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30, No. 4, pp.141-157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17
Received 04 Jul 2017 Revised 09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DOI: https://doi.org/10.15187/adr.2017.11.30.4.141

A Study on the Use of Dining Space in Apartment Househol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y Child's Age

ParkHwansung ; 박환성 ; ChoiKyungran ; 최경란
Department of Lifestyle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라이프스타일학과, 서울, 대한민국 Department of Lifestyle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라이프스타일학과, 서울, 대한민국
서울, 경기지역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자녀 연령별 식(食)공간 사용 실태조사

Correspondence to: Kyungran Choi ran@kookmin.ac.kr

Background This study surveyed how space and storage places in kitchens/dining areas were actually used in households with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larif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dining spaces by child's age group and obtain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space/furniture needed by households having children.

Methods Both the Actual Space Survey and the Actual Storage Survey were conducted with a floor plan that was produced to reflect the actually-measured apartment space, and i) the usage of space by age group was recorded and analyzed; and ii) the types,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orage in each household were examined and analyzed.

Results Based on the survey, the usage of dining space as well as relevant issues/needs in various households was checked by age group. Actual Space Survey revealed issues that frequently occur due to the structure of storage furniture and/or spatial organization. In Actual Storage Survey, the changing tendency in the amount of stored good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 storage locations by item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features of storage by child's age were clarified and relevant issues/demands were identified.

Conclusions Based on the survey, the usage of dining space as well as relevant issues/needs in various households was checked by age group. The Actual Space Survey revealed issues that frequently occur due to the structure of storage furniture and/or spatial organization. In the Actual Storage Survey, the changing tendency in the amount of stored good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 storage locations by item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features of storage by child's age were clarified and relevant issues/demands were identified.

초록

연구배경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지역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주방과 식당의 공간사용실태와 수납실태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여, 자녀의 연령대 별로 드러나는 식공간 특성을 규명하고, 연령대별 가정의 수요에 맞는 공간ㆍ가구디자인을 위해 활용 될 수 있는 기초 자료조사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아파트 사용실태를 정확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공간실측조사와 수납실측조사 2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아파트 공간 실측 평면도 제작을 통해 연령대별 공간 사용현황을 기록/분석하였고, 수납실태조사를 통해 각 가정 수납 물품의 종류와 위치 기록하여 연령대별로 보이는 수납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태조사 결과 연령대별 공간ㆍ수납의 관점에서 다양한 가정의 식공간 사용현황과 문제점, 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공간사용실태 조사를 통해 수납가구 구조와 공간구성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발견 하였다. 수납실태조사에서는 영아기, 유아기, 학동기에 따라 수납물품 보유량의 변화 경향과 물품별 수납위치 조사/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연령대별 수납실태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령대별로 보이는 문제점과 수요를 파악 할 수 있었다.

결론 식공간은 기능적으로 아파트 내에서 공간의 개념과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중요도가 커지면서 공간의 크기도 함께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실태조사 분석결과로 비추어 봤을 때 실제 식공간은 아직 그 변화와 거주자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자녀 연령대별 아파트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를 반영한 공간ㆍ가구ㆍ제품 디자인 등의 후속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Keywords:

Actual State Survey, Child's Age, Dining Space, Kitchen, Dining Area, Apartment Space, Storage, User Research, 실태조사, 자녀연령, 식(食)공간, 주방, 식당, 아파트 공간, 수납, 사용자 리서치

1.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주거공간은 의, 식, 주가 이루어지는 개인의 총체적인 생활의 장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 집단의 생활양식까지를 함께 보여준다. 또한 주거양식을 통해 사회의 전반에 걸친 생활 문화까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주거공간은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주거 공간 내에서 식(食)공간은 인간이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가족 간의 취미활동, 손님접대, 자녀학습의 장소 등 다양한 역할을 지닌 공간으로 가정 내에서의 역할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주거 공간이 다양한 거주자의 생활, 문화, 가치관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형성될 때, 식(食)공간 역시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생활수요와 일치되는 환경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계층의 거주자들이 보이는 특수한 생활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특성을 객관적이고 미시적으로 분석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1인 가구 증가와 출산율 감소경향에서 나타나는 사회문제 해소와 새로운 수요 파악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자녀를 둔 가정의 삶의 질 개선을 통해 위와 같은 사회적 문제해소와 수요를 충족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지역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을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현재 연령별 주방과 식당의 공간사용실태와 수납실태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조사 분석을 하고, 자녀 연령대별 특징과 현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정의 수요에 맞는 공간ㆍ가구디자인을 위해 활용 될 수 있는 기초 자료조사연구를 하고자 한다.

1. 2.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2016)에 따라 전체 거주 인구의 60%에 육박하고 있는 아파트로 조사 장소를 특정하고 그 중 43.7%의 비율에 해당하는 20~30 평형대로 표본을 한정하여 조사 하였다.자녀 연령대별 아파트 식공간 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공간사용실태 조사방법과 수납사용실태 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범위를 영아기(0~3세), 유아기(4~7세), 학동기(8세 이상)로 구분하여 해당 연령대의 자녀가 있는 서울ㆍ경기지역에 20~30평형대 아파트 거주자로 대상을 특정했다. 조사 된 표본은 156일간 총 25가구(영아기 7가구, 유아기 10가구, 학동기 8가구)를 조사완료 하였으나 여전히 표본의 수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연구의 유의미성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추후 지속적인 표본추가와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 자료의 유의미성을 확보해야할 필요가 있다.


