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of MFA(Master of Fine Arts) as a Terminal Degree in the United States-Focused on Interior Design Graduate Programs
Background Since 1980, number of graduate schools and graduates has increased greatly in the field of design.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about how much the quality of research and profession in the design field has been enhanced.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nd investigates the professional master’s degree in design, known as an MFA(Master of Fine Art) in US. The purpose is to rethink the meaning and purpose of master’s degree in the field of design and discuss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design profession through higher education.
Methods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and on graduate degrees both in Korea and United States was executed. Then a case study on MFA program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interior design field in order to narrow down the subject. The researcher defined 12 MFA programs that are listed in IDEC(Interior Design Educators Council) and analyzed their curriculums.
Results First, almost all MFA degrees required 60credit hours for graduation. Nearly half of their curriculum were designated for abilities to converge knowledge and skill into projects, which were worked on in studio classes. However, knowledge-based theory classes such as those on sustainable design and historical preservation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 Secondly, MFA and MA (or MS) programs were nested in one graduate school, which allows students to navigate their way through a more flexible road map. Lastly, some programs offered college teaching class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FA as a terminal degree.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of an MFA program is focused on enhancing convergence abilities based on knowledge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design solutions related to social issues. Even though the graduate education system in Korea differs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idea of an MFA program as a terminal professional degree has a lot to offer in redefining our graduate degree programs.
초록
연구배경 대학교육의 보편화와 디자인분야의 사회적 관심에 힘입어 디자인학에서의 대학원 과정은 1980년대 이후부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대학원생의 양적 증가에 비해 더딘 연구의 질적 향상과 실무에서 고급전문가의 부족 등에 대한 우려 또한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술학위와 전문학위로 구분되어 있는 미국의 석사학위제도를 이해하고 이 가운데 분야의 최종학위로 인정받고 있는 전문석사학위인 MFA(Master of Fine Art)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디자인 고등교육 체제를 돌아보고 디자인 분야에서 대학원의 근본적인 의미와 정체성 확립 및 고급인력 양성방법에 대한 또 다른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문헌연구방법과 사례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디자인 교육의 역사와 학위과정 현황 및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디자인의 분야가 넓기 때문에 사례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의 분야로 그 범위를 축소하였다. 이에 미국의 실내디자인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12개 MFA 학위과정을 추출하여 분야의 분류표와 전문가 육성을 위한 지식, 기술, 능력(KSA)의 두 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국 대학원의 석사학위 과정은 지원대상의 교육배경과 학위의 교육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위 명칭과 그에 따른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과정들이 동일 대학원 내에서 각기 다른 로드맵으로 존재하고 있어서 석사학위 과정 간은 물론 학사학위 과정과도 유연하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지원자의 입장에서는 교육선택권이 주어지고 교수 입장에서는 명확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설정할 수 있다. 둘째, MFA로 알려진 전문석사학위는 60학점 3년 정도의 교육기간이 요구되며, 논문은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실무 분야에서의 최종학위로 인정받고 있기에 디자인 교육자로서의 기본 자격이 인정된다. 셋째, 기본적으로 전문석사학위의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육과정을 보면 수렴의 능력을 중요시 하는 설계과목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지만 디자인비평, 재생디자인, 친환경디자인 등의 전문화된 지식관련 과목들 또한 중요시되고 있었다. 비판적 의식,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 나타나는 실무수업과 교수법 등을 통해 실무 전문가뿐만 아니라 디자인 교육자를 육성하기 위한 학위임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전문석사학위는 무엇보다도 전문가로서 지녀야 할 비판적 의식과 책임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이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설계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교육 인증, 자격증, 등과 연결되어 있는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제도는 국내의 현실과 차이점이 분명히 있으나 국내 디자인분야에 있어서 대학원 학위의 근본적인 목적과 그에 적합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디자인 고유분야의 특성을 잘 살리면서도 소모적인 고학력화를 지양할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Design Education, Graduate Education, Interior Design Education, Professional Degree, Master of Fine Arts, Master's Degree, 디자인교육, 전문석사학위, 실내디자인 교육, 대학원교육, 전문대학원1. 연구 목적과 방법 및 목적
1. 1. 배경과 목적
1965년 3,842명 정도로 기록되어 있었던 국내 대학원생의 수는(Park, 2003) 2016년 332,768명으로 거의 90배 이상의 폭발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석사학위 재적생의 수를 살펴보면 일반대학원생 87,970명, 전문대학원생 38,730, 그리고 특수대학원생 131,853명으로 총 258,553명에 이르고 있다(Minister of Education, 2017). 이렇게 대학원생의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이유는 다양하게 꼽을 수 있겠지만 사회 전반의 고학력화와 특수대학원의 증가를 빼 놓을 수 없다. 80년대 이후부터 사회인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대학원들이 대거 설립되면서 이제는 일반대학원보다도 많은 수의 석사학위 졸업자들을 배출하고 있는 독특한 상황이 발생되었다. 석사학위 졸업자의 수가 늘어나자 그 희소가치의 하락으로 최근 5년간 석사 입학정원은 약간 감소하는 반면 박사학위 입학정원은 증가하고 있다. 물론 대학원생의 수가 많다는 것 그 자체가 문제라고 볼 수는 없겠지만 대학원생의 양적 증가에 비해 학계에서는 연구의 질이 향상되고 있지 못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실무에서는 전문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고급인력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그리하여 미국의 전문석사학위과정을 벤치마킹하여 1990년부터 의학, 법학, 경영, 건축 등과 같은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또 하나의 대학원 체제인 전문석사학위를 수여하는 전문대학원이 시작되었다.
