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33, No. 4, pp.159-173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0
Received 14 Jul 2020 Revised 07 Aug 2020 Accepted 27 Sep 2020
DOI: https://doi.org/10.15187/adr.2020.11.33.4.159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

Seahwa Won원세화YounJin Lee이윤진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Division of Design Business, Professor,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경기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전공, 교수, 수원, 대한민국 Graduate School of Culture, Information and Public Policy, Professor, Hongik University, Sejong, Korea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색채전공, 교수, 세종, 대한민국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Correspondence to: Seahwa Won cholbagi@nate.com

초록

연구배경 지방자치단체별로 간판색에 대한 규정이 다르거나 없는 것은 간판색 가이드라인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실험을 기반으로 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명확하고 통일된 간판색 가이드라인 제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집합건물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주목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해 간판색 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쌍대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71명의 실험 참여자가 30쌍의 자극물을 비교하였다. 30쌍의 자극물은 간판색 5종(빨강, 노랑, 파랑, 하양, 검정)과 건물 3종(벽돌, 석조, 커튼월)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결과 색채조화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대해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한 건물에 설치된 6개의 간판 중 간판색이 2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낮게 평가되었다.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대해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마다 다른 경향을 보였다. 벽돌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2색 이상 증가할 때 가독성이 낮아지는 반면 석조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2색 이상일 때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커튼월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1색일 때 가장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결론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간판색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의 두 측면을 고려했을 때 2색 이상의 사용을 지양하는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는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해 간판색 수가 미치는 영향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정확하고 통일된 간판색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해 실험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Background Different guidelines for signboard colors have been disseminated from local governments. This can cause confusion for readers who use the signboard color guideli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Methods A paired comparis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Seventy-one participants compared 30 pairs of stimuli, which consist of five colors of signboards (red, yellow, blue, white and black) and three types of building exteriors (brick, stone and curtain wall buildings).

Results Regarding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color harmony, the results presented similar trends across all three building exteriors. When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was two, the effect was rated as the most harmonious. When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was five, the effect was evaluated as the least harmonious. In regards with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legibility, the result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across building exteriors. In a brick building, when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was more than two colors, the effect was rated as less legible. In a stone building, when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was more than two colors, the effect was rated as more legible. In a curtain wall building, when the number of signboards was one color, the effect was rated as the most legibl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two aspects of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of signboards, we concluded that using two or fewer signboard colors is more harmoniou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ignboards also read well.

Keywords:

Number of Signboard Colors, Color Harmony, Legibility, Color Guidelines of Signboards, Complex Building, 간판색 수, 색채조화, 가독성, 간판색 가이드라인, 집합건물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건축물 외벽에 조밀하게 설치된 상업 간판은 도시 환경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시각적 특징 중 하나이다(Won, Lee & Park, 2020). 간판은 상호명, 판매상품, 서비스, 매장위치 등의 정보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건축물과 어우러져 전체적인 도시미관에 영향을 미친다(Yoon & Jang, 2017). 또한 현대 소비자들은 특정 지역이나 업종과 연관지어 간판디자인을 기대하기도 하는데, 소비자 기대에 맞는 간판디자인은 매장 방문이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Baruk & Iwanicka, 2015; Yoon & Jang, 2017). 이와 같은 간판디자인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간판의 어떤 시각 요소들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간판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색채, 서체, 형태, 이미지, 레이아웃과 같은 시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Park, 2013).

간판의 시각 요소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지만 특히 간판색은 소비자의 인지적·감각적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도시경관을 결정하는 디자인 요소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Park, 2013). 하지만 간판색 선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상점들은 자신들의 간판이 돋보이도록 자극적인 고채도 원색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Park, Son, Choi, & Paik, 2019). 이러한 무분별한 간판색 사용은 도시미관을 저하시켜 시각적 공해를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Kim, Paik, & Lee, 2009). 이에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1990년대부터 간판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지방자치단체별 간판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여, 아름답고 정돈된 도시가로 경관 조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간판색 가이드라인은 지방자치단체별로 규정이 다르거나 없는 곳도 있어 가이드라인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별로 간판색 가이드라인이 다른 것은 현재의 가이드라인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정확하고 통일된 간판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간판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특정 지역의 간판 사진을 수집하고 간판디자인의 경향을 분석하는 사례조사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Lee, 2019; Lee, Choi, & Paik, 2019; Park, 2013; Park, Son, Choi, & Paik, 2019; Song & Park, 2011). 이러한 사례조사는 간판디자인에 사용된 색채나 서체와 같은 시각 요소들의 경향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지만, 실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간판에 대한 실험연구 범위는 크기, 색채, 조명 등 매우 광범위하며, 간판의 색채에 대한 연구만으로도 건물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단독건물일 경우, 간판색과 건물색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복수의 점포가 하나의 건물에 밀집된 집합건물일 경우, 점포 수만큼 증가 가능한 간판색 수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최근 실험을 기반으로 한 간판디자인 관련 연구는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건물색-간판색 조합의 영향을 조사하였다(Won, Lee, & Park, 2020). 하지만 이는 단독건물에서의 조건이었으며, 집합건물에 있어서의 간판색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하지만 간판이 설치되는 건물은 하나의 점포가 단독으로 구성된 단독건물뿐만 아니라, 한 건물이 복수의 점포들로 구성된 집합건물 또한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Figure 2. 참조). 이에 본 연구는 집합건물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와 정책 입안자와 같은 간판색 가이드라인 수용자에게 실험연구 기반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간판색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RQ1. 간판색 수가 색채조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RQ2. 간판색 수가 가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2. 연구의 범위와 절차