2. 구체적인 연구방법

2. 1. 연구의 대상 및 표집

본 연구의 대상가구는 서울ㆍ경기지역에 위치한 자녀를 두고 있는 20~30평형대 아파트가구로 실태조사 참여 여부를 확인 후 동의한 가구들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공간은 주거 공간 안에서 식사관련 행위가 이루어지는 주방과 식당으로 공간을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의 집단 구분을 자녀의 연령대로 구분하였고, 자녀의 연령대를 유치원 입학 전후를 기점으로 영아기(0~3세)와 유아기(4~7세), 초등학교 취학 이후를 기점으로 학동기(8세 이상)로 나누어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정은 총 25가구로 영아기 7가구, 유아기 10가구, 학동기 8가구의 실태조사를 완료하였다. 자녀 연령대에 다른 조사 대상의 주거형태별 가구 수의 정보는 아래의 표(Table 1참조)와 같다.

Basic Information on Surveyed Households

2. 2. 실태조사 시기 및 방법

본 연구의 실태조사 시기는 2016년 02월 27일부터 2016년 07월 31일까지 총 156일간 이었다. 최종적으로 조사 완료된 가구는 총 25집으로 영아기 7집, 유아기 10집, 학동기 8집을 조사 완료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공간실측조사와 수납실측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 공간실측조사

공간실측조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 ① 연구대상의 아파트 평면을 기본으로 하여 줄자, 스마트줄자 등을 활용하여 각 공간의 실측크기를 세부적으로 기록하였다.
  • ② 각 공간의 공간사용실태를 사진으로 기록하고, 공간내의 가구의 세부 치수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아래(Figure 1참조)와 같이 표기하였다.
  • ③ 기록된 자료를 기반으로 실측도면을 작성하였다.
Figure 1

Actual Survey Photos of Apartment Space Taken by Smart Devices

(2) 수납실태조사

수납실태조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 ① 각 공간의 수납공간에 번호를 매긴 후 수납사용실태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록하였다.
  • ② 각 공간의 물품의 종류 및 보유량을 실측하여 기록하고 정리하였다.
  • ③ 수납실태는 ⓐ조리기구, ⓑ조리도구, ⓒ취식도구, ⓓ보관도구, ⓔ자녀용품, ⓕ기타 총 6개의 항목으로 물품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기록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Table 2참조).
  • ④ 수납물 보관위치는 선행 연구의 구분 방식을 활용(서월,2015)하여, 크게 주방공간과 식당 공간 두 개로 구분하였고, 세부항목으로 주방공간에서 조리대, 가열대, 싱크대, 상부수납장, 하부수납장의 5공간과, 식당 공간에서 식탁주변으로 총 6곳의 조사 위치를 구분하여 수납 물품을 분석하였다(Figure 2참조).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Items Stored in Kitchens/Dining Areas

Figure 2

Classification of Storage Area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Kitchen Furniture

실태조사 완료한 가정들의 경우 환기구, 가열대, 냉장고의 경우 연령대의 구분 없이 모든 가족이 공통된 수납 현황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위치별 수납물품 기록대상에서 배제하였고(환기구 : ⓕ기타 / 가열대 : ⓐ조리기구, ⓑ조리도구 / 냉장고 : ⓓ보관도구, ⓕ기타), 식당은 물품보유량 기록과 내용이 중복되어 수납위치분석에서 제외하였다.


3. 식(食)공간 사용실태

조사된 가구의 아파트 면적은 64~185m2로 다양한 크기의 평면을 보유 중이었고, 2BED 가정의 경우 총 9가구로 자녀의 연령별에 관계없이 64~80m2의 평형대로 나타났다. 3BED 가정은 총 16가구 중 1가정을 제외한 전 가정이 90m2이상의 평형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파트 평면 내에서 식공간은 다양한 아파트 크기와 평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10% 안팎의 점유비율(10% 안팎의 식공간 구성을 보이는 아파트 : 22가구, 11%를 초과하는 식공간 구성을 보이는 아파트 : 3가구)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아파트 식공간구성이 거주자 가정의 다양한 문화와 생활 특성, 수요에 따라 다양한 공간 점유율을 보이지 않고, 균일하게 구성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한 25가구의 아파트 평면도와 식 공간 비율 정보는 Figure3과 같다.