교육부는 (Minister of Education, 2016) 대학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대학원 규제를 완화하고 전문대학원 석사과정의 설치를 자율화하겠다는 보도 자료를 발표하였다. 그 다음 해인 2017년에는 대학원 정원 조정 및 설치 세부기준안을 통해 학부 정원 2명을 전문대학원 1명으로, 일반과 특수대학원의 정원 4명당 전문대학원 3명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대학원 총 정원제’를 실시한다고 명시해 놓았다. 따라서 디자인계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국제적인 전문 인력의 교육이 시급한 현 상황에서 이러한 교육부의 방향, 대학원의 양적 팽창과 질적 저하, 급격한 고학력화 등 대학원 교육의 문제점과 변화를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이론과 실무 모두 중요한 디자인분야의 특성을 전제로 대학원의 근본적인 존재 이유와 정체성에 대한 깊은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미국의 경우 국내와 같이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등과 같이 대학원 체계가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대학원 안에 교육목적에 따라 다른 교육과정과 학위를 수여하는 프로그램 즉 학위과정이 다르게 개설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전문대학원 학위과정과 유사한 디자인 또는 예술계열의 MFA(Master of Fine Arts)학위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디자인분야의 실천적 이론을 바탕으로 고급 전문가 육성을 위한 MFA과정을 소개하고 실내디자인분야를 예로 그 교과목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석사학위이지만 박사학위와 같이 최종학위로 인정받고 있는 전문석사학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디자인 고등교육 체제를 돌아보고 디자인 분야의 정체성 확립 및 고급인력 양성 방법에 대해 또 다른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1. 2.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크게 이론연구와 사례연구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이론연구에서는 디자인 교육의 역사와 국내 디자인분야 석사학위과정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문석사학위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후 디자인 분야 전문석사학위 교육과정의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위한 사례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디자인의 분야가 그래픽, 제품, 공간 그리고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워낙 넓기에 실내디자인(실내건축)의 분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실내디자인 전문석사학위 교육과정 분석은 미국실내디자인학회(IDEC)의 석사학위 명단에 기재된 22개 전문석사학위 과정 가운데 홈페이지에 교육과정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는 12개 학위 과정의 커리큘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공 및 분야 분류표와 전문가 육성을 위한 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KSA)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이뤄졌다.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전문석사학위의 의미와 교육과정 특성을 도출하여 결론을 맺고 있다.
