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30, No. 2

Proposal of a Street Environment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rroundings of University Campuses
대학캠퍼스 주변 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제안 (2015.09 대구 계명대학교 동문앞 <레드블록 다누리 에비뉴 조성사업> 실시설계 완료)
  • Ho Soon Choi : Department of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 최 호순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대구, 대한민국
  • Sung Jun Park : Department of Interior & Environmental Design, Architectur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 박 성준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건축공학전공, 대구, 대한민국

Background The university campus has evolved into a community facility for all citizens through its special functions and roles: thus the boundaries of the campus are broken down.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problems due to th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rising from the 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cities. This study, cognizant of the university campus’ active expansion into neighboring cities, tries to impro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by proposing a detailed street environment plan.

Methods Firstl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ite are analyzed. Secondly, the direction of design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main concept and detailed plan of the street environmental design.

Results The reloc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uffer green space resulted in the removal of a blind spot and improved the walkable environment, the activation of the commercial areas, etc. In the detailed plan, the north street was designed to be local community garden. Meanwhile, the south street was planned to be a park due to its being a cultural street based on the residents and students' opin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customized street environment design is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merchants,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future street design strategies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urban revitalization and regener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대학캠퍼스는 고등교육기관이라는 특수한 기능과 역할에서 모든 시민을 위한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대학들은 캠퍼스의 경계를 허물어 주변 도시프로그램들과의 적극적인 연계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대학캠퍼스와 기존 주변 도시와의 활발한 관계 형성은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들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캠퍼스가 주변도시로 적극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대학캠퍼스와 그 주변의 도시 공간 프로그램들 사이의 경계 관점에서 구체적인 가로 계획을 제안함으로서 대학캠퍼스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첫째, 대상지 현황분석을 통하여 현재 대상지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대학캠퍼스 주변 환경개선을 위해 학생과 대학가 주변 주민 등을 대상으로 대학 캠퍼스 주변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의 도시 활성화 및 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가로 환경 디자인의 컨셉과 세부 계획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완충 시설녹지의 재배치 및 정비를 통하여 사각지대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업시설의 가시성을 확보하며, 보행자들의 접근성 용이하게 하여 상권 활성화를 유도한다. 둘째, 대상지의 북쪽에 위치한 가로는 대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정원을 계획하였다. 셋째, 남쪽에 위치한 가로는 주민 및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거리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공원 형 가로 조성을 계획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대학가 주변 환경 개선을 위항 대상지 관계자(주민, 학생 및 교직원 등)들의 의견과 대상지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맞춤형 가로 환경 디자인의 주요 컨셉과 세부 계획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미래의 가로 환경 디자인 전략에 활용되며,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 활성화 및 도시 재생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Street Environment Design, Buffer Green Zone, University Campus, Environment Improvement, 가로환경디자인, 시설녹지, 대학 캠퍼스, 환경개선.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08 Feb, 2017
Revised: 18 Apr, 2017
Accepted: 21 Apr, 2017
Printed: 31, May, 2017
Volume: 30 Issue: 2
Page: 139 ~ 151
DOI: https://doi.org/10.15187/adr.2017.05.30.2.139
Corresponding Author: Sung Jun Park (sjpark@kmu.ac.kr)
PDF Download:

