 대한 분류법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타일에 대한 규정이나 해석도 우리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결정하는 방식의 일부로 나타나며, 사회적 상호 작용, 커뮤니케이션과 정체성의 형식들을 조직하고 그 속에서 결합하며 표현되는 일련의 규칙, 코드, 관습의 통합적 부분11)인 것이다. 또한 이는 스타일이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활동과 연관되어 발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어 문화권의 스타일에 대한 사전적 정의

위의 스타일 개념이 영어 문화권의 사전적 정의으로써 정리되었다면 다음은 한자 문화권12)의 사전적인 정의이다.

한자 문화권의 스타일 개념을 일본어 뜻풀이로 정리 하면, 스타일이란 예술적 표현 방식을 일반적으로 개별 인간과 사회 혹은 민족의 행동과 생활 방식과 형성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한자문화권의 사전적 개념은 19세기 괴테의 예술론과 19세기 후반에는 오스트리아의 미학자 A.리글, 독일의 보링거13) (Wilhelm Worringer. 1881~1965)에 의해 미술 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방법론을 전개하기 위한 유력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유형으로 분화되는 예술적 표현은, 미술에서 미술가의 (건축가, 화가, 조각가, 공예가 등) 각 표현 방식에 의한 개인 양식(樣式), 특정 시대를 총괄한 표현 방식을 기초로 한다. 시대 양식, 같은 민족 공유하는 표현 방식에 의한 민족양식과 한정된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지방 양식, 시대 ,민족, 지역 등 다른 사람과 다른 표현 방식을 가질 때 보이는 유파 양식 등이 있다. 예술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표현 방식을 파악해야한다. 미술가의 경우는 표현방법이 시대라면 그 시대정신을 가장 분명하게 투영된 것이 양식이기 때문이다. 시대 양식은 역사적인 배경이 막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를 지도하는 천재적인 미술가가 동시대와 과거에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14) 양식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것을 표현하는 새로운 양식, 즉 개인의 양식에 기인한 것이며, 유파의 양식도 대체로 같은 것이다. 또한 양식과 형식은 일반적으로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형식은 어디 까지나 양식을 형성하는 요인의 하나이다. 한자 문화권에서의 스타일은 사전적 개념을 커다란 사회적 양식의 카테고리 안에서 세분화 하여 형태적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정의하였다.

한자 문화권의 스타일에 대한 사전적 정의

위의 영어문화권과 한자문화권의 사전적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한 스타일의 개념 구분은 표현 방식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데, 스타일의 개념이 매우 주관적으로 해석 될 수 도 있고, 객관적으로 해석되어 다수와 소수로 표현, 표출 될 수 있다. 이러한 주관적, 객관적 문제를 곰브리치15)(Ernst H. J. Gombrich, 1909.3.30~2001.11.3)의 양식 구분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곰브리치는 양식이란 특정적이어서 쉽게 인식되는 것으로 인간이 행동하거나 물건을 만드는 방법, 혹은 그렇게 행동해야만 하거나 만들어져야만 되는 방법이라 하였다. 또한 규범적(Normative) 양식과 편의상 기술적(descriptive) 양식으로 나누었다.16) 스타일을 주관적, 객관적으로 나누고, 의미적인 면과 형태적인 면의 특성을 구분지어서, 스타일의 개념과 표현 방법을 분류 할 수 있다.

곰브리치 양식에 의한 스타일의 개념 분류

2.2. 분야별 어휘망

스타일의 일상적 의미에서 스타일이란 개인과 사회, 민족, 시대에 따른 특정적 생활의 수단, 집합적 정신의 표현을 포괄적 의미로 지칭하고,17) 사전적인 유의어로는 (예술, 건축 따위의) 양식(style, 樣式), 방식(a mode, a style, way, means,方式), 태도(attitude, 態度), 형태(form 形態)), 유형(type, category, class, pattern, 類型), 표현(expression, express, show, verbalize, articulate, 表現), 사조(思潮), 시대(time, period, epoch, era, age, 時代), 트렌드(Trend), 유행(fashion, trend, vogue, be in, be popular, 流行), 룩(look)18) 또는 한 시대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어휘, 여러 디자인 요소에 대해 가치로서 표현된다. 스타일의 사전적 정의와 개념어를 사용하여 연관된 어휘망19)을 구축하면 좀 더 세분화된 개념적 용어를 찾을 수 있다

[그림 1]

스타일의 사전적 어휘망 풀이20)

위의 [그림 1] 스타일의 사전적 어휘망에서 스타일과 유사하게 쓰이는 용어들이 생활주변의 여러 상황에 대해 나름대로 가치 체계를 가지고 행동하며, 관심을 표명하고, 의견을 내는 생활양식과 디자인 요소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스타일의 어휘망을 토대로 차별화된 각기 다른 느낌과 반응을 산업 구조 분류와 연결하여 정의를 하였다. 그 이유는 스타일이 진보하는데 있어서 경제 산업과 상호보완적 관계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페티클라크의 법칙에 의하여 산업의 구조를 분류한 G.클라크는, 산업을 먼저 제1차·제2차·제3차 산업으로 나누었다. 그에 따르면 경제가 진보하는데 1차 산업에는 농업·수산업과 목축업이 포함되며, 2차 산업에는 이들을 제외한 모든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광업·제조업 등의 광공업 이외에 건설업, 전력·가스·수도업 등도 포함된다. 3차 산업(서비스산업)으로는 자본·노동 및 소득의 비중이 추이(推移)해가는 경향을 세계적 규모의 통계적 뒷받침으로 실증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의·식·주와도 연관되어 분류 될 수 있다.