2. 국내 디자인 분야 대학원의 특성과 학위현황
2. 1. 디자인교육, 가치의 다양성과 흐름
디자인 교육을 논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Bauhaus, 1919-1933)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산업혁명 직후 새로운 기계문명은 당시의 사람들을 매료시켰으나 예술은 일상성에서 분리된 채 독자적인 발전을 꾀하게 되었고 장인은 노동자로 전락하게 되면서 생활물건들은 조악한 상태로 대량 생산되었다. 이러한 현실에 문제를 제기한 러스킨(John Ruskin 1819-1900)이나 모리스(William Morris, 1834-1896)의 정신을 바탕으로 고급예술과 생활의 통합, 다양한 예술장르의 통합을 목표로 1919년 바우하우스는 첫 수업을 시작하였다. 오늘까지도 살아있는 디자인 정신의 산실이자 근현대 디자인 교육의 표상과도 같았던 그 역사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21년 만에 사라지게 된 이유에는 사회정치적 요인도 있었으나 디자인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음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기도 하다. 송혜영(Song, 2017)에 의하면 1924년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는 수공예적 공방에 몰두하고 있는 교육을 ‘예술이념의 종합적 발전에 저해된다’고 비판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27년 한네스 마이어(Hannes Meyer, 1889-1954)가 건축학과를 설립하면서 상업적이고 실용적 가치의 추구는 오히려 더 강화가 되었다. 결국 예술가들이 꿈꾸었던 이상적인 조형교육과 건축가들이 추구했던 실용적 공예교육과의 충돌로 1923년에는 이텐(Johannes Itten, 1888-1967)이, 1931년에는 클레(Paul Klee, 1879-1940)가 학교를 떠나고 칸딘스키의 수업도 유명무실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바우하우스의 갈등의 영역은 이후 제품, 건설, 시각, 정보 그리고 영상까지 현대 디자인분류 체계의 기틀을 마련한 울름조형학교(1953-1968)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반복되었다. 바우하우스의 이념을 계승하면서 예술로서의 디자인을 강조하였던 초대학장인 막스 빌(Max Bill, 1908-1994)과 새로운 기술과 과학적 방법을 중요하게 여겼던 젊은 강사들과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교육 가치관이 그대로 드러나는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이 서서히 과학이론교육에 집중되어 갔으며 사회과학의 비중이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Lee, 1998). 바우하우스가 근대식 디자인교육의 기초를 마련했다면 울름조형학교는 기술과 실증적 이론을 중요시 하는 독일의 디자인관은 물론 대량소비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이 두 학교의 교과과정 편성을 둘러싸고 드러나게 된 조형과 실용, 예술과 과학, 그리고 이론과 실천 등 다양한 가치관들의 충돌은 다층적이고도 중첩적인 디자인의 속성과 학술과 실무 모두 중요한 디자인 교육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2. 2. 국내 디자인관련 대학원 현황과 학위 유형
국내 디자인 교육은 1945년에 이화여자대학교, 1946년에 서울대학교 그리고 1950년에 홍익대학교 등이 미술과를 개설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부터 시작된 대학교육의 보편화와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디자인학과와 학생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데 1985년에 비해 2002년 기준 디자인관련 졸업생은 500%라는 놀라운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발생된 디자인 고등 교육의 양적 팽창은 교육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기능기술 교육의 한계 등 다양한 문제점 또한 발생시켰다 (Lee st al., 2007).
학사학위 졸업자 수의 증가로 예전과 같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자 상위 과정인 대학원으로의 진학이 늘어나면서 디자인 관련 석사학위과정도 증가하게 되었다. 1997년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살펴보면 디자인관련 66개 대학원의 145개의 학과가 존재하였으며 1998년도 대학원 석사학위 졸업생은 218명으로 집계되어있다. 2017년 현재, 디자인 관련 석사학위 과정을 보유한 대학교의 수는 141개이며 대학원의 디자인학과의 수는 247개에 달하고 석사학위 졸업생의 수는 1,261명이다(Korea Design Statistical Date, 1998, 2017). 그림 2에서 보이듯 대학원의 수는 2배 이상, 석사 졸업생의 수는 거의 6배에 달하는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 지역만 보면 2015년 기준 디자인 및 공예학 분야가 있는 대학교의 수는 25개인데 대학원은 45개나 존재하며 석사학위 과정 재학생 수만 3,561명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2개 이상의 대학원을 보유한 대학교의 수는 14개이며 3개 이상의 대학원을 보유한 대학교도 4개나 있다(Seoul Design Survey, 2016).