Figure 3

Actual State Survey by Child's Age: Actually-measured Apartment Floor Plans & Basic Apartment Information and Occupancy Ratio of Dining Space

3. 1. 연령대별 식 공간 사용현황

자녀의 연령별 식공간(영아기 가정 7가구, 유아기 10가구, 학동기 9가구)의 주방, 식당의 실측 정보와 주방, 식당의 세부 평면의 공간구역을 식당 및 주방의 형태와 배치에 따른 비교분석을 통하여 유형화 및 가구배치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아래의 그림(Figure 4참조)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Figure 4

Detailed Floor Plans of Kitchens and Dining Rooms in the Surveyed Apartments & Actual State Survey by Child's Age: Actually-measured Apartment Floor Plans

조사 가정들의 주방/식당의 면적은 식당의 크기와 연령대, 아파트 평면과 관계없이 0.8~2.4m2로 대부분 식탁이 놓인 자리가 식당 공간이었고, 주방은 식당과 달리 가정과 아파트 평면 크기에 따라 2.7~26.2m2 의 면적과 다양한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2BED에서 주방의 크기는 영아기 Case.4를 제외하고 6m2 이하의 주방 공간 크기 구성을 보였고, 3BED주거형태에서는 유아기 Case.5, Case.6을 제외하고 10m2 의 이하 주방 크기구성을 보였다.

3. 2. 연령대별 식 공간 사용현황 분석

(1) 연령대별 주방, 식당가구의 공간점유 현황

아래는 주방면적과 주방가구 점유면적을 기록한 표(Table 3참조)이다. 식당공간은 식탁가구가 비치된 자리가 식탁공간으로 사용되면서 공간의 크기가 일정하여 식탁가구와 식당공간의 점유면적 비교는 제외하였다.

The Areas of Kitchens and the Areas Occupied by Kitchen Furniture)

주방 수납가구의 크기가 3m2미만 11가구(44%), 3~4m2 9가구(36%), 4~10m2 4가구(16%), 10이상 1가구(4%)였고, 조사가정 전반으로 주방수납가구는 주방면적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Table 3참조).

수납 량 조사결과 조사가정 전반에서 평균 500~600여개의 수납물품을 식공간 내에 수납하고 있었다. 주방 수납가구의 크기분석결과 주방수납가구 3㎡ 미만의 경우에 나타나는 수납공간부족 현상은 수납물품이 둘 여유 공간이 마땅치 않아 마구 정리되지 않은 채로 식공간 내에 수납되어 수납문제로 식공간의 다른 기능을 이용하기 어려웠고, 3~4m2의 경우 수납공간 필요조건을 충족하나 여전히 몇몇 물품들이 조리대 위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기능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비교해 봤을 때, 4~10m2의 여유 면적을 지닌 공간이 가장 적정한 공간으로 조사되었고, 10m2이상의 주방공간을 가지고 있던 가정의 경우 주방공간에 주방에 비치되지 않아도 될 거실용품, 자녀 장난감들 까지도 수납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너무 넓은 주방공간은 창고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5참조). 수납가구와 공간의 크기가 수납 물품의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한 적정 여유 공간의 유무가 문제의 원인으로 파악된다.

Figure 5

Space Used by Kitchen Storage Furniture (by Size)

(1) 영아기

전반적으로 주방, 식당의 공간규모, 가구 배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대부분의 주방에서 주방가구의 크기가 작아 조리기구들이 제대로 수납될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었고, 영아기 가정의 특성 상 육아용 품 특히 젖병소독기가 비치될 공간이 고려되지 않았다. 식당공간도 식당공간이 아예 없거나(Case.3), 3인용 소형 테이블을 사용으로 식사 이외의 식사 활동이 어렵고(Case.1,6,7), 테이블은 있으나 식당과 주방이 마주보고 있도록 설계되지 않아 조리 활동 시 식당과 소통에 용이하지 않은 구조(Case.4,5)였다. (Table 4참조)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Infants

(2) 유아기

전반적으로 주방가구에 조리기구의 수납이 고려되지 않아 조리기구들 및 수납물품들이 조리대 위에 비치되어 조리공간이 부족하거나 사라지고 있었다. 식탁과 주방이 떨어져 있는 가정의 경우 조리공간을 남겨놓으나 식탁과 주방이 가까이 있는 가정은 식탁공간을 조리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Case.2). 대부분의 가정이 식탁을 벽에 붙여 벽에 붙어있는 공간을 수납공간 대신으로 사용하면서 식탁위의 공간이 수납공간화 되면서 더욱 협소해지고 있었다(Case.1,3,4,6,7,10). 식탁의 배치가 남는 공간에 움직임, 기능에 대한 고려 없이 배치되면서 통로를 막거나(Case.1), 소통하기 어려운 공간구조(Case4,6,7)를 보였다. 유아기 시기의 특성상 조리활동 중 자녀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하지만 실태조사 가정들의 주방 공간이 외진 곳에 위치하거나 벽을 바라보는 구조로, 조리 중 자녀의 안전을 확인하기 어려운 공간구조였다(Case.1,2,3,4,7,10). (Table 5참조)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3) 학동기