페티클라크의 법칙에 의한 의식주 분야

위의 내용에 의하여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 활동 안에서의 의·식·주를 2.5차 산업에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위키 백과사전에서는

“생활(Life)은 사람이 살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살기 위해서 행하는 필수적인 활동이며, 생활의 기본 줄기가 되는 것으로 의식주(food, clothing, and shelter [a place to live], the necessities of life. 衣食住)는 사람이 사는 데 필요한 의복, 식품, 주거 공간을 의미하며 생활에 필수적이다.” 22)

라고 정의한다.

상기 내용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패션, 텍스타일, 의복, 의상과 함께 유행을 선도하는 헤어, 메이크업, 미용을 ‘의’라 분류하고, 푸드, 음식 분야를 ‘식’이라 하고, 제품, 실내, 건축을 ‘주’라고 분류하기로 한다.

2.2.1. 의

‘미용, 메이크업, 헤어 ’분야에서의 스타일이란 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지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방법으로 얼굴의 형태(Form, 形態)나 유행(fashion)에 따라 변화한다. 패션에서 본 헤어스타일(머리모양)은 머리형, 헤어두(hairdo)라고도하며, 프랑스어의 쿠아퓌르 (coiffure)에 해당한다. 머리형은 시대, 민족, 개인에 따라서 다양하지만 과거 모두 의복과 관련하여 발전되었고 특정시기에는 의복을 능가하여 패션의 중심이 되기도 하였다. 또 계급이나 성별을 나타내는 중요한 포인트였다.23) 사회생활의 다양한 수준에서 일어나는 사회 변화(유행)에 자연적이고 점차적으로 변화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가 혼합되어 급속하게 변화24)하기도 하는데, 이는 독자적인 머리 형태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패션’에서의 스타일 개념은「형식 양식」이란 뜻으로, 비교적 단기간에 소멸하는 유행의 복식이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풍속으로서 일반화되었을 때, 그 복식의 디자인상의 특징을 스타일이라고 한다.25) 이를테면 미니스타일이나 판탈롱스타일 같은 것이 있다. 특정 재단이나 선, 색, 모양, 형태 등을 빌려 개인, 대중, 국민의 정신, 시대의 정신, 디자이너의 예술의지를 표현 하여, 문화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주로 의복 등에서, 예술적 감각이 있는 일정한 양식이나 스타일로 의상디자이너들이 다른 의상디자이너와 구분하기 위해 선, 형, 재질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2.2.2. 식

과거 조리, 요리, 영양, 식사예절과 관련되어 식생활 문화가 연구 되었다면, 현재는 식문화의 새로운 영역으로 ‘푸드스타일’이 대두되고 있다. ‘푸드스타일 e’의 개념은 음식물 형태, 사용되는 식품의 종류 또는 그 빈도, 조리방법, 요리의 종류나 가짓수, 식사횟수, 장소, 식사의 시간, 식사에 이용되는 도구, 예의 또는 먹는 법 등이 있다. 또한 섭취영양소의 종류 (kind, 種類) 또는 양(quantity, 量)등 푸드스타일 안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유사용어로는 푸드 스타일링(Food styling), 푸드 코디(Food Coordinator), 테이블 코디(Table Coordi), 테이블 아티(table Artie), 테이블 데코(Table decor)로 주로 보이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26) 과거 음식, 식품, 요리와 영양과는 다른 의미로의 ‘식’ 분야로 이는 식재료만 사용하여 ‘미(美)적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식재료와 주변 공간의 모든 요소들을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2.2.3. 주

‘제품’에서의 스타일개념은 모티브(motive), 재료(material, 材料), 기법(technique, 技法)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다른 시대 또는 그룹과 구별되는 특정한 시기와 디자이너의 특징으로, 총체적으로의 특징 형성 방식을 말한다. 특히 제품에서의 스타일 개념은 시대, 지역에 따라 유행하는 특정 양식을 나타낸다.27) 좀 더 세부적으로는 특정 기업이나 디자이너가 제품의 외형형태나 형성에 채용되는 양식(style, 樣式)을 말하기도 한다. ‘건축 양식’은 형태(form 形態), 기술(skill, technique, technology, 技術) 물질, (物質, matter), 기간(period, 期間), 지역(area, 地域) 등의 영향을 이용하여 건축을 분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는 건축의 진화, 역사 연구와 관련된다. 건축의 역사에서 이를테면 고딕 건축의 연구는 이러한 구조적 설계와 건축에 포함되는 전반적인 문화적 환경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건축 양식은 디자인 기능을 강조한 건축을 분류하는 하나의 방법이며 이를 통해 고딕 양식과 같은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건축역사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양식이란 개념은 18세기 예술사로부터 파생되는 범주적 용어이다. ‘실내디자인’에서의 스타일 용어는 실내공간을 연출하고 꾸미는 표현양식으로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정 사조나 트렌드, 분위기(mood, image, 雰圍氣)를 의미하며,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기호에 따라 여러 가지 실내를 연출, 변화시킬 수 있다.28) '주‘에서 보여 지는 공통된 스타일의 특성은 전체적으로 기술적 양식과 시대적 구분의 표현 양식으로 나타나며, 특색 있는 실내, 실외의 양식으로 나타난다.