조금 더 범위를 좁혀서 본 연구의 범위인 실내디자인관련 대학원 조사에서 보면 전국적으로는 32개 대학원이 있으며 그 가운데 3개 이상 대학원을 보유한 대학교의 수는 3개나 된다(Shim, 2014). 이처럼 각 대학교마다 규모와 특성과 관계없이 경쟁적으로 대학원을 설치하고 하나의 전공을 일반, 특수, 전문 등 여러 개의 대학원 과정에 두고 운영하면서 디자인 분야의 고학력화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문제는 급격하게 많이 설립된 대학원에 비해 진학률은 2000년대 초를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송창열 외 (Song et al., 2012)에 의하면 2008년 당시 8.1이었던 대학원 입시 경쟁률은 2011년 2.4%로 급격하게 하락하였고 그 추세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독특한 것은 직장인의 평생교육을 위해 설치된 특수대학원과 고급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경우 입시율은 0.7에서 2.1로 상승하여, 실무를 병행하면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현실과 순수 이론연구보다는 실무를 지향하는 사회의 변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학원의 다양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심은주(Shim, 2014)에 의하면 고급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디자인관련 전문석사학위 과정은 두 곳의 전문대학원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 석사학위 과정과 달리 실무 중심의 디자인 교육을 지향하고 있어서 그 근본 취지에는 적합하지만 취득 학점은 36학점과 52학점으로 상이해서 교과과정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석사학위의 교육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수준으로 요구되는 교원들의 교육활동이 학교에서 요구하는 기본 연구 활동의 요구 조건 등과의 상충되고 있는 문제점들도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전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천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전문대학원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별도의 규정과 행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Kim, 2017). 이는 교육학자인 보이어(Boyer, 1990)가 강조했었던 바와 같이 학문분야의 특성에 따라 전통적인 새로운 지식생산으로서의 연구 학문활동(Scholarship of Discovery) 이외에 이미 있는 지식들을 적용하는 적용의 학문활동(Scholarship of Application)과 가르치는 학문활동(Scholarship of Teaching)도 인정하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3.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제도와 특성
3. 1. 미국의 디자인분야 학위 명칭과 개념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위명칭의 기본개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미국 고등교육 학위 제도와 명칭은 규칙이 있는 일련의 이성적 활동을 지칭하는 그리스로마 시대의 ars에 기초를 두고 있다. 르네상스시대 이후 미술을 순수미술 즉 파인아트(fine art)라고 구분하였고 오늘 날에는 일반적으로 그냥 아트(art)라 통칭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국의 대학들은 인문사회계열을 Art로, 예술계열은 Fine Art로 구분하여 전통적인 ars의 개념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위 명칭을 보면 예술계열의 학사학위는 BFA(Bachelor of Fine Arts), 인문사회 계열의 학사학위는 BA(Bachelor of Arts) 그리고 자연계열의 경우는 BS(Bachelor of Science)로 되어있다.
김명수(Kim, 2003)에 의하면 미국의 예술과 디자인 관련학 교육인증원인 NASAD(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Art & Design)가 추천하고 있는 23개 미국 대학의 제품디자인학 졸업학위 유형을 살펴보면 BFA가 총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BS도 31%나 된다.
석사학위 명칭도 이와 같이 MA(Master of Arts), MS(Master of Science), MFA(Master of Fine Arts) 등으로 구분되어 있어 표면적으로 보면 학사학위 명칭과 유사하지만 내용면에서는 완전히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우선 미국의 대학원은 국내와 같이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 그리고 전문 대학원 등 대학원 단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대학원 안에 학위과정별로 분류되어 있다. 각 학위과정은 차별화된 로드맵으로 존재하고 있는데 국내의 일반대학원과 성격이 비슷한 연구를 위한 학술학위로는 대표적으로 MA과정 또는 MS과정이, 실천이론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석사학위는 MFA과정이 일반적이다.
3. 2. 전문석사학위의 개념과 특성
전문석사학위의 개념은 의학, 경영학, 법학 등과 같이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둔 실무능력이 중요시 되는 분야에서 도입하고 있는 교육제도인데 이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역사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전문학위는 영국 에딘버러대학(University of Edinburg)의 의과대학에서 시작되어 신학 그리고 공학 등의 분야로 확산되었다(Wikipedia, 2018). 이러한 영국의 전문학위의 개념은 1763년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의학과를 필두로 미국 전역에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대학원에서 학술학위(academic degree)와 차별화되는 고등직업학위(professional degree)로 발전된 전문석사학위과정은 경영, 보건, 컴퓨터, 공학, 건축, 교육 등의 분야에서 고급기술인력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주어지는 학위명칭도 학술학위와 구분되어 있으며 인증(accreditation)제도를 통해 교육의 질과 지속적인 발전을 강제하고 면허(licensing), 자격(certification), 등록(registration)의 관리를 받게 된다 (Park, 2011).