Citation : Choi, H., & Park, S. (2017). Proposal of a Street Environment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rroundings of University Campus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0(2), 139-151.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적 관점에서 대학캠퍼스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매우 크다. 도심지 내에서 대학캠퍼스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고유한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학생들과 관련된 여러 다양한 도시적 프로그램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소규모 집합 주거군과 상업시설들이 대학캠퍼스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오늘날의 대학캠퍼스는 과거의 닫혀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주변도시 프로그램들과의 상호 연계성을 추구 하고 있으며, 과거의 고등교육기관이라는 특수한 성격에서 모든 시민을 위한 공공시설의 성격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많은 대학들은 캠퍼스의 경계를 허물어 주변 도시프로그램들과의 적극적인 연계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대학캠퍼스와 기존 주변 도시와의 활발한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범죄나 저하되는 환경문제 등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캠퍼스가 주변도시로 적극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대학캠퍼스와 그 주변의 도시프로그램들 사이의 경계, 즉 대학캠퍼스 주변에 관한 중요성을 다루며, 대상지 현황분석과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가로환경디자인 컨셉을 도출하고 이를 제안함으로서 대학캠퍼스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1. 2. 연구의 범위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동문 앞 남북방향 총 길이 840m 가로녹지이다. 이 지역은 전형적인 대학캠퍼스와 주변 도시의 경계부분으로 서쪽은 대학캠퍼스 그리고 왕복 8차선의 대로가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학생들을 위한 원룸촌이 분포한다. 원룸촌은 크게 3구역으로 나누어지며 구역 중심부를 기준으로 북쪽과 남쪽에는 각각의 원룸촌 그리고 구역 중심부에는 <대학로>와 <로데오거리>라는 명칭의 상업시설들이 있다.본 연구의 구체적인 범위는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동문 앞 일대 총길이 840m의 가로 및 시설녹지지역(완충녹지구역)으로 울창한 수목공간이 남북방향으로 길게 분포하고 있고, 이는 원룸촌 일대와 왕복 8차선의 대로를 분리해주는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Figure 1 Site
1. 3.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내용은 위 대상지에 가로환경디자인을 제시하여 대학캠퍼스 주변 환경개선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과정은 그림 2와 같다. 첫째, 가로환경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들을 대상지 현황분석을 통하여 현재 대상지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대학캠퍼스 주변 환경개선 이라는 특수성에 따라 학생과 대학가 주변 주민 그리고 상인들의 대학 캠퍼스 주변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가로 환경 디자인의 컨셉과 세부 계획 제시를 통해 거시적 관점에서 미래형 도심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마련한다.


Figure 2 The Flow Chart
1. 4. 디자인 목표

본 연구는 환경개선이 필요한 완충녹지구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가로환경디자인을 통하여 대학가 주변 환경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시설녹지공간의 기능은 유지하되 새로운 기능이 있는 녹지공간을 제시한다. 둘째, 시설녹지공간을 재정비하여 현재 비 활성화된 가로 상업지역을 활성화 한다. 셋째, 시설녹지 지역의 수목의 밀도를 조절하여 완충녹지지역의 가시성을 확보하여 시민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계명대학교의 대학 특성을 살린 대학가 특화거리를 조성하여 시민과 학생들을 위한 주변 환경을 개선한다.


Figure 3 Design purpose
2. 선행연구고찰과 대상지 현황 및 설문조사 분석
2. 1.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대상지의 현황분석에 관한 방향 설정 및 연구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Table 1
Research of advanced studies

1. 가로환경개선을 위한 보행 공간 디자인 개발. 이주형(Lee, 2015)
연구범위 550m 가로공간
현황분석 1.대상지 가로환경 가이드라인분석 2.대상지 설문조사실시
문제점도출 1.교통환경 2.보행환경 3.가로시설물
디자인개발 현황분석 및 문제점 분석
디자인적용 1.보행로 2.전면공지 3.가로계획 4.녹지계획 5.거리시설물 계획
2. 대학가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해욱(Lee, 2010)
연구범위 1.2km 대학가
현황분석 설문조사
문제점도출 1.건축물 입면 2.가로시설물
디자인개발 설문조사 결과 및 선행연구 분
디자인적용 1.건축물입면 2.가로시설물 3.녹지시설
3. 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경근(Lee, 2003)
연구범위 3개 대학가
현황분석 사진을 이용한 표본대상 실측하여 유형별로 분류 및 분석
문제점도출 1.재료 2.위치
디자인개발 형태, 문자체, 색체, 그래픽 위치 그리고 관리제도에 관한 개발
디자인적용 가로계획 정비를 위한 사인디자인
4. 네덜란드 로테르담 철도 재생 프로젝트 계획안. The snaking block 1.7km viaduc. 최호순(Choi, Ateleir Seraji architectes & associes, 2009)
연구범위 1.7km 지상철도
현황분석 1.대상지 대상 워크숍 실시
(Paris Malaquis 건축학교와 로테르담 건축공무원)
2.용도 폐기된 철도와 기존 도시와의 관계성 분석
문제점도출 1.새로운 도시프로그램 필요성
2.보행환경
디자인개발 실제 설계 사례분석 및 비교
N.Y(미국)_High line park, Paris(프랑스)_Viaduc des Arts
디자인적용 1.새로운 프로그램제시(주거공간, 문화공간)
2.녹지계획
3.가로계획

2. 2. 대상지 현황분석1)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의 동문 앞 일대는 원룸형태의 집합주거 형태의 건물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학생들의 유흥을 위한 상업시설들이 분포한다.