3. 스타일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시기적으로 인터넷 영향으로 세계의 정보 교류와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스타일에 대한 연도별 선행 논문 분석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① 과거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진화되어져 온 스타일을 읽을 수 있고, ② 스타일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적 관계와 연관성을 알 수 있으며29) ③ 사회적 현상과 문화의 현상이 다양한 정보의 혼합으로 표현되는 현상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④ 스타일은 특정적인 패턴과 그 연관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패턴의 영향이 인간의 행동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행과 연관성이 있는데, 시간성을 두고 길게는 시대, 사조, 짧게는 트렌드(trend), 경향(京鄕), 유행(遊行)을 알 수 있다. ⑤ 21세기이후 스타일의 변화과정이 단순한 반복이나, 패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현상,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인간의 심리적인 상태의 결합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당해 연도에 주류를 보이는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다.

3.1. 연구대상의 전제와 분석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스타일에 관한 국내의 학술논문30)과 학위논문31)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조사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인 논문의 연구 분야는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로 나누어 분류,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에는 우리생활과 관련이 있는 의·식·주 스타일 관련학과와 의·식·주 주제에 연관된 스타일의 사전적, 개념적 유의어가 사용된 논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여기서의 의·식·주는 헤어, 메이크업, 미용, 패션, 의상, 텍스타일, 제품과 용품, 실내디자인과 건축, 주거, 푸드를 의미한다.

3.1.1 연도별 분석
1) 학술논문

분석대상 학술논문을 첫 번째 학술등재지와 학술등재후보지, 기타 학술지로 분류하였고, 두 번째 의·식·주 스타일이 연구되어 기재된 학회를 등재 분야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다음은 스타일에 관련된 연구 논문이 개재된 등재지와 등재후보지32)를 분류하면 [표 5],[표 6] 과 같다.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개제된 학술 등재지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개제된 학술 후보 등재지

위 [표 5]에서와 같이 학술등재지와 학술등재후보지의 의·식·주 스타일 연구 분야에서 예·체능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자연계로 나머지 분야는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위의 분류결과에서 보여 지는 특징은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일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기술적인 특징이 나타나는 예·체능계의 연구가 많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2000년 1월1일부터 2011년 12월31일 까지 등재된 학회지에 총 1155개의 스타일이 관련되어 연구되어졌고, 등재 후보지에는 총 53개가 발표되었다. 기타 학회에서도 총 209개가 연구되어졌다. 2000년 1월1일부터 2011년 12월31일까지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총 1155개가 조사된 등재지에는 예체능 분야에서 660개, 자연계 분야 334개, 공학계 분야 138개, 복합계 12개, 사회계 7개 인문계 4개로 조사되었다. 10년 동안 예체능, 자연계 분야는 꾸준한 연구 증가율을 보이고 새로운 경향이 시작된 2004년에 모든 분야에서의 2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표 7]과[그림 2]에 나타난다.

학술 등재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2]

학술등재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2000년 1월1일부터 2011년 12월31일까지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총 53개 조사된 등재지후보지에는 예체능 분야에서 52개, 자연계 분야 1개로 조사되었다. 예체능계 분야에서 스타일 연구가 높게 나타나며, 등재지와 등재후보지를 제외한 기타 학술지에도 총 53개가 분석되었다. 위를 정리하면 [표 8]과 [그림 3]과 같다.

학술 등재 후보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3]

학술등재 후보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2) 학위논문

2000년대 초부터 발달된 소비와 통신문화의 영향으로 세계의 문물을 빨리 접하게 되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연구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수도권, 광역시를 중심으로 각 지방 사이에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분포되었다.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총 907개의 학위논문 중 서울이 604개 경상도 102개, 전라도 69개, 경기도 63개, 충청도 61개, 강원도 8개, 제주도 1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도별 대학분포도와 학과별 분포, 학생 수에 따라 스타일의 연구 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수도권중심으로 스타일의 연구가 주도적으로 연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2004년 스타일의 연구가 전년도의 약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새로운 문화적 현상이 나타났음을 [표 9]와 [그림 4]에서 알 수 있다.