국내 전문학위 개념은 미국의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일반학사 후 진입하는 첫 번째 전문학위과정인 first-professional degree로서의 의학전문대학원이 국내에 2002년 시작되었다. 이후 출범한 법학전문대학원 또한 법학이 아닌 학부졸업자들이 전문대학원에서 실무를 위한 전문학위를 취득하는 시스템이다. 건축분야에서도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건축학 전문석사학위(M.Arch)제도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미국 예술과 디자인분야의 전문석사학위인 MFA는 실무중심의 교육과정(professional education)으로서 전문학사후과정인 PPD이고 전문분야에서 인정하는 최종 학위(terminal degree)라는 점에서는 위의 M.Arch제도와 유사하다. 이제는 실내디자인 분야의 사례들을 통해 보다 자세히 MFA 학위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3. 3. 미국 실내디자인 전문석사학위(MFA) 현황
실내디자인 분야의 석사학위 기본 개념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우선 입학 대상 특성에 따라 전공자를 위한 post-professional degree(이하 PPD)와 비전공자를 위한 first-professional degree(이하 FPD)로 구분된다. 그리고 교육 목표에 따라 박사학위로의 진학 가능성을 염두에 둔 학술학위와 고급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무학위로 다시 구분된다(Shim, 2014). 학술학위로는 2년 과정의 PPD인 MA(Master of Arts)나 MS(Master of Science)가 대표적이다 (Guerin, 2007). 그러나 경우에 따라 FPD로 운영되는 곳도 있으며 소속 대학원이나 학과의 특성에 따라 MSD(Master of Science in Design), MAID(Master of Arts in Interior Design) 등도 있다. 실무학위에는 3년 과정의 MFA(Master of Fine Arts)와 MIA(Master of Interior Architecture), MID(Master of Interior Design)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FPD로 운영되고 있는 MID나 MIA와 달리 다음에 구체적으로 소개할 전문석사학위인 MFA는 PPD이며 분야의 최종학위로 인정받고 있다. 물론 비전공자를 위한 MIA, MID가 실내디자인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인정하지만 학술학위에 비해 수학기간이 조금 길다고 Ph.D는 물론 MFA와 같은 최종학위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Rabaun, 2007. Guerin, 2007).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실내디자인학회(IDEC)에 발표된 가장 최근 업데이트된 2015년 ‘실내디자인 관련 대학원 프로그램 명단’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명단을 살펴보면 우선 대학원의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이 있는 대학교의 수는 캐나다의 몬트리올대학교(University of Montreal), 마니토바대학교(University of Manitoba)를 포함하여 총 66개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 잘 알려져 있는 파슨즈(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프랫(Pratt Institute) 또는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등 디자인 특성화 대학교도 13곳 포함되어 있었다. 박사학위과정은 총 15개 대학교로 Bard Graduate Center 한 곳만 제외하고 모두 주립의 종합대학교 특히 인간생태대학(College of Human Ecology), 인간환경과학대학(College of Human Environmental Sciences) 등 이학 석사(MS)학위과정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미국의 실내디자인관련 박사학위 과정의 수는 전체 석사학위 과정의 1/4에도 못 미치고 있으며 연구를 위한 학술 석사학위과정과 함께 있다. 이는 거의 모든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 과정을 동시에 두고 있는 국내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MFA학위를 수여하고 있는 곳은 총 25개 대학교로 나와 있다. 그러나 연구자가 각 학교의 홈페이지 확인 결과, The George Washington Univ.의 경우 일반적인 MFA와 달리 FPD MFA과정이라고 명시되어 있었고, Suffolk University의 경우 MAIA(Master of Arts in Interior Architecture)과정이었으며 Moore College of Arts & Design은 실내디자인관련 석사학위 과정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세 곳의 학교를 제외한 22개 MFA 학위과정의 명단은 표 1과 같다. 이 가운데 Branau Uni.은 온라인 과정이며 Central Oklahoma Uni., Georgia State Uni., Ohio State Uni. San Diego State Uni., Uni. of California(Davis), Uni. Georgia는 독립 학과(전공)가 아니라 디자인 전공 안의 집중 분야(concentration)로 보다 통합적이고 유연한 교육과정을 갖고 있었으며 Purdue University의 경우 자세한 교육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최종적으로 분석 범위는 표1에 회색 처리된 12 곳으로 선정되었다.
이 가운데 전문석사학위(MFA)와 일반석사학위(MA 또는 MS)과정을 둘 다 갖고 있는 곳은 Endicott College(U3), Florida State Uni.(U4), Iowa State Uni.(U6), Savannah College of Art & Design(A15), Uni. of Wisconsin-Madison(U21) 총 5곳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Florida State Uni.의 경우 60학점 3년 과정의 최종학위인 MFA, 32학점 2년 실무중심MS-Project track, 연구중심의 MS-Research track로 총 3가지 PPD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Iowa State Uni.의 경우는 60학점 3년 과정의 최종학위인 MFA(PPD), 34학점의 PPD MA과정 그리고 34학점 이전에 40시간 정도의 준비 과정을 별도로 이수해야 하는 FPD MA과정으로 나뉘어져 있다. Uni. of Wisconsin은 PPD의 MS, MFA 그리고 Ph.D 학위까지 두고 있는데 MFA의 경우 학교에서 요구하는 일정량의 사전 수업을 이수하고 심사를 조건으로 입학을 허가받을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대학원 안에서 세분화된 학위과정이 존재하고 있어서 지원자의 교육배경과 졸업 후 진로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문석사학위는 주로 예술 또는 디자인대학 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4학기(quarter system) 90학점으로 운영되는 Miami International School of Art and Design(A7)과 The Savannah College of Art & Design(A15)를 제외하고는 60-63학점을 이수해야하기에 총 수업 기간도 2.5년에서 3년 정도가 보편적이다. 그리고 학술석사학위와 마찬가지로 전문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졸업전시를 하는 한 곳(U20) 제외하고 논문(Thesis)은 필수이지만 이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논문을 진행하는 특징이 있었다.