학동기 시기 가정의 공간실태조사 결과 많은 가정에서 조리대 공간에 여유를 두어(Case.3,4,5,6,7,8) 조리활동 중 가사협력이 가능한 공간구성을 보이지만, ‘ㄷ자형 주방구조’ 자체가 어려명이 들어가기 힘든 크기로 구성되거나(Case.3,8), 싱크대와 가열대의 위치가 인접(Case.6)하여 효율적인 가사협력이 어려운 구조를 보인다. 2인 이상이 함께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대 면적 확보 또는 조리대 분리 구성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주방 공간의 조리면적 확보와는 반대로 식당공간에 대한 고려는 여전히 미흡했다. 특히 Case.7의 경우 수납가구에 부착된 기능성 식탁을 식당공간으로 사용 중이었지만, 식탁의 크기가 협소하고, 수납가구에 조리기구의 배치로 식사와 동시에 조리 기구를 이용하기 어렵다(Table 6참조).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3. 3. 연령별 식(食)공간 사용실태 분석결과

유아기부터 학동기에 이르기까지 연령대별 공간사용 특성에 기인한 구조적 문제보다 전 연령대에서 공통적인 현상과 문제가 발견되었다. 수납가구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작았다. 조사 가정 중 4m2이하의 수납공간보유로 공간기능저하가 현상이 나타나는 가정이 조사가구의 80%(25가구 중 20가구)를 차지하고 있었다. 추후 공간 구성 계획 시 주방 수납가구의 크기를 적정 수납 크기인 4~10m2의 수납가구가 배치될 수 있는 여유를 가진 주방공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사된 가정들 사이에서 드러나는 특징적인 공간사용 현황, 문제와 이에 따른 변화요구들은 다음과 같다(Figure 6참조).

Figure 6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Space and Demand Analysis

1)주방 공간, 가구가 가정 수납물품의 필요보다 작아 수납 물품이 수납공간 밖으로 나오면서 조리대, 싱크대, 식탁 위 등 식 공간 내에서 다른 주요 기능 이용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주방수납물품의 필요만큼의 공간구성 및 제품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2) 많은 수의 가정의 식탁 자체가 매우 작아 간단한 식사 이외에 식당의 다양한 기능이 가정 내에서 일어나기 힘들었다. 식당의 기능 확장을 위해 식탁을 둔 곳이 식당이라는 실제 사용개념을 확장 시켜줄 수 있는 공간, 가구디자인이 필요하다. 3)주방가구의 수납구조가 정형화되어 다양한 크기와 기능을 가진 수납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힘들었다. 수납 가구의 구조를 유연화 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4) 조사 된 많은 가정의 가구에서 주방기구, 연령대별 자녀용 제품의 수납과 사용에 특화된 전용가구가 부재하여 조리공간과 식당공간 위에 수납되고 있었다. 추후 주방가구 디자인 시 자녀의 성장에 따라 주방가구 전반을 바꾸지 않아도 특정시기에 필요한 용도에 맞는 특수 수납가구, 주방 보조 가구 와 같은 디자인이 필요하다. 5)가족 공동공간에 주방이 자리 잡고 있지만 그 구조가 주방의 경우는 1인 중심적인 구성과 벽을 바라보는 구성, 집안의 외진 위치에 있어 조리 중 가사협력, 자녀의 안전 확인에 어려움이 많은 구조였다. 식공간의 공간 구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4. 식(食)공간 수납실태

4. 1. 연령대별 물품보유 현황 및 분석

(1) 연령대별 주방/식당 평균 물품보유 현황

식당의 물품수납은 대부분 기타 물품이 수납되고 있었다. 2Bed에서 식당의 기타물품은 자녀 연령대가 증가하면서 점점 증가했지만 3Bed가정은 반대로 보유량이 줄어들었다. 주방 수납물품의 기능별 평균 보유현황에서 주거형태에 따라 평균 물품보유량의 차이가 드러났다(Figure 7참조). 영아기 가정에서 물품 보유량은 조리기구와 조리도구가 3Bed 가정의 평균 보유량이 2Bed 가정보다 더 많았고, 보관도구와 자녀용품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취식도구, 기타는 주거형태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기 가정의 경우 조리기구와 자녀용품, 기타물품에 대한 3Bed 가정의 평균보유량이 2Bed 가정보다 많았고, 조리도구와 취식도구는 주거형태에 따른 물품 보유량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관도구의 경우 영아기와 마찬가지로 3Bed 가정이 2Bed 가정보다 보관도구를 적게 수납하고 있었다. 학동기 자녀를 둔 가정의 경우 조리도구와 보관도구를 2Bed보다 3Bed 가정에서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반대로 보관도구와 자녀용품은 3Bed 가정에서 적게 가지고 있었다. 조리기구와 취식도구, 기타는 주거형태에 따라 보유량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ure 7참조).

Figure 7

Goods Possessed by the Surveyed Households (by Function)

(2) 연령대별 수납물품보유 경향분석

조사가정물품 수납의 양은 2Bed/3Bed의 주거형태와 연령대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400~600개의 물품을 식공간 안에 수납하고 있었다. 총 보유량과는 반대로 가정 내의 수납물품보유량의 증가 감소 추세는 2Bed와 3Bed의 다른 주거형태와 자녀의 연령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Bed가구의 경우 조리기구, 취식도구가 영아기-학동기로 가면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조리도구의 경우 영아기-유아기로 넘어가는 시기 보유량이 증가 후 유아기와 학동기에서 보유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관도구와 기타물품의 경우 영아기-유아기시기 보유량이 감소했다가 유아기에서 학동기로 넘어가면서 보유량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분석되었다. 자녀용품의 경우 영아기-유아기시기로 넘어가면서 보유량이 감소 후 학동기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Bed 가정의 물품보유 경향은 조리도구와 취식도구가 자녀 성장 시기에 맞춰 점차 증가하는 하였고, 조리기구와 기타물품은 보유량의 증감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보관도구의 경우 영-유아기에서 보유량이 감소했다가 유-학동기로 접어들면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녀용품은 반대로 영-유아기에 보유량이 증가했다가 유-학동기시기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연령대와 주거형태별 물품수납경향 변화 추이에 따른 수요를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수납가구의 디자인연구가 필요하다(Figure 8참조).