학위논문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4]

학위논문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3) 연도별의 종합경향

학술지와 학위 논문의 연도별 분석결과 2000년부터 예체능과 자연계 분야와 수도권 중심으로 꾸준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연도별 사회적 경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의 새로운 세기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속됐던 미래주의 경향33)에서 2004년 ‘의’에서는 자연주의 복고스타일이 경향34)을 이루었다. ‘식’에서는 웰빙35)을 시작으로 유기농과 '먹는 것이 약이다.' 라는 슬로건으로 ‘슈퍼 푸드 트렌드'36)가 나타나면서 외식업계의 이미지 쇄신을 위해 새로운 푸드 스타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주’에서는 친환경적 자재를 사용하는 지속가능한 건축 트렌드의 시작으로 그린디자인 트렌드37), 맥시멀리즘 트렌드38), 스칸디나비아 트렌드39), 자연주의 제품과 맞물려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2008년쯤 인간과 도시와 건축, 디자인까지 통합된 디자인과 영역 간의 소통과 믹싱이 토탈 스타일의 경향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후반에는 모든 스타일의 다양한 분야와 스타일 공존현상이 학술 논문과 학위 논문에서 연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이시기에 새로운 문화의 영향력으로 변동이 있으나, 지역적 영향은 받지 않은 문화적 이유로 해석 된다.

[그림 5]

연도별 스타일의 종합경향

3.1.2. 분야별 분석
1) 학술논문

분석대상 학술지의 분야별 영역을 한국학술재단40)에서 제시한 기준으로 예술, 자연, 공학, 복합, 기타로 나누었다. 2000년 이후 스타일이 예술과 자연 분야 학회에 주로 기재되어 연구되고 있으나, 2004년, 2006년, 2008년 이후 공학, 복합 문화를 나타내는 학회에서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영역의 구분이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새로운 분야의 학회지 등장으로 인해 연구의 분야가 확대되고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 2000년대를 시점으로 예술분야의 '의'생활 스타일의 주도적인 역할이 점점 줄어들었다. 그 이유는 각종 문화현상이 빠르게 변화되고, 개인 특성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간의 상관적인 영향력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관심 분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2006년부터 '식'생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면서 분야별 고른 분포현상을 볼 수 있다. '주'생활에서도 2007년 까지 예체능 분야의 학술지 발표가 다른 분야에 비해 월등이 많았으나 2008년 이후 공학 분야의 비중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학회지별 의·식·주 스타일연구 동향분석을 본다면, 2000년 이후 발표된 182개의 스타일의 학술논문 연구가 예술분야에 편중된 성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성향을 2004년 여러 분야의 복합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후에, 2010년에는 각 분야별 학회지의 연구 빈도수가 비교적 고른 분포를 이루고 있다. 의·식·주 스타일의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10]와 [그림 6]와 같다.

의, 식, 주 분야별 스타일 학술논문 연구 분석

의·식·주 분야별스타일 학술 논문 연구 분석

2) 학위논문

학위 논문의 분야 기준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41)에서 분류한 대학별 학과정보로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교육·기타 등 5개의 분야별로 나누었다. 조사결과, 학위논문 총907개 중 ‘의’는 581개, ‘식’은 73개, ‘주’는 253개로 조사되었다. 그 중 ‘의에서 예체능분야가 508개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디자인학과 계열과 미용, 헤어, 메이크업 등의 새로운 분야가 예·체능계열에서 많이 개설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 다음으로 ’의‘생활에서의 연구 분야는 의류학과개설이 많은 자연·과학 분야의 비중이 높았다. ’식‘생활에서는 조리학과와 경영, 산업이 많은 인문·사회계열이 많았으며, ’주‘생활에서는 건축, 실내분야가 많은 공학 분야로 조사되었다.

의식주 분야별 style 학위 논문연구 분석

의식주 분야별 스타일 학위 논문연구 분석

3) 분야별 종합경향

위 분석결과 학술지, 학위 논문 모두 스타일에 관련된 의식주 모두 예·체능계열의 분야에서 연구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2000년대 이후 학과가 학부로 통합되었다. 후에 학교 특성별로 개설학과가 나누어지게 되면서, 예체능계의 연구가 좀 더 세분화되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하는 자연과 인간중심의 사회적 트렌드에 맞게 새로운 전공학과42) 개설과 신설로 인해 더 많은 학위 논문의 연구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3.1.3 용어별 분석

스타일에 관련 용어는 스타일의 규범적 용어와 기술적 용어의 구분이 확실하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그 용어의 사용범위와 해석함에 불분명함이 있다. 그 이유는 예술과 디자인, 패션, 건축 등의 분야에 쓰이는 공통된 용어 스타일은 양식, 경향, 트렌드, 유형, 형태, 패턴(pattern), 표현(기법), 사조(시대성)43)등이 대체 용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연도별 분석결과 2004년 이후 새로운 스타일이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특히, 용어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2006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연구된 스타일의 용어 중 헤어, 메이크업, 미용, 푸드 분야 에서 좀 더 복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는 용어별 분석이 앞으로의 의, 식, 주 스타일용어를 분석과 해석함에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1) 학술논문

의식주의 용어별 스타일 연구를 분석한 결과 규범적 양식과 기술적 양식의 구분사용에 있어서 기술적 양식 용어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의 용어별 사용결과 형태적 용어의 사용이 사조·시대, 표현, 기법의 용어 사용 빈도수가 총 673개의 학술지 중 143개로 가장 많았고, 위의 ‘~스타일’의 복합어 사용이 141개로 나타났는데, 이는 스타일의 용어는 패션의 유행이나 트렌드, 경향과 독자적으로 ‘의’용어 사용에 용어 뒤에 붙는 접미사로써 하나의 스타일을 지칭하여 사용되고 있다. ‘식’에서는 ‘~스타일’용어 사용이 총 22개중에서 17개로 스타일의 용어사용에 의미와 형태를 구분 짓지 않고 푸드스타일처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단어 자체로 사용되고 있으며, ‘~스타일’, 스타일 구분을 두지 않는다. 이는 식생활의 중요함이 음식의 맛과 보는 것과 미적 형태도 포함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에서는 형태적 용어 사용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총 543개중에서 표현, 기법의 용어사용이 262개로 용어 사용에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두 번째로 나타나는 기타와 특성에 관한 용어 사용은, 특성에 관한 형태적 용어의 의미로써 사회적, 문화적 스타일의 의미와 개인적 특성이 표현이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새로운 스타일의 형태적 용어 사용임을 알 수 있다.