4. 실내디자인 MFA 교육과정 커리큘럼 분석
4. 1. 교과목 분류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12개 곳 가운데 디자인 특성화 대학은 A01, 07, 08, 10, 11, 15 이며 주립 종합대학교는 U03, 04, 06, 16, 19, 21, 22으로 각 각 6곳씩이다.
우선, 전반적인 커리큘럼 구성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한국실내디자인학회에서 명시해 놓은 실내디자인기초, 디지털디자인, 실내디자인 역사, 실내디자인 이론, 실내 공간설계, 실내 구성요소, 실내디자인 기술, 환경심리 행태, 디자인 경영 그리고 디자인 실무의 10개의 항목과 석사학위 특성을 반영하는 논문과 자유 선택 항목 2개, 총 12개 항목들로 과목들을 정리한 결과는 표2와 같다.
전체 과목의 구성 비율을 보기 위해 학교와 관계없이 과목별로 학점을 합산한 결과, 우선 압도적으로 설계과목의 항목에 가장 많은 학점이 배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적은 U04의 8학점도 있으나 20학점이상을 설계과목으로 지정하고 있는 곳도 A07, 10, 15, U21, 22와 같이 5곳이나 있는데 그 외에는 주로 15-18학점정도를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설계과목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 전문석사학위의 기본 개념이자 학술 석사학위와의 가장 큰 차이점라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 이론 항목이 2번째인데 역사, 행태 그리고 논문학점까지 모두 포함 한다면 설계과목 못지않게 실천적 이론 또한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FA의 또 다른 특성은 12개 항목 가운데 6위에 있는 실무 항목이라 하겠다. 총 28학점 가운데 12학점은 교수법 관련된 수업들인데 2곳을 제외한 10개 학교에서 인턴이나 실무 수업이 학점으로 인정되고 있었다. 그 중 4곳인 U03, 04, 06, A07 에서는 교수법과 교육실습 과목이 지정되어 있었는데 디자인 전문가를 위한 과정이기도 하지만 디자인 교육자로서의 기본 자격이 주어지는 최종 학위로서의 MFA 특성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시켜 주는 부분이다.
전문석사학위 과정은 앞서 언급했듯이 학부 전공자들이 진학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에 도면 드로잉이나 표현기법 등의 과목들이 제공되는 경우가 별로 없는데 Uni. Virginia Common Wealth(U22)는 예외적으로 그래픽 관련 10학점이 배정되어 있어서 기초 항목의 총 학점이 높아졌다. 또한 선택과목도 Uni. North Carolina Greensboro(U19)에서 24학점이나 책정되어 있어서 순위를 높이고 있는데 대부분 다른 학교들은 선택과목의 비중이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전문석사학위과정이 수강학점이 많은 것뿐만 아니라 정해진 커리큘럼에 따라 일관성 있는 교육이 이뤄지고 있음 또한 알 수 있다.
이상으로 MFA과정의 커리큘럼 구성방식을 살펴보았다면 이제부터는 과목들을 역사, 이론, 행태 등을 중심으로 하는 전문지식(Knowledge)분야, 다양한 표현기법과 실무 등 실습을 동반하는 기술(Skills) 분야 그리고 이와 같은 모든 지식과 기술을 종합하여 적용하는 설계나 논문의 능력(Abilities)분야 즉, 고급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한 KSA로 구분하여 표3과 같이 정리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2. 지식(Knowledge)
가장 먼저 지식 분야를 살펴보면 비평, 문화학, 인간학 등과 같이 비판적 사고를 위한 지식, 그리고 친환경이나 보존과 재생 등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의 습득을 위한 과목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물론 조명, 색채, 재료, 가구 등 실내디자인 구성요소 및 시스템 관련 과목들도 있으나 모든 학교에서 다 개설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앞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PPD과정으로 일반적인 실내디자인 관련 과목보다 고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과목 구성의 특성이라 하겠다.