Figure 8

Results of Analysis on the Amount of Storage (by the Child's Age)

4. 2. 연령대별 물품수납 위치 분석

(1) 영아기(0~3세)

영아기 가정은 대부분 사용하기 편한 조리대와 싱크대, 식탁 위 등에 자다양한 수납물품이 비치되어 있었다. 이는 자녀 육아가 가장 바쁜 시기로 조리대, 싱크대, 식탁 위와 같이 제품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아래의 사진을 통해 영아기 수납 특징을 확인 할 수 있다(Figure 9참조).

Figure 9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Infants

유아기, 학동기와 영아기를 비교해 봤을 때 전반적 물품의 기능별 보관이 가정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일률적으로 혼잡한 수납방식을 보였다(Table 10참조). 이는 유아기, 학동기에 비해 아직 다양한 종류의 기능과 크기를 가진 수납물품들을 보관하고 있지 않고 있는 점과, 보관도구나 기타물품들에 치우친 수납이 원인으로 분석된다(Table 7참조).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Infants (by Function)

수납물품의 주요 수납위치를 물품 보유량에 따라 주요 수납공간 분석한 결과 영아기 가정 조리기구: 하부수납장>조리대>상부수납장>가열대로 주로 사용하는 기구들은 하부수납장과 조리대에 집중분포 주로사용하지 않는 조리기구들은 상부수납장에 보관하는 경향을 보인다, 조리도구 : 하부수납장>조리대>싱크대> 상부수납장 순으로 부피가 큰 조리도구들은 하부수납장에 보관하며 크기가 작은 제품들은 조리대, 싱크대, 상부수납장에 보관하고 있었다. 취식도구: 상부수납장>싱크대>조리대> 하부수납장으로 보관되고 있었고, 대부분 상부수납장에 보관되고 있었으나 실제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취식도구들은 조리대와 싱크대 주변에 보관되고 있었다. 또한, 상부수납장에 수납되지 못한 물품은 하부수납장에 보관되고 있었다. 보관도구: 상부수납장>냉장고>하부수납장으로 대부분 상부수납장에 사용하지 않는 보관도구들이 수납, 상부수납장에 보관되지 못한 제품이 하부수납장, 사용 중인 물품들은 주로 냉장고에 보관되고 있었다. 자녀용품:싱크대>조리대>상부수납장>식탁 순으로 대부분 싱크대와 조리대에 수납되고 있었고, 부피가 큰 자녀용품은 상부수납장에 위치해 있었다. 기타:하부수납장>상부수납장>싱크대>조리대>식탁으로 상부와 하부수납장에는 주로 양념들과 일회용품, 가사용품들, 싱크대와 조리대 위에 청소용품, 식탁 위는 간식, 위생용품이 비치되고 있었다(Figure 10참조).

Figure 10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Infant

(2) 유아기(4~7세)

유아기 가정의 수납공간은 조사 연령대에서 가장 혼잡한 수납방식을 보였다. 아래의 사진을 통해 수납공간 구분에 따른 수납물품 규정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Figure 11참조).

Figure 11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수납위치 분석결과 가정별로 수납공간에 공통 수납되는 물품이 정해지지 않고 수납되고 있는 현상은 영ㆍ학동기 가정에 비해 유아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자녀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늘어나는 제품들과 기존수납공간 사용방식의 차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Table 8참조).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by Function)

수납물품의 주요 수납위치를 물품 수냡량에 따라 주요 수납공간 분석한 결과 유아기 가정 조리기구: 조리대>하부수납장>상부수납장> 가열대로 주로 사용하는 기구들은 영아기와 달리 조리대와 하부수납장에 집중분포 하였고 조리기구 보유가 늘어나면서 상부수납장에도 수납되었다. 조리도구와 취식도구, 기타물품들은 영아기 가정의 수납보관 장소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보관도구:상부수납장>하부수납장>냉장고>조리대>싱크대로 보관 장소가 영아기에 비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자녀용품:상부수납장>싱크대>조리대>하부수납장순으로 대부분 조리대와 싱크대 위에 자녀용품을 수납하던 영아기와 다르게 상부수납장에 자녀용품이 더 많이 수납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유아의 취식도구류 제품들의 수량이 늘어나면서 상부수납장의 취식도구들과 함께 자녀용품을 수납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Figure 12참조).