의, 식, 주 용어별 스타일연구 학술논문 분석

[그림 8]

의식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술논문 분석

2) 학위논문

‘의’생활에서의 패션은 규범과 기술의 복합양식으로 표현되어 총 581개중 137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두 번째로 복고의 영향과 새로운 트렌드에 민감한 사조·시대의 용어사용이 131개로 나타났다. ‘의’안에 포함되어 있는 헤어스타일, 미용, 메이크업은 화장으로 총칭되며, 메이크업의 방법이나, 헤어의 표현방법이 의상의 모양과 색 등을 고려해 실시되므로, ‘~스타일’, 모양, 형태, 유행, 트렌드의 용어와 함께 사용된다. ‘식’공간에서의 푸드 스타일은 특정한 유형의 음식, 먹이의 사전적 의미에 외적인 형태미가 포함되어 하나의 복합어로 쓰이고 있다. 총 73개의 연구 논문 중 푸드스타일 처럼 복합어로 사용되어 37개 연구되었고, 기타, 음식의 재료와 지역, 국가, 민족성, 개인성을 고려한 특성적 용어 사용이 21개로 많았다. ‘주’공간에서는 총 253개의 연구 논문 중 ‘~스타일’의 복합어 사용이 가장 많았고, 이는 ‘의’와 마찬가지로 -스타일의 복합어 사용이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표현과 기법이 46개, 형태가 44개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표 13] 통해 보여 지는 의, 식, 주의 총 907개 중 ‘~스타일’의 사용이 23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시대와 사조, 형태, 표현 기법 등으로 외적인 형태 연구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 식, 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위 분석

[그림 9]

의식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위 분석

3) 스타일과 어휘망의 연결성

위의 결과와 어휘망의 연결성에서 의·식·주를 나타내는 용어는 규범적인 용어보다는 형태적인 용어의 사용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타일은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분야별 정확한 해석이 어려웠다. 그러나, 위의 결과를 토대로 의, 식, 주에 관련된 용어의 사용은 주로 스타일 용어자체로의 분야에서의 연구 특성을 나타내고, 형태적인 용어 사용이 많다. 또한 의, 식, 주의 용어사용이 겹쳐지는 부분은 형태와, 표현, 특정한 방식등 사용하는 용어로 [그림 10]과 같이 분석되었다.

[그림 10]

의, 식, 주 스타일의 분야별 어휘망 풀이

4) 용어별 종합경향

위에서 살펴본 용어별의 분석결과 학술지와 학위논문에서 ‘~스타일’과 기술적 양식의 형태적 용어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의, 식, 주에서 연구되는 ‘~스타일’은 복합어로 사용되며 ‘형태적 용어’ 로 해석 되어 소통된다고 할 수 있다. 스타일의 어휘망의 연결에서도 형태와 특성을 표현하는 용어사용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의·식·주스타일이 예체능 분야에서 많이 연구가 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2 소결

우리의 생활환경 안에서의 의, 식, 주에 관련된 스타일을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 조사, 분석하였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스타일의 개념은 규범적인 양식과 기술적 양식 둘 다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위 결과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의, 식, 주스타일은 형태적인 양식을 말하고 있는데, 이는 스타일 연구가 가장 많이 배출된 예·체능 분야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가 거듭될수록 더욱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 초 예·체능계, 자연계, 공학계의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점차적으로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특히, 예·체능계의 분야가 2004년을 기점으로 점점 더 확대되고 세분화되어 새로운 분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는 개인의 특성과 개인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대두되면서 부터이다. 예를 들자면, 푸드스타일 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식생활로 들어온 것처럼 우리의 생활은 좀 더 복잡하고 세분화 되어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스타일 연구의 동향 파악

오랜 세월 동안 가장 빠른 유행은 매년 패션분야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을 전후로 정보의 공유가 빠르게 발전되면서 패션 스타일의 주도적인 역할이 점점 줄어들었다. 그 이유는 각종 사회, 문화현상이 빠르게 변화되고, 개개인의 특성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의 상관적인 영향력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관심분야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특히 2004년 사회적으로 자연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관심거리가 생겨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의, 식, 주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졌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 분야의 연구가 2006년 이후 활발히 진행되어 의, 주생활이 세분화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의’와 ‘주’생활은 2000년대 초 예·체능, 자연, 공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11년 다른 분야와의 연계로 비교적 의·식·주 분야가 고르게 연구되고 있다. 용어별 선택에서도 형태적 용어, ‘~스타일’의 복합어 사용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 스타일의 표현함에 있어서 기술적 양식의 용어로 해석함에 있어서 용이하다. 이는, 의, 식, 주의 분야의 스타일표현에 있어서 사회, 문화, 경제적 요건과 개인적 특성이 상호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형상화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스타일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그림 11]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그림 11]