본 연구는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건물색은 3종(벽돌, 석조, 커튼월), 간판색은 5종(빨강, 노랑, 파랑, 하양, 검정), 건물의 종류는 집합건물로 한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간판색에 대한 선행연구 및 지방자치단체별 간판색 가이드라인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대한 연구 및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기술하고, 5장에서는 연구 결과 요약, 간판색 가이드라인에 대한 개선점, 연구의 한계점을 밝힌다.


2. 이론적 고찰

2. 1. 간판디자인의 시각요소

간판은 기관, 상점, 영업소에서 이름, 상품, 업종을 표기하여 보행자의 눈에 띄도록 걸거나 붙이는 표지라고 정의된다(Standard Korean Dictionary, 1999). 또한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2016)에 따르면 건물 벽면에 가로로 설치하는 간판은 건물 3층 이하의 벽면에 하나의 업소에서 하나의 간판만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간판의 종류는 크게 판류형과 문자형으로 나뉜다. 판류형 간판은 글자나 그림을 판에 표시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형태이며, 문자형 간판은 판이 아닌 글자나 로고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형태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간판은 색채, 타이포그래피, 형태, 그래픽, 레이아웃, 소재, 조명과 같은 7개의 시각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소에 대한 정의는 Table 1과 같다(Lee, 2019).

Definitions of the 7 visual elements of signboards(이미선, 2019, pp. 67)

2. 2. 간판색에 있어서 색채조화와 가독성

간판디자인의 시각 요소들은 상호작용하여 소비자의 생각, 감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간판색은 두 가지 측면(조화도, 가독성)에서 그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Park, 2013; Yoon & Jang, 2017; Won, Lee, & Park, 2020). 첫째, 조화로운 색이란 두 개 이상의 색이 배색되었을 때 기분 좋은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색 조합을 의미한다(Burchett, 2002). 초기 색채조화 이론에 의하면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배색했을 때 동일 색상(Moon & Spencer, 1944; Munsell, 1969; Ostwald, 1969), 보색(Moon & Spencer, 1944; Munsell, 1969; Itten, 1970), 유사색(Moon & Spencer, 1944), 동일 채도(Moon & Spencer, 1944; Munsell, 1969; Ostwald, 1969), 동일 명도(Munsell, 1969)일 때 조화롭다고 하였다. 반면 최근 색채조화 이론에 의하면 두 개의 색을 배색했을 때 모두 고명도이거나, 파랑 혹은 밝은 노랑이 함께 배색될 때 조화롭다고 판단되는 경향이 높으며, 빨강 혹은 어두운 노랑이 함께 배색될 때 조화롭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Ou & Luo, 2006).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동일 색상, 유사색, 명도차, 채도차가 특히 색채조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보색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고(Szabó, 2009), 평균명도가 높을수록, 명도차가 클수록, 색상차가 작을수록 조화롭게 판단된다고 하였다(Lee, Sung, Min, & Park, 2015). 종합적으로 색상의 측면에서는 보색보다는 유사색이 색채조화에 유리한데, 보색을 사용할 경우에는 파랑과 노랑과 같이 명도차가 큰 배색이 조화로우며, 색조의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고명도이면서 명도차가 크면 색채조화로 평가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가독성이란 얼마나 쉽게 읽을 수 있는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한다(Humar, Gradisar, Turk, & Erjavec, 2014). 가독성과 색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 연구들은 프린트된 배경색과 글자색에 대해 어떤 색 조합이 가독에 좋은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Humar, Gradisar, Turk, & Erjavec, 2014).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Figure 1과 같이 13개의 배경색-글자색 조합으로 가장 가독이 높은 조합부터 낮은 조합까지 순서대로 나열된 르 쿠리에 가독성 표(Le Courier Legibility Table)가 개발되었으며, 이 표에 의하면 노랑배경-검정글자가 가장 가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Hashim, Majid, & Mustafa, 2013). 하지만 기술 발전과 매체의 다양화로 초기 연구에서 도출된 프린트된 배경색-글자색 조합의 결과는 현대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그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최근 연구들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가독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가독성에 대한 최근 연구는 글자체, 글자색, 글자 수, 글자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고된다(Dobres, Chahine, & Reimer, 2017; Kong, Lee, Jung, & Song, 2011).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특히 명도차가 가독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명도차가 클수록 가독성이 좋게 평가된다고 하였다(Huang, Wei, & Ou, 2018; Saito, Saito, & Saito, 2008).