Table 2
Main programs in front of the east gate of Keimyung University

위치 프로그램 평균건물층수 개수
구역1_북쪽일대 집합주택 5 292
구역2_중심가
<대학로>, <로데오거리>
상가 7 76
구역3_남쪽일대 집합주택 5 298

Table 3
Commercial programs in front of the east gate of Keimyung University

업종 개수 비율
일반음식점 (식당,레스토랑, 횟집, 분식점 등) 52 20%
주류점 (호프, 치킨 등) 43 16%
커피/베이커리 (커피숍, 패스트푸드 등) 15 6%
오락/스포츠 (PC방, DVD, 당구장, 오락실, 노래방 등) 46 18%
판매점 (편의점, 옷가게, 화장품, 서점 등) 31 12%
서비스 (미용실, 고시원, 안경점, 학원, 병원 등) 72 28%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대상지인 계명대 동문 앞 시설녹지지역은 폭 10미터, 총길이 840미터의 남북방향의 긴 선형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본 대상지가 지구단위계획 건축법규 상 근린생활시설지역으로서 일층은 소규모 상업시설 및 주차공간으로 계획된 최대높이 4층의 대학생들을 위한 원룸 건축물들이 시설녹지를 바라보며 배치되어있다. 특히 대학교 동문 방향으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업종들의 건물이 분포한 이유는 대학캠퍼스 정문방향인 남쪽은 성서산업단지의 대규모의 산업시설이 분포하고 서쪽방향은 금호강 그리고 북쪽에는 구릉지의 제약조건들로 인하여 도시중심가 방향인 동쪽으로 여러 다양한 업종들의 건물들이 입지하였다.


Figure 4 Buffer green zone _ Plan & Section

대상 시설(완충)녹지지역은 오랜 기간 동안 방치되어 있는 폭 10미터 총 길이 840미터의 긴 선형 모양의 녹지공간으로 여름철에는 밀도 높은 수목으로 인해 주변 건축물의 가시성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하여 일층 상업시설로의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정리되지 않은 녹지들로 인하여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시민들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앙상한 식재들로 인하여 완충녹지구역 주변이 어둡고 칙칙한 분위기를 조성하게 되어 주변 상권의 가로활기를 현저히 저하시키고 있다.

2. 3. 설문조사 분석2)

본 연구를 위하여 2014년 6월24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대학주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설문대상들도 세분화 하였다. 설문지는 총500부로 대상지에 상주하는 빈도수에 비례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자 지역민, 학생, 교직원 그리고 다문화가정 및 공무원 순서로 설문지 배포에 차등을 두었다. 설문조사 이후 수집된 자료는 조사분석을 위해 사회과학통계패키지 (SPSS ver.21.0)에 코드화 한 후 분석하였다.

Table 4
Distribution of survey

대상 배포설문지 유효설문지 회수비율
학생 140 113 91.6%
지역민 200 196
다문화 50 47
교직원 60 53
공무원 50 43

2. 3. 1. 기존 완충녹지구역 가로주변의 바람직한 활용방안 선호도

Figure 5 Application preference for the future buffer green zone

설문조사 분석결과,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완충녹지구역의 활용방안은 문화예술공간, 휴식공간, 판매공간 그리고 위락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완충녹지공간의 활용방안으로 문화예술공간을 가장 선호하는 이유는 연구 대상지에 계명아트센터라는 규모 있는 문화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본 공간을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많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인 완충녹지공간이 현재 문화공간과 그 주변과의 연계성 및 접근성을 높여 대상지 일대를 문화공간으로 특화 시킬 수 있는 높은 잠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휴식공간 및 판매공간을 활용방안으로 선택한 이유는 응답자들이 현재 완충녹지지역일대에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식 및 판매시설들이 시설녹지에 의해 비 활성화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3. 2. 기존 완충녹지구역 주변일대 개선 방안에 대한 의식

설문문항에 응답한 완충녹지구역 개선방안의 첫 번째 항목은 불법주차 항목으로 현재 대상지의 불법주차로 인하여 보행 친화적 환경의 위협요인이 되며, 특히 지역 상인들은 공영주차장과 같은 충분한 주차공간을 마련하여 상업시설 이용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항목으로는 광장 및 가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응답자들이 현재 완충녹지지역이 기존의 녹지 기능을 살리면서, 새로운 공용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가지는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6 Improvement preference
2. 가로환경디자인 컨셉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동문 앞 일대 남북방향의 총길이 840m 시설(완충)녹지지대로 3단계의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지에 상주하는 지역민, 상인, 주변 산업단지와 관계된 다문화가정, 공무원, 학생 그리고 대학 교직원들의 설문을 통한 의견 수렴과 대학교 주변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대상지의 주변 프로그램들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컨셉을 도출하였다.