Figure 12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3) 학동기(8세 이상)

학동기 시기의 경우 계속되는 자녀의 성장으로 늘어나는 조리기구의 보관은 사용에 편리한 동선을 고려하지 않고 수납되었고, 조사 연령대 중에서 가장 많은 물품보유와 특히 부피가 큰 조리도구를 가장 많이 보유하여 수납물품이 구분된 수납공간을 초과하고 있었다. 이에 다양한 장소의 수납공간에 사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보관되고 있었다(Figure 13참조).

Figure 13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학동기 물품수납위치 분석결과 수납공간의 구분화가 명확하게 되고 있으나, 물품의 부피, 사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수납가구시스템의 부재와 물품 보유량이 수납가구에 용적량을 초과하여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수납공간에 물품들이 중복 보관되고 있었다(Table 9참조).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by Function)

수납물품의 주요 수납위치를 물품 보유량에 따라 주요 수납공간 분석한 결과 학동기 가정의 조리기구와 보관도구는 유아기와 같은 경향으로 수납되고 있었다,. 조리도구와 취식도구, 기타 물품은영ㆍ유ㆍ학동기 전 연령대에서 확연히 구분되는 연령별 수납장소의 이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자녀용품:상부수납장>싱크대 순으로 대부분의 자녀용품이 상부수납장에 수납되고 있었고, 소량의 자녀용품들이 싱크대에 보관되고 있었다. 자녀가 다 성장하면서 자녀용품 보유량과 이용률이 떨어지면서 남아있는 자녀용품이 상부수납장에 수납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Figure 14참조).

Figure 14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4) 연령대별 물품수납 위치분석 결과

가정별 수납 위치 분석결과(Figure 11참조), 물품별 수납의 규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납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 영아기 시기는 자녀육아에 가장 바쁜 시기로 빠르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 보관도구를 제외한 모든 수납물품이 조리대, 싱크대 위에 비치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조리대, 싱크대 공간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수납을 분산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이 필요하다. 2)유아기 시기는 자녀의 성장이 급격하게 빨라지며 다양한 음식조리 수요가 발생하는 시기로 조리기구, 조리도구 등 수납물품이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조사 연령대에서 가장 무분별한 수납방식을 보였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수납 장소의 명확한 규정을 통한 체계적인 수납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 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학동기 시기의 경우 수납공간의 구분화가 영ㆍ유아기에 비해 명확하게 수납 구분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계속되는 자녀의 성장으로 늘어나는 조리기구의 보관이 편리한 사용을 고려하지 않고 수납되어 보관 중이었다. 다양한 조리기구의 사용에 특화된 가구나 제품디자인 개발연구가 요구된다(Figure 15참조).

Figure 15

Results of Analysis on Storage Locations in the Dining Areas (by Child's Age)

수납물품의 주요 수납위치를 물품 보유량에 따라 주요 수납공간 분석한 결과, 조리도구와 취식도구, 기타 물품은영ㆍ유ㆍ학동기 전 연령대에서 확연히 구분되는 연령별 수납장소의 이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조리기구의 경우 영아기는 하부수납장 위주의 수납이 관찰되었고, 유아기와 학동기의 경우 조리대 위에 조리기구의 수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관도구의 경우 영아기는 상부수납장과 냉장고에 수납이 이루어지지만 유ㆍ학동기로 넘어오면서 하부수납장에도 보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자녀용품은 연령대별로 다른 수납경향을 보이는데 영아기 싱크대와 조리대 위주의 수납에서 유아기 상부수납장과 싱크대, 조리대를 전부 활용하다가 학동기로 넘어오면서 대부분 상부수납장에 수납되는 경향을 분석 할 수 있었다. 이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수납장소 별 물품 보유량을 기준으로 주요 6가지 물품군의 수납장소를 특정 할 수 있었고, 이를 적용한 공통수납과 연령대별 특성을 적용한 유동적인 가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Figure 16참조).

Figure 16

Storage Areas of 6 Main Item Groups- Based on the Amount of Stored Items in Each Area


5. 결론

본 연구는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는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디자인을 위한 선행연구로 그들의 생활 실태를 미시적으로 조사/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를 둔 서울ㆍ경기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식(食)공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대별로 공간사용실태와 수납실태를 파악하였다. 공간 실태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공간사용현황을 파악 할 수 있었고, 수납실태조사를 통해 각 연령별 수납특징을 구분 할 수 있었다. 공간사용실태 조사를 통해 나타나는 식공간의 전반적인 현상으로 공간 자체가 협소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제한이 따랐고, 정형화된 수납가구 구조와 공간구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수납실태조사에서는 영아기, 유아기, 학동기에 따라 수납물품 보유량의 연령대별 변화 경향과 수납물품의 기능에 따른 수납 장소분석결과를 통해 연령대별로 수납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의 두 가지 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를 통해 현재 식공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경향과 문제, 원인들을 특정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김가영 외, 2015)에서 식공간은 기능적으로 아파트 내에서 공간의 개념과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중요도가 커지면서 공간의 크기도 함께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태조사 분석결과로 비추어 봤을 때 실제 식공간은 아직 그 변화와 거주자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추후 거주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한국 아파트의 균일한 공간, 가구구성 연구는 조사 표본의 지속적인 추가를 통한 표본의 유의미성 확보하면서 진행하고자하고, 주방공간에서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주방공간과 수납가구를 분류하거나, 동영상 촬영을 통한 주방공간에서의 사용자 수납행동분석등과 같은 다양한 연구방법을 추가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자녀 연령대별 아파트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를 반영한 공간ㆍ가구ㆍ제품 디자인 등의 후속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Notes

Citation : Park, H. (2017). A Study on the Use of Dining Space in Apartment Househol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y Child's Ag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0(4), 141-157.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o.2010-22B20130012671).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10-22B20130012671).