스타일 연구의 동향 파악


5. 결 론

본 연구는 과거에는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개인의 가치 평가기준으로 나타나고 있는 의, 식, 주 스타일에 대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물이다. 스타일의 동향을 파악하기위해 먼저, 사전적 정의와 개념을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로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 후, 기존 연구들을 의식주 분야에서 유형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거 ‘의’생활에 관련된 분야의 패션이 모든 분야의 유행에 주도적 역할을 해왔으나, 2000년대를 이후 유행의 선도 분야가 불분명 해질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나오고 있다. 2000년대 초 예체능 분야와 자연 공학 분야에서 대다수의 ‘의’ 스타일의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2004년 이후 사회적, 문화적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나 ‘의’에 관련된 미용, 헤어, 메이크업 분야가 패션과 분리되어 독자적인 연구로 발표되어 새로운 영역의 주도적 역할로 점차 변화했다. ‘식’생활에서는 음식의 맛과 조리의 영역이 아닌, 스타일 자체로 미(美)적 가치 분야의 발달이 2006년 이후 활발히 진행 복합적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에는 학문적 경향으로 접근된 관광, 외식, 푸드스타일링 학과의 영향으로 분포되어 나타났으나, 2008년 이후 의, 식, 주 복합적인 연결성으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주’공간에서는 2000년대 초 인구밀도와의 상관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큰 대도시중심으로 나타났으나, 중반으로 갈수록 신도시 개발, 개인적 특성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위, 식, 주의 스타일의 결과를 취합해 본 결과, 의식주의 스타일이 가장 많이 나타난 분야는 예체능과, 자연, 공학, 복합 순으로 세 분야의 스타일이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통합 되어져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용어별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스타일, 형태, 표현·기법, 시대·사조의 형태적 용어의 표현이 쓰였고, 복합어 ‘~스타일’은 ‘로코코스타일‘, ’빅토리안 스타일‘처럼 ‘~스타일’로 표현되어 사용하는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타·특성에는 작가의 독특한 개성이 특성이라는 스타일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타일이 사회적 특성, 미적특성, 개인적 특성과의 상호적 관계성을 가지고 소통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타일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에 있어서 의·식·주와 관련한 스타일을 연도별, 분야별, 용어별로 그 유형과 표현 특성을 도출하는 1차적 연구로서의 논지 집중 및 연구의 순차성에 따라 전반적 사항의 차원에서 정리하며, 그 연장선상의 연속적인 차후 연구에서 다루어질 스타일의 분야와 용어간의 상관성, 특성 및 관계성과 해외 사례 등의 연구범위 확장성에 심층적 분석이라는 향후 순차적 연구 과제를 남긴다.

Glossary

1) 국립국어원. style의 외래어 표기 ‘스타일’로 표기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197200

2)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거나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말. ‘덧신’, ‘먹이’와 같은 파생어와, ‘집안’, ‘공부방’과 같은 합성어로 나뉜다

3)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main.jsp

4) 등재학술지와 둥재후보학술지 : 한국연구재단 http://www.nrf.re.kr/html/kr/

5) 페티클라크의 법칙과 호프만의 법칙.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85343

6) 독일의 미학자. 미술가. ‘추상과 감정이입’ (1908)

7) 삼호뮤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1027

8) 독일의 미학자. 미술사. ‘르네상스와 바로크’ (1888)

9) 네이버 지식 사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2475

10) 류은주 저. (2003) 모발학 사전. 광문사.

11) 네이버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040

12)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이란 중국으로부터 문자인 한자와 고전어인 한문을 받아들여 자국어에 고전 중국어계의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한 동아시아 지역을 가리킨다.

13) 독일의 미술사. ‘추상(抽象)과 감정이입(感情移入’(1908)

14)나가이 신이치.永井伸一저. (1950) 일본 大백과 사전 (소학관). 執筆者:永井信一. 日本大百科全書(小學館)

15)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술사학자. '서양미술사‘(1950)저

16)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1. 교문사. P78

17) 김민자. 앞의 책. P76

18) 민중서림편집국 저. (2011). 엣센스 영한사전 (11판)

19) 온톨로지(Ontology): 사람들이 세상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로,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이다. 온톨로지는 일단 합의된 지식을 나타내므로 어느 개인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룹 구성원이 모두 동의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여러 가지 정형화가 존재한다. 노상규, 박진수 지음. (2007)온톨로지 (인터넷 진화의 열쇠) 가즈토이. p26