Figure 7 Design Concept
3. 1. 구역1

구역1은 연구 대상지의 북쪽에 위치하는 총길이 330m에 해당하는 시설녹지지역으로, 대상지 주변의 계명문화대학과 방송통신대학을 고려하여 지나친 상업주의적 가로환경디자인은 지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게 된 기존의 시설녹지의 개선방향에 관한 가장 큰 의견인 ‘기존의 시설녹지를 활용한 특색 있는 공간조성’과 앞으로 바람직한 시설녹지의 활용방안의 의견인 ‘휴식공간’을 반영하여 대상지 주변의 지역주민과 대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주민 참여정원을 제시하였다. 본 참여정원은 기존의 수동적인 녹지공간에서 벗어나 주민들과 대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도심 속 녹지공간을 의미하며, ‘정원’이라는 정적인 공간으로 제안한 이유는 본 대상지가 지리적으로 남쪽의 계명대역과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 유동인구가 적고, 구역2와 구역3은 상업시설이 많은 동적인 공간인 것을 감안할 때, 본 대상지는 구역2와 구역3과는 성격이 다른 공간으로 제안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Figure 8 Concept Diagram_Buffer green zone 1
3. 2. 구역2

구역2는 시설녹지가 없는 구역으로 해당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한다.

3. 3. 구역3

구역3은 총 연구 대상지의 남쪽에 위치한 총길이 340m에 해당하는 시설녹지구역으로, 특히 대상지 맞은편에 대구광역시의 대표적 문화공간인 계명아트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계명아트센터의 문화적 성격을 본 대상지에 접목시켜 기존의 단순한 시설녹지공간에서 문화공간이 접목된 녹지 가로 환경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디자인 컨셉은 설문조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문화예술공간으로 현 시설녹지가 변화하길 원하는 의견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계명아트센터가 일반 시민들이나 대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문화공간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대상지는 누구나 쉽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계획되었다.


Figure 9 Concept Diagram_Buffer green zone 3
4. 디자인 전개
4. 1. 시설녹지공간 기본계획

계명대 동문 앞 시설녹지지역은 폭 10미터, 총길이 840미터의 남북방향의 긴 선형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밀도 높은 수목으로 인해 주변 건축물의 가시성을 저하시켜 상업시설로의 접근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구역1>과 <구역3>로 분류된 시설녹지 지역이며, <구역1>과 <구역3>에 적용되는 가로 정비에 관한 공통기본계획은 다음과 같다.


Figure 10 Design direction for Buffer green zone _ Plan & Section

Figure 11 Image for the new buffer green zone

첫째, 방치되어 있는 시설녹지를 재배치하여 녹지의 밀도를 낮춘다. 이는 완충(시설)녹지 가로주변에 배치되어있는 상업시설의 가시성을 확보하며, 또한 보안상 문제가 되는 사각지대를 없애는 결과를 가져온다. 둘째, 현재 10미터 폭의 완충녹지를 7미터로 줄이고, 나머지 3미터를 보행자 전용도로로 계획하여 상업시설 방향으로 배치한다. 3미터의 여유 있는 보행자 전용도로는 상업시설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며 상업시설의 가시성을 확보하여 완충녹지주변의 상권 활성화를 유도한다. 셋째, <구역1>과 <구역3>의 디자인 컨셉에 맞도록 시설녹지공간에 식재 및 공공디자인 요소를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바닥 마감재료를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본 가로공간을 붉은 벽돌로 특화된 거리로 조성한다. 이는 대상지 맞은편에 위치한 계명대학교 모든 건물들의 입면이 붉은 벽돌인 점과 연계되어 본 대상지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Figure 12 Image for Red Block Street_ Before and After
4. 1. 1. <구역1> _ 주민참여정원 계획

<구역1>은 본 연구대상지의 북쪽에 위치한 총길이 330m, 폭 10m에 해당하는 시설녹지지역이다. 대상지 서쪽으로 계명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와 왕복 8차선 도로가 있고, 대학교 교문 앞이라는 입지조건으로 대학생들의 이동량과, 시설녹지지역 뒷편으로는 원룸촌이라는 입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대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정원을 계획하였으며, 시설녹지지역의 식재 재정비를 통해 가로 상업시설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주민참여정원의 기본 형태는 동서방향으로 7m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반면에 남북방향으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좁고 긴 형태의 직사각형이며, 전체적으로 거대한 바코드 모양의 정원을 계획하였다. 각각의 직사각형 정원에는 서로 다른 식재들이 배치되며, 식재의 종류는 직접 재배가 가능한 품종을 배치한다.