References

  • Park. J (2009). 일상과 음식[Daily life and food]. Seoul : Hanul Publishing Group.
  • Kim, J., Lee, J., Lee, J., Choi, E., & Han, J. (2009). 다문화시대의 식생활문화[Daily life and food]. Seoul : Baeksan Publishing Co.
  • MGHBooks (2014). 주방공간디자인[Kitchen space design]. Seoul : MGHBooks.
  • Choi, K., & Xu, Y. (2015). 현대 중국 식문화와 주방수납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Food Culture and Kitchen Storage Space]. In Korea Science & Art Forum, (pp. 407-414).
  • Kim, G., & Kim, J. (2015). 국내 브랜드 아파트 주방공간 변화 특성연구-2001년부터 2015년 까지 분양된 84 ㎡~102㎡ 아파트를 중심으로-[A Study on Kitchen Area Change of Domestic Apartment - Focused on 84㎡~102㎡ Condominium from 2001 to 2015-].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4(3), 104-112. [https://doi.org/10.14774/JKIID.2015.24.3.104]
  • Xu, Y. (2014). 中國 食文化에 따른 食行爲에 적합한 "中國型" 주방공간 개선방법에 대한 연구[The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Chinese-style" Kitchen Space Suitable for Chinese Diet Action]. Kookmin University, Korea.
  • Kim. S. (2011). 식생활용품 수납실태에 따른 선반높이 모듈에 관한 연구[Design Guidelines for the Shelf of Kitchen Furniture Adopted Large-sized Apartments-Focused on Stored Type, Volume & Store Place of Stored Items at Cooking Area-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2), 3-5. [https://doi.org/10.6107/JKHA.2011.22.2.001]
  • KB Financial Group Inc. (2014). 아파트 시장 트렌드 변화 및 시사점[Changes in apartment market trends and implications]. Retrieved June, 2014, from https://www.kbfg.com/kbresearch/index.do?alias=report&viewFunc=default_details&categoryId=1&subCtgId=&menuId=&boardId=&rBoardId=103&articleId=1002744&sTxt=&sType=&pageNo=6.
  • Kim, G., Kim, S., & Kwon, M. (2009). 40평형 아파트 식생활용품 수납실태에 따른 부엌가구 디자인-2001년부터 2015년 까지 분양된 84㎡~102㎡ 아파트를 중심으로[A Study on Kitchen Area Change of Domestic Apartment-Focused on 84㎡~102㎡ condominium from 2001 to 2015].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05-307.
  • Statistics Korea. (2016). 2016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6<Registered Census Method Results>] . Statistics Korea, Korea.

Figure 1

Figure 1
Actual Survey Photos of Apartment Space Taken by Smart Devices

Figure 2

Figure 2
Classification of Storage Area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Kitchen Furniture

Figure 3

Figure 3
Actual State Survey by Child's Age: Actually-measured Apartment Floor Plans & Basic Apartment Information and Occupancy Ratio of Dining Space

Figure 4

Figure 4
Detailed Floor Plans of Kitchens and Dining Rooms in the Surveyed Apartments & Actual State Survey by Child's Age: Actually-measured Apartment Floor Plans

Figure 5

Figure 5
Space Used by Kitchen Storage Furniture (by Size)

Figure 6

Figure 6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Space and Demand Analysis

Figure 7

Figure 7
Goods Possessed by the Surveyed Households (by Function)

Figure 8

Figure 8
Results of Analysis on the Amount of Storage (by the Child's Age)

Figure 9

Figure 9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Infants

Figure 10

Figure 10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Infant

Figure 11

Figure 11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Figure 12

Figure 12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Figure 13

Figure 13
Storage Status of Goods in the Dining Space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Figure 14

Figure 14
Main Storage Areas by Item- Based on the Storage Amount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Figure 15

Figure 15
Results of Analysis on Storage Locations in the Dining Areas (by Child's Age)

Figure 16

Figure 16
Storage Areas of 6 Main Item Groups- Based on the Amount of Stored Items in Each Area

Table 1

Basic Information on Surveyed Households

자녀나이 영아기(0~3세) 유아기(4~7세) 학동기(8세 이상)
주거형태 2(bed) 3(bed) 2(bed) 3(bed) 2(bed) 3(bed)
가구 수 4 3 3 7 2 6

Table 2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Items Stored in Kitchens/Dining Areas