Figure 1

Le Courier Table of Legibility(Hashim, Majid, & Mustafa, 2013, pp.522)

간판에 있어서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실험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주로 사례조사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예를 들면 박암종(Park, 2013)은 인사동, 압구정, 홍대 지역의 간판 사진을 수집하여, 이미지 스케일과 비교하여 많이 사용된 색을 분석하였다. 박한나, 손정은, 최인규, 백진경(Park, Son, Choi, & Paik, 2019)은 김해시 동상동 종로길의 간판 사진을 수집하여, 많이 사용된 색을 표로 정리하였다. 반면, 최근 발표된 간판색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한 실험연구(Won, Lee, & Park, 2020)에서는 피험자 203명을 대상으로 54개의 건물색-간판색 조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물색으로는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 외관색이 사용되었으며 간판색으로는 54개의 문자형 간판색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간판색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건물외관색이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에서 간판색이 건물색보다 밝을 때와 흰색 간판을 사용할 경우 색채조화와 가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3. 지방자치단체별 간판색 가이드라인

1990년대 이후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무분별한 간판 설치 문제의 심각성에 주목하여 간판개선사업을 시행하고 국토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간판 크기, 색채, 재질, 조명 등에 대한 간판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있다(Lee, Choi, & Paik, 2019). Table 2는 24개 지방자치단체와 국토교통부에서 배포하고 있는 간판색 가이드라인을 요약한 것이다. 서울시 간판색 규정의 기본 방향은 고채도의 원색을 지양함과 동시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5개 권역(일반, 중점, 상업, 보전, 특화)으로 나누어 권장 색채가 표기되어 있다. 세종시 간판색 규정은 간판의 바탕색에 대해 채도 6 미만, 문자색에 대해 채도 10 미만으로 구체적인 수치로 표기되어 있다. 경기·대전·안산·경상북도·화성시의 경우 간판의 바탕색에 대해 흑색이나 적색을 50%만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구시와 담양군의 경우는 간판색 사용 개수에 대해 3색까지만 사용하도록 표기되어 있으며 전라남도는 형광색을 지양하도록 표기되어 있다. 전주시의 경우는 강조색 비율 10%로 표기되어 있으며 외에 국토교통부는 문자색 채도를 8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어 세종시와 문자색 채도 규정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또한 성남·청주·강원·경주·광주·충주·진주시·서울 강동구의 경우는 간판색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없다.

Color guidelines of signboard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정리하면 간판색 가이드라인은 지방자치단체별로 다르거나 별도의 규정이 없으며, 이는 간판색 가이드라인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국토부와 지방자치단체별 간판색 가이드라인이 다른 이유는 기존의 가이드라인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간판색에 대한 다각도의 실험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이드라인에 적용한다면 정확하고 통일된 가이드라인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3. 1. 실험 설계

본 연구는 기존의 간판색 가이드라인이 지방자치단체별로 달라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점에 대해 실험을 기반으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한 통일된 가이드라인 도출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집합건물에서의 간판은 다양한 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가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간판색 수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집합건물에 설치된 6개 간판에 대해 간판색 수가 달라질 때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실시하였다. 자세한 연구방법과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색 자극물