20) [그림 1]의 표기법 1. (botany) the narrow elongated part of the pistil between the ovary and the stigma 1-1. reproductive structur 생식구조(生殖構造) 1-2. stigma오점( 汚點)2. the popular taste at a given time 2-1. vogue 인기(人氣) 2-2. trend경향(傾向)3-1. a category of things distinguished by some common characteristic or quality . kind종류(種類) sort유형(類型) variety여러 가지(各樣各色) form 형태(形態)4. a way of expressing something (in language or art or music etc.) that is characteristic of a particular person or group of people or period 5. a slender bristle like or tubular process 5-1. a natural prolongation or projection from a part of an organism either animal or plant appendage 부가물(附加物) process 진행(進行) outgrowth 결과물(結果物)6. how something is done or how it happens way방식(方式) mode방식(方式) manner(方式) fashion(方式) 7. a pointed tool for writing or drawing or engraving 8. distinctive and stylish elegance. flair:재주, 재능(才能) elan:기백(氣魄), dash: WAY OF BEHAVING 충돌(衝突); , panache 기품(奇品) 9. editorial directions to be followed in spelling and punctuation and capitalization and typographical display 9-1. a message describing how something is to be done direction 방향(方向) instruction 지시(指示) [그림 1]의 표기법 1. make consistent with a certain fashion or style 1-1. communicate or express by writing 서 write 글씨를 쓰다. 저술하다2. make consistent with certain rules of style 2-1. make or cause to be or to become make모양(模樣, 貌樣) create창조하다(創造)title제목(題目)

21)브리태니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rts02a181

22)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EC%83%9D%ED%99%9C

23)패션전문자료사전,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0233

24)임경근. (2007). 광문각. 인터랙티브 헤어모드 (기술메뉴얼).

25) 네이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1838

26) 강은숙·안세희.(2010)백산출판사. 푸드스타일링 이론과 실제.

27) 서병기. (2002) 산업디자인 핸드북1. 서울여자대학교출판부.

28) 위키백과 http://www.vam.ac.uk/vastatic/microsites/architecture/style_level1.php?id=0

29) 헨릭 베일가드. (2008) 비즈니스 북스. 트렌드를 읽는 기술.

30) 학술논문 : 학술지 및 학술 잡지는 연구자가 집필한 논문을 게재하는 잡지이다.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결과물인 논문을 세상에 알리며, 학술지는 그러한 논문을 알리는 자리이다. 학술지에 투고되는 논문이 많기 때문에 그 모두를 게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논문의 수준도 다양하기 때문에 취사의 선택되어 개제된다.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D%95%99%EC%88%A0%EC%A7%80

31) 학위논문 : 국어사전에 의하면 학위논문은 일정 수준의 학술상 능력이나 성과에 대하여 국가 또는 대학이 수여하는 칭호로 학문상의 연구결과를 논술하는 글로 주로 사실의 진위(眞僞)를 순 이론적으로 논증하는 문장이다.

32) 한국학술진흥재단. http://www.nrf.re.kr/html/kr

33) 미래주의 style : 테크노, 퓨쳐리즘, 오리엔탈스타일등 미래주의적 형태감을 표현한 스타일. 자연주의 스타일 : 그린, 에코, 프로방스, 스칸디나비아. 스타일 등. 복고주의스타일 : 과거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스타일.

34) 서울 패션 센터 SFC (seoul fahion center)를 기준으로 매년 S/S , F/W파리·밀라노·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35) 웰빙의 사전적 의미는 행복, 안녕, 복지 등이다. 삶의 질을 강조하는용어

36) 활성산소들을 제거하고 체내에서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웰빙 식품. 트렌드 키워드. 김민주. (2009) 트렌드 키워드. 미래의창

37) 정시화 (1991) 산업디자인 150년, 미진사

38) 맥시멀리즘은 원색적인 화려한 색상, 과감하고 과장된 장식과 풍성한 부피감 등 과장된 조형수단으로 표현.

39) 스칸디나비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인 민족풍 패션. 스칸디나비안이라고 불리는 눈의 결정을 모티프로 한 무늬.

40) (구)한국학술진흥재단. http://www.nrf.re.kr/html/kr/

4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ue.or.kr/

42)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2000년 승격)/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대학원 (2006년 설립)/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2007년 설립)/등등

43) 한 시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서 그 시대의 대표스타일이나 ·~이즘으로 특성, 규정되어진 양식. 예시)빅토리아 스타일, 미니멀이즘 스타일

Notes

Citation: Kang, H., Rhie, J., & Jang, M. (2012).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Style, form 2000 to 2011.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3), 198-211.

References

[그림 1]

[그림 1]
스타일의 사전적 어휘망 풀이20)

[그림 2]

[그림 2]
학술등재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3]

[그림 3]
학술등재 후보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4]

[그림 4]
학위논문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그림 5]

[그림 5]
연도별 스타일의 종합경향

[그림 8]

[그림 8]
의식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술논문 분석

[그림 9]

[그림 9]
의식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위 분석

[그림 10]

[그림 10]
의, 식, 주 스타일의 분야별 어휘망 풀이

[그림 11]

[그림 11]
스타일 연구의 동향 파악

[표 1]

영어 문화권의 스타일에 대한 사전적 정의

의미 구분 내 용 키워드
패션적 측면 형식(形式), 양식, 룩(look)
실내·건축·제품·디자인 측면 모티브, 재료, 기법, 디자이너의 특징 표현 양식, 시대, 지역적 양식, 트렌드, 사조(私租)
문화·예술적 측면 예술적 표현, 작가의 개성적 표현 양식
사회적 측면 문화의 정체성 사회적 위치와 타협되는 표현 수단( expression, express, show, verbalize, articulate, 表現) 사회적 상호작용 규칙, 코드, 관습