또한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통계 등의 연구방법론과 체계적으로 프로젝트와 설계논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공간분석 등 디자인 방법론들이 제공되고 있다. 종합대학교의 과정들은 대부분이 총 학점의 1/3 또는 1/2 정도인 20학점에서 30학점 정도가 지식분야의 수업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론을 중요시 하는 전통적인 대학원의 틀 안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디자인 특화 대학교의 경우 적게는 9학점에서부터 많게는 30학점까지 그 편차가 조금 더 크게 나타나고 있어서 학교나 학과의 특성에 따라 보다 자유로운 성향을 보였다.
4. 3. 기술(Skills)
기술 관련 교과목들은 디자이너로서의 표현 능력과 실무능력을 키우기 위해 실습을 동반하는 수업들이라 할 수 있다. 학부과정에서 이미 CAD나 BIM등은 기본 표현기술들을 배웠음을 전제로 하고 있기에 MFA 과정에서 표현능력과 관련된 수업들은 크게 강조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뉴욕실내디자인대학(A8)을 제외한 모든 디자인 특화 대학교들에서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digital fabrication)이나 모델링 수업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뉴욕실내디자인대학교의 교과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설계 과목들에 35학점, 총 이수학점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표현 능력의 과목들을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 능력으로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설계과목들 안에 융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교육자로서 지식 전달의 자세와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실습이나 방법도 U03, 04, 06, 그리고 A07에 개설되어 있어서 미국 전문석사학위과정의 특성 가운데 하나가 바로 기술 관련 교과목에 있기도 하다.
4. 4. 능력(Abilities)
전문가는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종합하여 수렴하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한데 MFA과정에서는 이러한 능력이 결국 설계 프로젝트와 논문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대상 학위과정 모두 설계과목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배정되어 있어서 앞서 언급된 교수법과 더불어 전문석사학위과정의 차별화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15-24학점 정도는 설계과목들로 배치되어 있으나 Miami International University of Art & Design (A7)과 New York School of Interior Design(A8),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A10)과 같은 디자인 특화대학교들의 설계과목 비중이 더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조사 대상 모든 학위 과정에서 논문은 학위취득을 위한 마지막 필수 요건으로 명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을 기초로 하는 설계 프로젝트 논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일반 학술논문과 차별화되고 있다.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 국내 디자인 석사학위 과정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론과 실무 모두가 중요한 디자인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미국의 전문석사학위 제도의 기본 개념과 커리큘럼을 고찰하였다. 12개 학교의 전문석사학위 교육과정의 교과목들을 과목내용에 따른 12개 항목 그리고 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KSA)에 따른 3개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대학원의 석사학위 과정은 지원대상의 교육배경과 학위의 교육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위 명칭과 그에 따른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학위과정들이 국내처럼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그리고 전문대학원으로 행정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 대학원 내에서 각기 다른 과정으로 존재하고 있어서 석사학위 과정 간은 물론 학사학위 과정과도 유연하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특히, 학위 명칭만 보더라도 어떠한 교육 특성을 갖고 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어서 지원자의 입장에서는 개인 성향이나 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선택권이 주어지고 교수 입장에서는 보다 명확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MFA로 알려진 전문석사학위는 전통적인 연구와 이론뿐만 아니라 전문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실무 분야도 중요한 디자인 분야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연구분야에서 최종학위가 박사학위(Ph.D)이듯 실무 분야에서의 최종학위로 인정받고 있기에 디자인 교육자로서의 기본 자격이 인정된다. 따라서 60학점 3년 정도의 교육기간이 요구되며, 논문은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전문석사학위제도는 디자인 고유분야의 특성을 잘 살리면서도 소모적인 고학력화를 지양하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대학원의 특성에 따라 커리큘럼 구성 방식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단순히 학점 수만 많은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전문석사학위의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제시되어 있었다. 실내디자인 분야의 교육과정을 보면 실무 중심의 석사학위답게 수렴의 능력을 중요시 하는 설계과목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지만 디자인비평, 재생디자인, 친환경디자인 등의 전문화된 지식관련 과목들 또한 중요시되고 있었다. 이는 학부에서 이미 기초적인 전공과목들을 배우고 진학한다는 개념 하에 교과과정이 편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전문가로서 지녀야 할 비판적 의식,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 나타나는 실무수업과 교수법 등을 통해 실무 전문가뿐만 아니라 디자인 교육자를 육성하기 위한 학위임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학위제도는 어느 한 분야 내에서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고 교육인증(accreditation), 자격(qualification), 그리고 면허(licence) 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미국의 고등교육 시스템과 교육부 중심의 국내 상황이 다름도 인정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디자인 분야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 대학원의 존재 이유는 무엇이고 교육목표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라 교육 과정은 구성해야 하는지, 즉 디자인 분야 석사학위의 정체성, 다양성 그리고 일관성 등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
Notes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Academy of Art University. Interior Architecture & Design Graduate Program.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www.academyart.edu/academics/interior-architecture/graduate.