실험 참여자에게 총 30쌍의 자극물을 제시하고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해 쌍대비교를 하도록 요청하였다. Figure 2는 실험에서 사용된 자극물 레이아웃 예시이다. 자극물은 포토샵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건물 크기는 1210×810 픽셀, 간판의 글자크기는 215×30 픽셀로 제작되었다. 예를 들면 벽돌 건물의 경우 같은 건물에 6개의 같은 크기와 서체의 간판이 설치되어 있고 오직 다른 점은 간판색의 수이다. 자극물 1쌍이 Figure 2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며, 1번과 2번 중 상대적으로 더 조화롭고 더 잘 읽히는 것을 고르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30쌍의 자극물은 간판색 10쌍(1색vs2색, 1색vs3색, 1색vs4색, 1색vs5색, 2색vs3색, 2색vs4색, 2색vs5색, 3색 vs4색, 3색vs5색, 4색vs5색)과 건물 3종(벽돌, 석조, 커튼월)으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2

Examples of color stimuli used in this study

실험에 사용된 건물 3종은 도시 환경에서 최다빈도로 사용되는 건축 마감재인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로 선택하고, 각각 건물 사진 150개를 수집 후 색채를 분석하여 벽돌, 석조, 커튼월별 각각 대표이미지와 색을 선택하였다(Won, Lee, & Park, 2020). 또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정보전달 측면에서 판류형보다 문자형 간판 설치를 권장(Kim & Song, 2008)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문자형 간판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간판색 5종은 빨강, 노랑, 파랑, 하양, 검정이며, 이것은 선행연구에서 색채조화와 가독이 높게 평가된 색을 기준으로 선택되었다(Won, Lee, & Park, 2020). Table 3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간판색을 정리한 표이다.

Signboard colors used in this study

(2) 실험 참여자

실험 참여자는 정상 시각을 가진 55세 이하 남녀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령자(고령자고용촉진법에 의하면 55세 이상을 고령자로 규정)의 경우 일반군과 비교하였을 때 색채인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Lee, Sung, Min, & Park, 2015), 실험 참여자를 일반군으로 한정하였다. 피험자의 연령별 구성은 20대와 미만 10명, 30대 24명, 40대 26명, 50대 11명으로 남성 18명, 여성 53명이 참여하였다.

(3) 실험 절차

본 실험에 앞서 3명의 색채전공생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아 본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은 디스플레이상에 제시된 색 자극물을 평가하게 하였으며, 실험 참여자는 시야각 45° 방향, 디스플레이에서 약 50cm 떨어진 거리에서 평가에 참여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총 30쌍의 자극물을 각각 비교하여 색채조화와 가독성을 판단하였으며, 색 자극물 순서는 랜덤하게 제시되었고, 소요 시간은 대략 15분 정도였다.

3. 2. 분석 방법

분석 방법으로는 쌍대비교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래들리 테리 모형(Bradley-Terry model)이 사용되었다(Su & Zhou, 2006). 제시된 자극물들을 한 쌍씩 비교한 결과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순위를 매겼다. Table 4는 데이터 분석 절차의 한 예시로, 벽돌건물에서 색채조화에 대한 간판색 수에 대해 5단계의 분석 절차이다.

An example of analyzing data using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4. 결과

4. 1. 색채조화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

Figure 3은 간판색 수의 변화에 따른 색채조화 평가에 대한 결과이다.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에 설치된 6개 간판 중 간판색이 2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낮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건물마다 세부적인 순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벽돌 건물에서의 색채조화의 평균평가치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 간판색 2색(M=.59), 1색(M=.31), 3색(M=-.10), 4색(M=-.23), 5색(M=-.57) 순으로 나타났고, 석조 건물에서는 간판색 2색(M=.47), 3색(M=.04), 4색(M=.02), 1색(M=-.15), 5색(M=-.38) 순으로 나타났다. 커튼월 건물에서는 간판색 2색(M=.46), 3색(M=.04), 1색(M=.01), 4색(M=-.13), 5색(M=-.38) 순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3

Color harmony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Table 5는 벽돌, 석조, 커튼월별 색채조화가 높게 평가된 간판색 수에 대한 순위이다(평균평가치의 중성점인 0을 기준으로 상위순위인 1위~3위까지만 제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돌, 석조, 커튼월 모두 공통적으로 간판색 수가 2색일 때가 색채조화의 고평가가 확인되었다. 이는 전체적으로 간판색 수가 많아질수록 색채조화에 대한 평가는 낮아지며 건물색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 수는 2색이 최적이라고 확인되었다. 2색인 경우 모두 간판색에 노랑과 하양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Ou & Luo, 2006; Szabó, 2009)에서 언급된 색채조화의 평가기준인 색상 측면에서는 건물색과 유사색 관계이며, 보색인 경우는 커튼월의 파랑계열에 노랑 간판색의 조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색조 측면에서는, 노랑과 하양 간판색이 전체적으로 고명도를 형성한 것에서 색채조화가 높게 평가된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Ranking for the number of signboard in color harmony according to building exteriors