분류 물품
ⓐ조리기구 오븐, 가스레인지, 전기밥솥, 전기 포트, 믹서기, 빙수기,커피머신, 토스트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
ⓑ조리도구 칼, 가위, 집게, 냄비, 도마, 후라이팬, 내열장갑, 국자, 베이킹틀, 주걱, 뒤집개, 스탠볼, 계량컵 등
ⓒ취식도구 수저, 젓가락, 나이프, 그릇, 접시, 컵 등
ⓓ보관도구 타파통, 보온병, 도시락 통, 물병 등
ⓔ자녀용품 젖병, 젖병소독기, 유아용 수저, 포크, 나이프, 젓가락, 그릇, 식판 등
ⓕ기타 요리책, 탈수기, 정수기, 가습기, 각종 양념, 식료품, 가사/청소용품(행주, 수세미, 솔, 세제 등), 일회 용품(종이컵, 빨대, 호일, 랩 등), 인스턴트식품 등

Table 3

The Areas of Kitchens and the Areas Occupied by Kitchen Furniture)

가구정보 가구번호
1 2 3 4 5 6 7 8 9 10
영아기 주거형태 2bed 3bed
주방면적m2 4.9 3.9 5.8 12 7.1 3.4 5.9
주방가구m2 2.1 1.4 3.3 7.5 3.3 1.4 3
유아기 주거형태 2bed 3bed
주방면적m2 2.7 3.3 5 8.7 26.2 11.1 9.7 5.3 7.5 7.5
주방가구m2 1.9 2.5 2.8 5.5 15.3 5.9 3.1 2.4 2.9 3.3
학동기 주거형태 2bes 3bed
주방면적m2 5.1 3.3 4.8 7.6 7.9 8.2 7.2 6.6
주방가구m2 2 1.7 2.8 3.4 3.5 4 3.4 3.1

Table 4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Infants

가구 공간 현황 문제점
Case.1
Case.6
주방 좁은 주방 공간, 가구 조리기구가 비치 될 여유 부재
식당 작은 식탁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Case.2 공통 작은 주방규모, 식탁+주방구조 식탁 위 물품수납으로 식탁 축소
Case.3 주방 작은 주방규모, 협소한 조리대 조리대위정수기비치조리공간부재
Case.4
Case.5
주방 주방,식당의 마주보지 않은 구조 조리 중 다른공간과 소통 어려움
Case.7 주방 주방,식당의 마주보지 않은 구조 조리 중 다른공간과 소통 어려움
식당 주방 안에 식당구성 어수선한 주변환경 가족대화, 손님접대 어려움

Table 5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가구 공간 현황 문제점
Case.1 주방 좁은 주방 공간, 가구 조리기구가 비치 될 여유 부재
식당 냉장고와 주방 사이 통로 식탁배치 공간 이용에 불편함 유발
Case.2 공통 조리대 위에 조리기구 비치 조리 공간 부재로 식탁의 조리공간화
Case.3 주방 주방이 외진공간에 위치
식탁과 냉장고가 주방통로에 배치
조리 중 가사협력과 소통 어려움
Case.4 주방 주방이 외진공간에 위치 조리 중 자녀의 안전 확인 어려움
식당 작은 식탁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Case.5 주방 넓은 주방공간에 한정된 조리 공간 주방 공간의 수납공간화
식당 식탁 하나만이 식당 공간으로 구성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Case.6
Case.7
공통 주방과 식당이 마주보지 않은 구조 조리 중 식당과 소통 어려움
식탁 하나만이 식당 공간으로 구성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Case.8
Case.10
주방 주방가구의 조리기구 수납 구조 부재 조리기구의 비효율적 수납
Case.9 주방 1인을 위한 조리 공간구조 가사협력이 이루어지기 어려움
식당 작은 식탁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Table 6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Use of Kitchens/Dining Rooms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가구 공간 현황 문제점
Case.1
Case.6
주방 주방가구의 조리기구 수납에 대한 구조 부재 조리기구의 비효율적 수납
식당 통로에 위치한 식당 공간 식사 이외의 기능 활용 어려움
Case.2 공통 작은 주방, 식당 공간과 가구 비효율적인 물품수납
Case.3
Case.8
주방 1인을 위한 효율적인 조리 공간구조 가사협력 어려움
Case.4
Case.5
공통 주방과 식당이 마주보고 있지 않은 공간구조 조리 중 다른공간과 소통 어려움
Case.6 주방 넓은 조리공간에 비해 인접한 싱크대와 가열대 조리 중 가사협력 어려움
식당 냉장고와 인접한 식당 위치 소음으로 식사 자녀학습 어려움
Case.7 주방 주방 수납가구 하단의 한쪽 에 매우 좁은 수납 구조 비효율적 수납으로 공간부족
식당 수납 가구에 부착 된 작은 식탁사용
전기밥솥이 식탁 가구에 함께 비치
가족이 함께 식사하기 어려움

Table 7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Infants (by Function)

가구 상부수납장 하부수납장 조리대 싱크대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1
2
3
4
5
6
7

Table 8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by Function)

가구 상부수납장 하부수납장 조리대 싱크대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1 .
2
3
4
5
6
7
8
9
10

Table 9

Analysis Table of Storage Locations i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by Function)

가구 상부수납장 하부수납장 조리대 싱크대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공통 개별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