- Boyer, E. L. (1990). Scholarship Reconsidered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Princeton, New Jersey).
- Florid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cfa.fsu.edu/iddomain/wp-content/uploads/sites/10/2015/10/MFA-Project_2015.pdf.
- Guerin, D. A. (2007). Defining graduate education in interior design. Journal of Interior Design, 33 (2), 11-14. [https://doi.org/10.1111/j.1939-1668.2007.tb00316.x]
- Interior Design Council. Retrieved March, 2018, from http://www.idec.org/files/IDEC_List_9_21_15-2.pdf.
- Iow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www.design.iastate.edu/wp-content/uploads/2016/11/MFA_Degree_Reqs_Worksheet.pdf.
- Kim, J. (2007). 한국의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변화에 대한 분석 [The Changes of the College Level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s, 20(3), 73-84.
- Kim, M. S. (2003). 미국대학의 디자인교육과정과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rriculum and Environment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the American University]. In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22-123.
- Kim, K. M.(2017). 디자인기술융합전문대학원 교육 성과와 과제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Education of A Specialized Design-Technology Convergence Graduate School]. In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6-7.
- Korea Design Statistics. (1998, 2017). Retrieved March, 2018, from designdb, http://www.designdb.com/index.html?menuno=788.
- Lee, B. J. (1998). 울름조형대학의 교육이념과 발전과정, [The Pedagogical Ideas and its Development in the Graduate School Ulm].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1(1), 21-32.
- Lee, S. J., Kim, J. W., Chu, W. J., Yoon, S. H., & Chae, S. Z.(2007).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대학 디자인 교육혁신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Design Education Re-engineering by Multi-disciplina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s, 20(3), 299-314.
- Miami International University of Art & Design. Interior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content.artinstitutes.edu/assets/documents/florida/catalog-miami-tampa-jacksonville.pdf.
- Minister of Education. (2016). 대학원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완화, [Relieving Regulation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Graduate Schools]. Retrieved January, 2018, from http://moe.korea.kr/gonews.
- New York School of Interior Design. Interior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www.nysid.edu/postprofessional-master-of-fine-arts-in-interior-design/.
- Park, Tae Jun et. al. (2011). 고등교육기관의 전문 학위제도 연구 [A Study on Professional Degree of Higher Edu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Park, Y. S. (2013). 대학원 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plan on Graduate Educatio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42, 447-518.
-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www.newschool.edu/parsons/mfa-interior-design/?show=program-curriculum.
- Pratt Institute, School of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www.pratt.edu/academics/school-of-design/graduate-school-of-design/interior-design-grad/interior-design-mfa/.
- Rabun, J. H. (2007). Defining Graduate Education in Interior Design. Journal of Interior Design, 33(2), 19-21. [https://doi.org/10.1111/j.1939-1668.2007.tb00318.x]
- Shim, E. J. (2014). 한국과 미국의 실내디자인학 대학원 현황과 학위제도 특성 [Interior Design Graduate Education System and Degrees in Korea and the U.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3(6) 133-141.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6.133]
- Song, C. Y., & et al. (2012). 대학원의 교육 연구 경쟁력 확보 방안.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Retrieved January, 2018, from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0201600012732.
- Song, H. Y. (2017).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바실리 칸딘스키의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Education Course of Bauhaus-focused on Wassily Kandinsky's integrated educa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2) 297-308.
- The Savannah College of Art & Design. Interior Design.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www.scad.edu/academics/programs/interior-design/degrees/mfa.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Greensboro.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Retrieved March, 2018, from https://iarc.uncg.edu/graduate/curriculum/.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School of Human Ecology.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s://sohe.wisc.edu/graduate-students/research-and-creative-scholarship/design-studies/mfa/.
-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School of Arts. Retrieved April, 2018, from http://bulletin.vcu.edu/graduate/school-arts/interior-design/design-mfa-concentration-interior-environments-postprofessional/#degreerequirementstext.
- Wikipedia. Retrieved March, 2018,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rofessional_degree.
- 2016 Seoul Design Survey. Seoul Design Foundation. Retrieved March, 2018, from http://www.seouldesign.or.kr/board/27/post/101682/detail?menuId=22&boardCateI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