4. 2.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

Figure 4는 간판색 수의 변화에 따른 가독성 평가에 대한 결과이다. 한 건물에 설치된 6개 간판에 대해 간판색 수의 변화에 따른 가독성에 대한 판단은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마다 다른 경향을 보였다. 벽돌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2색(M=.53), 1색(M=.49), 3색(M=.08), 4색(M=-.37), 5색(M=-.66) 순으로 2색일 때 가장 가독이 높고 5색일 때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석조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3색(M=.30), 2색(M=.19), 5색(M=.18), 4색(M=.08), 1색(M=-.76) 순으로 3색일 때 가장 가독이 높고 1색일 때 가장 가독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커튼월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1색(M=.52), 4색(M=.03), 5색(M=-.17), 2색(M=-.18), 3색(M=-.21) 순으로 나타나 1색일 때 가장 가독이 높고 3색일 때 가장 가독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4

Legibility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Table 6은 벽돌, 석조, 커튼월별 가독성이 높게 평가된 간판색 수에 대한 순위이다(평균평가치의 중성점인 0을 기준으로 상위순위인 1위~3위까지만 제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독성은 색채조화와 달리 벽돌, 석조, 커튼월 모두 다른 간판색 수에서 가독성의 고평가가 확인되었고, 색채조화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간판색 수가 많아도 고평가를 얻었다. 벽돌의 경우는 2색의 평가가 가장 높았고, R계열의 저명도색이므로 선행연구(Hashim, Majid, & Mustafa, 2013)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R계열색이나 저명도의 배경에서는 하양이나 노랑 글자의 가독성이 높았던 것에서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석조의 경우는 3색의 평가가 가장 높았고, 벽돌 및 커튼월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명도의 무채색이므로 선행연구(Hashim, Majid, & Mustafa, 2013)에서 하양 배경에서의 다양한 색의 가독성이 높았던 것을 감안하면, 석조에서는 3색의 다양한 간판색이 혼재해도 가독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커튼월의 경우는 1색의 하양 글자에서의 평가가 가장 높았고, B계열의 색이므로 선행연구(Hashim, Majid, & Mustafa, 2013)에서 파랑 바탕에 하양 글자의 가독성만이 높았던 것에서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Ranking for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in legibility according to building exteriors

4. 3. 간판색 수가 색채조화 및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Table 7에는 건물별 색채조화 및 가독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간판색 수를 제시하였다. 건물별 색채조화 및 가독성의 평균평가치에 대한 평균의 최고치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벽돌과 석조는 간판색 수가 2색일 때, 커튼월은 1색일 때 색채조화와 가독성이 동시에 충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umber of signboard colors that satisfy both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5. 결론 및 고찰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집합건물에서 간판이 다양한 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가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간판색 수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집합건물에 설치된 6개 간판에 대해 간판색 수가 달라질 때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71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30쌍의 자극물에 대해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색채조화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대해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에서 근사(近似)한 경향을 보였다. 한 건물에 설치된 6개의 간판 중 간판색이 2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개일 경우 가장 색채조화가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집합건물에서 여러 개의 문자형 간판을 설치할 경우 간판색 수가 2색 이상 사용할 경우 조화롭다고 평가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가독성에 대한 간판색 수의 영향에 대해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마다 다른 경향을 보였다. 벽돌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2색 이상 증가할 때 가독성이 낮아지는 반면 석조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2색 이상일 때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커튼월 건물에서는 간판색 수가 1색일 때 가장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집합건물에서 여러 색의 문자형 간판을 설치할 경우 벽돌과 커튼월 건물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석조 건물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석조 건물에서 가독을 위해 여러 색의 간판을 사용하더라도 가독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앞서 살펴보았듯이 조화롭다고는 평가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색채조화 및 가독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간판색 수는 건물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벽돌 및 석조에서는 2색, 커튼월에서는 1색일 때가 최적이라고 확인되었다. 이는 색채조화와 가독성이 간판을 시각적으로 평가하는 다른 판단기준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충족될 수 있다는 점과 간판의 시각효과에서 어느 것에 우선시를 둘 수 없는 점이라는 것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간판색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의 두 측면을 고려했을 때 2색 이상의 사용을 지양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간판색에 대한 규정이 다르거나 없는 것은 간판색 가이드라인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실험을 기반으로 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명확하고 통일된 간판색 가이드라인 제작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집합건물에서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 대해 간판색 수가 미치는 영향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연구에서 사용된 건물 3종(벽돌, 석조, 커튼월)과 간판색 5종(빨강, 노랑, 파랑, 하양, 검정)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선택이었으므로 모든 벽돌, 석조, 커튼월 건물과 간판색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자극물의 간판 글자의 입체화를 위해 음영이 들어간 것이 색채조화나 가독성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간판색 수의 영향에 중점을 두었으나, 간판의 색채조화와 가독성에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간판디자인의 맥락에서 이러한 점을 감안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부설 한국옥외광고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affiliated with the Korea Local Finance Association.