[표 2]

한자 문화권의 스타일에 대한 사전적 정의

한자 일본어
사회적 個人や集団などに獨自の考え方や行動の方法(개인이나 집단 등에 고유의 사고방식이나 행동 방법) "生活- " (‘생활-’)
양식적 樣式 建築、美術、音樂、フォ-ム, 型(건축, 미술, 음악, 양식, 형) "前衛的 - ビル"、"演奏 - "(‘전위적 - 빌딩’, ‘연주-’)
사전적 文章や文學作品の表現形式、特に文体(문장이나 문학 작품의 표현 형식, 특히 문체) "讀者を持つ作家"(‘독자를 가진 작가’)
시대적 時代 服飾、髮などの形式(복식, 두발등의 형식) "最新流行- '、'ヘア-"(‘최신유행 -’, ‘헤어-’)
형식적 形式 顔、姿(몸매, 얼굴, 모습) "すらりとした"、 " - いい"(‘늘씬한’, ‘- 좋다’)

[표 3]

곰브리치 양식에 의한 스타일의 개념 분류

곰브리치 양식에 대한 분류 사전적 의미 키워드
규범적 양식 사회·철학적 측면 문화의 정체성 사회적 위치와 타협되는 표현 수단 사회적 상호작용 규칙, 코드, 관습
기술적 양식 문화·예술적 측면 예술적 표현, 작가의 개성적 표현 양식

[표 4]

페티클라크의 법칙에 의한 의식주 분야

페티클라크의 법칙 분야별 주제별
1차 산업 primary industry 농업 푸드, 음식
2차 산업 secondary industry 광업, 제조업, 건설업 패션, 의복, 텍스타일, 제품디자인, 실내, 건축 의, 주
2.5차 산업21) 제조업+서비스업=복합 산업 2차 산업+서비스 의, 식, 주
3차 산업 service industry 상업·금융업·보험업·운수업·통신업·관광업·광고업 미용, 메이크업, 헤어

[표 5]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개제된 학술 등재지

학회 등재 분야 학회 등재 분야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예체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자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의류학회
한복문화학회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색체학회 한국주거학회
대한피부미용학회 한국안광학회
한국미용학회 한국가정과학회 공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대한가정학회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건축역사학회 복합
한국실내디자인학과 한국교육시설학회
한국디자인학회 한국산악기술학회
한국디자인지식학회 한국생태건축학회
한국화훼디자인학회 한국농촌건축학회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인문
한국미술교육학회 한국감성과학회
한국사진학회 한국생활환경학회
한국미술사학회 국어국문학회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한국서양사학회
한복문화학회 한국프랑스학회 사회
대한피부미용학회 한국미국사학회
한국미용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조리학회
복식문화학회 자연 한국외식경영학회
한국의류산업학회 한국식품영양학회 농수산
한국복식학회 기타

[표6]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개제된 학술 후보 등재지

학회 등재분야
한국공간디자인학회,한국조형디자인학회, 한국가구학회, 한국니트학회, 한국니트디자인학회,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예·체능
프랑스문화예술학회 인문

[표 7]

학술 등재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예체능 19 11 28 39 85 54 72 78 67 77 84 56 660
자연 18 20 30 15 41 37 26 39 30 36 32 24 334
공학 3 6 11 7 5 5 11 8 21 20 18 23 138
복합 0 0 0 0 4 3 0 0 3 0 1 1 12
인문 0 1 0 0 0 0 0 1 1 0 1 0 4
사회 2 1 1 1 1 1 7
40 38 69 63 136 99 109 127 123 134 137 104 1155

[표 8]

학술 등재 후보지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예체능 1 1 1 4 6 8 13 10 8 52
자연 1 1
1 1 1 4 6 8 13 10 9 53

[표 9]

학위논문에 개제된 스타일의 연도분석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합계 26 54 57 58 106 84 76 75 93 96 81 105 907

[표 10]

의, 식, 주 분야별 스타일 학술논문 연구 분석

학술분야 갯수 합계 총합계
예·체능 312 693 1261
자연 317
복합 3
공학 1
기타 38
예·체능 6 24
자연 6
복합 1
공학 7
사회 2
기타 2
예·체능 311 544
자연 11
복합 18
공학 140
기타 64

[그림 6]

의·식·주 분야별스타일 학술 논문 연구 분석

학술 논문 분야별 style 연구 동향분석

[표 11]

의식주 분야별 style 학위 논문연구 분석

학위분야 수량 합계 총합계
인문·사회 4 581 907
자연·과학 54
공학 -
예·체능 508
교육·기타 15
인문·사회 13 73
자연·과학 3
공학 1
예·체능 49
교육·기타 2
인문·사회 3 253
자연·과학 1
공학 55
예·체능 187
교육·기타 7

[그림 7]

의식주 분야별 스타일 학위 논문연구 분석

학위 논문 분야별 style연구 동향분석

[표 12]

의, 식, 주 용어별 스타일연구 학술논문 분석

[표 13]

의, 식, 주 용어별 스타일 연구 학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