Figure 13 Design direction for Buffer green zone 1 _ Plan & Section

Figure 14 mage for Buffer green zone 1
4. 1. 2. <구역3> _ 문화거리 계획

<구역3>은 본 연구대상지의 남쪽에 위치한 총길이 340m, 폭 10m에 해당하는 시설녹지지역이다. 대상지 서쪽으로 계명아트센터와 왕복 8차선 도로가 있고, 계명대 지하철역과 가까운 입지조건으로 대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이동량이 많다. 본 연구 대상지 <구역3>은 아트센터라는 중요한 문화시설의 입지특성과 완충녹지지역의 활용방안에 관한 설문조사 항목 중 가장 높은 순위인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를 고려한 문화거리 가로계획을 제시하였다. 각종 가로시설물을 포함하는 공원형 가로조성을 계획하여 학생 및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탄력적인 공간을 계획하였다. 문화거리의 기본 형태는 <구역1>과 같은 형태로서 동서방향으로 7m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반면에 남북방향으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좁고 긴 형태의 직사각형이다. 각 구획을 나누는 벽 형태의 가로시설물은 높이를 다르게 디자인하여 시민들이 앉을 수 있는 가구로 활용되며 벽면에는 다양한 문화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벽면에는 LED를 이용한 Digital Facade를 적극 도입하여 가로입면을 활성화 하고 심야시간에는 가로등 역할도 제공하도록 한다.


Figure 15 Design direction for Buffer green zone 3 _ Plan & Section

Figure 16 Image for Buffer green zone 3
5.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주변의 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디자인을 제안 이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지에 상주하는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목적인 대학가 주변 환경개선 및 정체성 확립에 부합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지의 관계자(주민, 학생 및 교직원, 다문화가정 등)들의 의견들을 반영하여 가로 디자인 계획의 주요 컨셉과 세부계획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실용성과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한 가치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지의 구체적인 대지분석을 통한 특화된 가로환경디자인이 제시되었다. 대상지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가로 공간 프로그램들의 기능과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가로환경디자인이 제시되어 본 대상지를 특화시켰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 내 도시적 관점의 도심재생 및 활성화의 대표적 사례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셋째, 대학의 교육적인 영역이 문화 도시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에 제시된 참여정원과 문화거리계획은 기존에 존재하는 녹지공간 속에서 대학생과 시민들이 함께 공존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교육문화를 제안한다. 이는 대부분의 가로환경디자인이 상업시설을 활성화 하는 관점에서 진행되는 것을 지양하고 대학가의 특성에 맞는 교육적인 공간을 만들고 또한 거주자의 정주 공간 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시공 이후의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분석을 다루고 있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 진행을 통하여 미래의 가로환경디자인 계획에 활용 될 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관점에서 도시 활성화와 도심재생 분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Figure 17 General View of the completed project
Notes

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14). The Red Block project. Dalseo district office, Daegu Metropolitan City

2)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14). The Red Block project. Dalseo district office, Daegu Metropolitan City

References
  1. 1 . Atelier seraji. (n.d.). Retrieved April 20, 2017, from http://www.seraji.net. [https://doi.org/10.1509/jmkr.38.2.225.18838]
  2. 2 .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14). The Red Block Project. Dalseo district office, Daegu Metropolitan City.
  3. 3 . Lee, J. (2015). Design of the Pedestrian Space for Improving The Activation of Campus Street-Focused on the Campus Improving Street Environment.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0(6), 79-88. [https://doi.org/10.12672/ksis.2015.23.3.079]
  4. 4 . Lee, H.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Street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Activation of Campus Street -Focused on the Campus Improvement of Street Elevauin & Visual Design For Daejeo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2), 63-72.
  5. 5 . Lee, K. (2003). A Study of sign design for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Focused on Seoul city university down town-. Communic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n, 14(2),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