Notes

Citation: Won, S., & Lee, Y. (2020).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on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3(4), 159-173.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Baruk, A. I., & Iwanicka, A. (2015). Polish final purchasers' expectations towards the features of dairy product packaging in the context of buying decisions. British Food Journal, 117(1), 178-194. [https://doi.org/10.1108/BFJ-06-2014-0188]
  • Hashim, A. A., Majid, M. A., & Mustafa, B. (2013). Legibility of web page on full high definition display. In Proceedings of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puter Science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pp. 521-524). [https://doi.org/10.1109/ACSAT.2013.108]
  • Huang, H. P., Wei, M., & Ou, L. C. (2018). Effect of text-background lightness combination on visual comfort for reading on a tablet display under different surround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44, 54-64.
  • Humar, I., Gradisar, M., Turk, T., & Erjavec, J. (2014). The impact of color combinations on the legibility of text presented on LCDs. Applied Ergonomics. 45, 1510-1517. [https://doi.org/10.1016/j.apergo.2014.04.013]
  • Itten J. (1970). The Elements of Color. From the German Edition "Kunst der Farbe" of 1961.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 Kim, H. J., Paik, J. K., & Lee, K. M. (2009). 간판 시각요소의 시각환경과 정보전달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A Satisfaction Survey on effect visu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 delivery of Visual Element of Signboar]. Korea Design Forum, 22, 309-320.
  • Burchett, K. E. (2002). Color harmony.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7(1), 28-31.
  • Dobres, J., Chahine, N., & Reimer, B. (2017). Effects of ambient illumination, contrast polarity, and letter size on text legibility under glance-like reading. Applied Ergonomics, 60, 68-73. [https://doi.org/10.1016/j.apergo.2016.11.001]
  • Kim, H. J., & Song, J. W. (2008). 상업 건축물에 부착된 옥외광고물의 형태에 따른 인지도에 관한 연구: 입체 문자형 간판과 판류형 간판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A Study on the Enhancement by Form of Signboard Recognition along Business Building -Focused on Types of Cubic Letter Signboard and Flat Signboard].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7(1), 27-34.
  • Kong, Y. K., Lee, I., Jung, M. C., & Song, Y. W. (2011). The effects of age, viewing distance, display type, font type, colour contrast and number of syllables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Ergonomics, 54(5), 453-465. [https://doi.org/10.1080/00140139.2011.568635]
  • Lee, H. N., Choi, I. K., & Paik, J. K. (2019). 거제시 장승포동 간판 개선 사업 디자인 및 색채계획 분석 [Analysis of the Advertising Sign Designs and Color Arrangements in the Geoje Jangseungpo-dong Cityscape Improvement Projec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8(3), 109-122. [https://doi.org/10.21195/jidr.2019.18.3.007]
  • Lee, M. S. (2019). 간판 바탕색으로서의 적색류에 대한 색채인식 연구 [Research on Color Perception of Shades of Red as Background Colors of Sign Board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33(2), 65-74. [https://doi.org/10.17289/jkscs.33.2.201905.65]
  • Lee, Y. W. (2019). 전통시장의 간판정비 사업에 있어 심미성의 조절효과 [An Empirical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esthetics on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in Traditional Markets].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2(2), 200-208. [https://doi.org/10.35280/KOTPM.2019.22.2.21]
  • Lee, Y. J., Sung, J. H., Min H. S., & Park, Y. K. (2015). 스마트폰 색채에 따른 시니어의 가독 특성[Senior Readability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Based on Colo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9(1), 82-92.
  • Moon, P., & Spencer, D. E. (1944). Geometric formulation of classical color harmony.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34(1), 46-59. [https://doi.org/10.1364/JOSA.34.000046]
  • Munsell, A. H. (1969). A Grammar of Color. (Birren, F. Ed.). New York, NY: Van Nostrand Reinhold. (Original work Published 1921).
  • Ostwald, W. (1969). The Color Primer. (Birren, F. Ed.). New York, NY: Van Nostrand Reinhold. (Original work Published 1916).
  • Ou, L. C., & Luo, M. R. (2006). A colour harmony model for two-colour combination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1(3), 191-204.
  • Park, A. J. (2013). 도시 간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 - 인사동, 압구정, 홍대 지역 간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design shown in the city signs: Focus on Insa-dong, Apgujeong, Hongdae area Sign]. Korea Science & Art Forum, 14, 179-191. [https://doi.org/10.17548/ksaf.2013.12.14.179]
  • Park, H. N., Son, J. E., Choi, I. K., & Paik, J. K. (2019). 간판개선사업을 위한 업종별 복합 색채 분석 연구 - 김해시 동상동 종로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lex Color Analysis by Industry for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 Focused on the Jongno-gil, Dongsang-dong, Gimhae-si].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4), 149-159. [https://doi.org/10.17548/ksaf.2019.09.30.149]
  •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Act on th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Etc. And Promo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Industry]. (2016. July).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
  • Saito, D., Saito, K., & Saito, M. (2008). Legibility Evaluation Using Point-of-Regard Measurement. Electrical Engineering in Japan, 162(4), 35-42.
  • Song, M. J., & Park, U. H. (2011). 서울시 간판개선사업 후 간판디자인의 문제점 분석 [An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Sign after the Execution of the Improvement Project for the Sign in Seoul].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9(1), 212-222.
  • Standard Korean Dictionary (1999. Octobe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from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 Su, Y., & Zhou, M. (2006). On a connection between the Bradley-Terry model and the Coxproportional hazards model. Statistics & Probability Letters, 76, 698-702. [https://doi.org/10.1016/j.spl.2005.10.001]
  • Szabó, F., Bodrogi, P., & Schanda, J. (2010). Experimental modeling of colour harmony.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5(1), 34-49.
  • Won, S., Lee, Y. J., & Park, Y. K. (2020). The impact of signboard-building color combinations on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45, 527-541. [https://doi.org/10.1002/col.22480]
  • Yoon, S. Y., & Jang, M. K. (2017). Creation of visual culture in Seoul business signboards: The Seoul good sign contest, 2009-2013. The Design Journal, 20(2), 199-217. [https://doi.org/10.1080/14606925.2016.1242927]

Figure 1

Figure 1
Le Courier Table of Legibility(Hashim, Majid, & Mustafa, 2013, pp.522)

Figure 2

Figure 2
Examples of color stimuli used in this study

Figure 3

Figure 3
Color harmony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Figure 4

Figure 4
Legibility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Table 1

Definitions of the 7 visual elements of signboards(이미선, 2019, pp. 67)

시각요소 정의
색채 간판의 바탕면, 문자, 그림 등에 사용되는 색깔 또는 빛깔
타이포그래피 업종명, 판매상품, 전화번호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글씨. 또는 글씨의 형태나 생김새
형태 전체적인 형상이나 모양
그래픽 업종 및 점포의 특성, 고지내용 등을 함축성 있게 표현하는 그림이나 상징
레이아웃 문자, 그래픽 등의 구성요소를 일정한 공간 안에 효과적으로 배열하는 일이나 기술
소재 간판에 사용되는 재료 또는 원료
조명 간판의 내용을 비춰주거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빛이나 등기구

Table 2

Color guidelines of signboard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 간판색 규정 권장색채 출처
서울시 · 고채도의 원색 지양 · 일반권역: 부드럽고 따뜻한 색채
· 중점권역: 경쾌하고 활력 있는 색채
· 상업권역: 활기차고 다채로운 색채
· 보전권역: 우아하고 고상한 색채
· 특화권역: 다채롭고 활기찬 색채
각 지방자체
단체 홈페이지
강남구 · 업소의 특성을 반영하는 색채 사용
· 건축물과 주변 환경에 조화롭게 사용
· 고채도의 원색은 강조시킬 부분에만 사용 권장
세종시 · 광고물 바탕색의 범위: 채도 6 미만
· 문자색의 범위: 채도 10 미만
· 규정 없음
경기도 · 바탕색: 흑색 · 적색 50% 이내
· 원색 지양
인천광역시 · 원색계열 색상 과다사용 금지
· 4종류 이하 색채 사용
· 건물과 주변의 조화를 이루도록 함
대구시 · 고채도의 원색 금지
· 3색 이내
· 명도: 먼셀범위 4-8 이하
· 채도: 먼셀범위 3 이하
춘천시 · 고채도 원색 금지
· 3개 이내의 색 권장
대전광역시 · 바탕색: 흑색 · 적색 50% 이내
안산시
경상북도
화성시
전라남도 · 고채도 원색 금지
· 형광도료, 야광도료 지양
담양군 · 고채도의 원색 지양
· 보색 사용 지양
· 3색 이하 사용(단, 전용 패턴, 사진, 심볼 제외)
전주시 · 강조색 비율 10% 이내
양주시 · 벽면이용간판(가로형 일반): 채도 10 이하, 명도 3 이상
· 벽면이용간판(건물상단): 양주시 간판 주조색에서
선정. 채도 9 이하, 명도 4 이상
· 돌출간판(일반): 채도 10 이하, 명도 3 이상
· 지주이용간판: 양주시 간판 주조색에서 선정.
채도 9 이하, 명도 4 이상
· 연립지주이용간판: 녹색, 청색 등 표지판과 혼동의
소지가 있는 색상 금지
제주시 · 벽면이용간판(가로형 일반): 흑색류 1/2 이내
성남시 · 규정 없음
청주시
강원도
경주시
광주광역시
충주시
진주시
서울강동구
국토교통부 · 바탕색: 채도 6 이하
· 표시내용: 채도 8 이하
· 지주이용간판: 지주 저채도

Table 3

Signboard colors used in this study

간판색 정의 먼셀기호 sRGB L*a*b*
빨강 5R 4/14 187/24/51 40.38/61.45/29.49
노랑 5Y 8/14 237/196/0 80.40/-1.31/97.94
파랑 5B 4/10 0/112/153 41.02/-28.82/-34.51
하양 N9.5 255/255/255 100.00/0.01/-0.01
검정 N0.5 0/0/0 0.00/0.00/0.00

Table 4

An example of analyzing data using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Step 1: Frequency matrix
1색 2색 3색 4색 5색
1색 - 37 26 23 23
2색 34 - 16 17 16
3색 45 55 - 27 24
4색 48 54 44 - 20
5색 48 55 47 51 -
Step 2: Proportion matrix
1색 2색 3색 4색 5색
1색 - 0.521 0.366 0.324 0.324
2색 0.479 - 0.225 0.239 0.225
3색 0.634 0.775 - 0.380 0.338
4색 0.676 0.761 0.620 - 0.282
5색 0.676 0.775 0.662 0.718 -
Step 3: Logistic matrix
1색 2색 3색 4색 5색
1색 - 0.083 -0.541 -0.725 -0.725
2색 -0.083 - -1.213 -1.136 -1.213
3색 0.541 1.213 - -0.481 -0.662
4색 0.725 1.136 0.481 - -0.921
5색 0.725 1.213 0.662 0.921 -
Step 4: Z-score matrix
1색 2색 3색 4색 5색
1색 - 0.054 -0.348 -0.466 -0.466
2색 -0.054 - -0.781 -0.731 -0.781
3색 0.348 0.781 - -0.310 -0.426
4색 0.466 0.731 0.310 - -0.593
5색 0.466 0.781 0.426 0.593 -
Step 5: Final results
1색 2색 3색 4색 5색
평균 0.3067 0.587 -0.098 -0.229 -0.566
순위 2 1 3 4 5

Table 5

Ranking for the number of signboard in color harmony according to building exteriors

건물 건물별 색채조화 순위
1위 2위 3위
벽돌
2색 (M=.59) 1색 (M=.31) 3색 (M=-.10)
석조
2색 (M=.47) 3색 (M=.04) 4색 (M=.02)
커튼월
2색 (M=.46) 3색 (M=.04) 1색 (M=.01)

Table 6

Ranking for the number of signboard colors in legibility according to building exteriors

건물 건물별 색채조화 순위
1위 2위 3위
벽돌
2색 (M=.53) 1색 (M=.49) 3색 (M=.08)
석조
3색 (M=.30) 2색 (M=.19) 5색 (M=.18)
커튼월
1색 (M=.52) 4색 (M=.03) 5색 (M=-.17)

Table 7

Number of signboard colors that satisfy both color harmony and legibility

간판색 수 벽돌 석조 커튼월
색채조화 가독성 M 색채조화 가독성 M 색채조화 가독성 M
1색 .31 .49 .40 -.15 -.76 -.45 .01 .52 .27
2색 .59 .53 .56 .47 .19 .33 .46 -.18 .14
3색 -.10 .08 -.01 .04 .30 .17 .04 -.21 -.08
4색 -.23 -.37 -.30 .02 .08 .05 -.13 .03 -.05
5색 -.57 -.66 -.61 -.38 .18 -.10 -.38 -.1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