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30, No. 2

ATM Design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ATM 디자인 연구
  • Hoejun Jung :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 정 회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과, 서울, 대한민국
  • Young-jun Ko :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 고 영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과, 서울, 대한민국

Background The elderly tend to encounter problems when using both the physical and graphic user interfaces of ATMs. The visually impaired find it inconvenient to carry an earphone whenever they need to make banking transactions. wheelchair users have difficulty accessing ATM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ATM for all users including the elderly, the visually impaired, and wheelchair users.

Method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by user, and the components of the ATM were identified. Second, usability tests on the elderly, visually impaired persons and wheelchair users were conducted to draw issues and requirements when using an ATM. Third, design guidelines for the ATM were elicited by combin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studies and the usability tests. Fourth, a prototype of the ATM was created based on the guideline.

Results In the proposed ATM, the elderly and others who may require assistance with standing will be able to hold a part acting like a handle and a hanger for personal belongings will also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ATM. Controls are arranged within reach range of user hands so that both tall users and wheelchair users will be able to use the ATM, and the knee space will provide easier wheelchair access. A handset will allow the visually impaired to make bank transactions without carrying an earphon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an ATM for which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is applied was proposed.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 on the PUI and GUI of the ATM creat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sign public automatic machines such as ticketing machines which have similar system components.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고령자들은 물리적 사용자인터페이스와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면서 ATM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시각장애인들은 이어폰을 소지해 다니면서 은행거래를 하는데 불편함과 불안감을 많이 느낀다. 휠체어사용자들은 기기까지 접근하는 것이 힘들고 카드투입구 등에 손이 닿지 않아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일반성인은 물론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 등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ATM 디자인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사용자별 특성과 배려사항, ATM의 구성요소를 파악했다. 둘째,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기존 ATM 기기 사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국내외 선행연구 문헌분석과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종합하여 ATM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넷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PUI/GUI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ATM에는 자세가 불안정한 고령자 등을 배려하여 디스플레이 파트 양쪽에 손을 잡는 곳이 마련되어있고 전면에 소지품걸이가 부착되어있다. 키 큰 사용자와 휠체어사용자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조작장치 및 투입구가 배치되어있으며 디스플레이 아래에 무릎공간이 설치되어 휠체어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핸드세트를 설치하여 이어폰을 갖고 다니지 않더라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작화면 GUI디자인에는 유니버설서체를 적용하여 정보인식이 용이하게 하고, 기능버튼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른 버튼과 구별되게 하였다.

결론 고령자,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인과 같은 ATM사용에 어려움이 많았던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ATM디자인이 제안되었다.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ATM의 PUI, GUI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기기의 구성요소가 유사한 티켓발권기, 민원 발급기 등 공공 자동화기기의 디자인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Universal Design, ATM, Usability Test, GUI, PUI, 유니버설 디자인, 금융자동화 기기(ATM), 사용성 평가, GUI, PUI.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21 Dec, 2016
Revised: 26 Feb, 2017
Accepted: 11 Mar, 2017
Printed: 31, May, 2017
Volume: 30 Issue: 2
Page: 123 ~ 137
DOI: https://doi.org/10.15187/adr.2017.05.30.2.123
Corresponding Author: Young-jun Ko (yjko@seoultech.ac.kr)
PDF Download:

Citation : Jung, H., & Ko, Y. J. (2017). ATM Design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0(2), 123-137.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Tec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세계은행의 2012년 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최고 수준의 ATM 보급률(10만명당 282대)에도 불구하고 고령자들은 ATM보다는 창구이용을 선호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ATM을 사용하기 위해 카드 입출력기와 같은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hysical user interface, PUI)와 비밀번호, 금액 등을 입력하는 전면 스크린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의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고령자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도 ATM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시각장애인은 이어폰을 통해서 들리는 지시사항을 듣고 금융거래를 하는데 이를 위해 이어폰을 항상 소지해야 하고 점자 표기된 숫자판을 통해 입력하는 동안 정보가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될까 봐 노심초사하면서 거래를 진행하는 등 불편함과 불안이 적지 않다. 휠체어 사용자들은 ATM 기기까지 접근하기가 어렵고, 카드투입구, 통장투입구 등까지 손이 닿지 않는 등 사용에 문제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금융기관은 금융자동화 접근성지침(정보통신부, 2007)을 내 놓았고, 고령자 및 이용 약자의 접근성을 위해 시설을 정비하고 음성안내가 가능한 ATM 도입 등을 하고는 있지만, ATM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 등 을 포함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PUI와 GUI를 개선한 ATM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 2. 연구의 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ATM을 사용하는데 특히 불편을 느끼는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ATM의 구성요소를 기기의 카드투입구, 키패드와 같은 물리적 구성요소(PUI)와 화면레이아웃, 안내글 등 스크린 구성요소(GUI)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둘째, 시중은행에 설치된 ATM을 대상으로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에 의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사용상의 문제점과 요구사항, 개선방향을 파악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헌조사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종합하여 ATM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넷째, 앞서 도출된 ATM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ATM 디자인을 전개하여 PUI, GUI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2. ATM 사용자와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2. 1. 사용자별 특성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ATM디자인개발을 위해 ATM사용대상자 중에서 기기사용에 특히 불편을 느끼는 고령자,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고령자는 신체나 감각 한 부분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자과는 달리 신체, 감각, 인지 등에서 전반적으로 기능의 저하가 나타난다. 신체기능의 저하로 인해 자세 유지 및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지고 지속적인 동작유지가 어려워진다. 감각기능면에서는 시력의 저하로 인해 작은 글자를 읽기가 어려워지고 한색계열, 유사색상들 간의 식별 능력이 저하된다. 청각기관 또한 쇠퇴해서 복잡한 소음 속에서 소리를 잘 구별 못하고 고음영역을 잘 들을 수 없다. 인지면에서도 기억·주의·사고·이해 기능의 저하가 나타나서, 기억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둔화되고 자신이 행한 조작과 그에 따른 결과 간의 관련성을 잘 모르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으며, 장시간 주의를 지속하는 것이 어렵고, 많은 정보 속에서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미키히로유키, 2007).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은 하반신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손이 닿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시선의 높이가 비장애인보다 낮다. 시각장애인은 시각 및 시야, 명순응, 색각 등 장애를 사람들로서 손이나 지팡이가 닿는 범위 밖의 것은 파악할 수 없으므로 색상, 형태, 위치 식별이 곤란하다(고영준, 2007). ATM사용과 관련하여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1참조)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physically disabled person

분류 특성
고령자 신체 저하 - 자세 유지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진다.
- 지속적인 동작유지가 어렵고 동작범위가 줄어든다.
인지 저하 - 기억·계산·판단이 둔해진다.
- 자신이 한 조작과 생기는 결과의 관련성을 잘 모른다.
- 여러 가지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다.
- 장시간 주의를 지속하는 것이 어렵다.
- 많은 정보 속에서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다(예: 많은 버튼 속에서 선택)
감각 저하 - 근거리 초점조절 능력이 저하된다.
- 한색계열, 유사색상들 간의 식별 능력이 저하된다.
- 복잡한 소음 속에서 소리를 잘 구별 못함(난청)
- 고음영역을 들을 수 없게 된다.
휠체어 사용자 신체 장애 - 손이 닿는 범위가 비장애인 보다 좁고 한정되어 있다.
- 심한 단차, 높은 경사로는 오르기 곤란하다.
- 좁은 공간에서 통행과 회전이 곤란하다
- 시선의 높이가 비장애인보다 낮다.
시각 장애인 시각 장애 - 액정표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2. 2. ATM의 구성요소

ATM은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공 금융기기로서 물리적인 요소의 접근성과 함께 화면요소의 사용성까지 고려해야 한다. ATM은 카드처리부, 명세표 받는 곳, 통장투입구, 현금처리부, 휴대폰 올려놓는 곳(NFC), 외부키패드와 같은 물리적 요소와 화면상에서 금융거래의 상황을 보여주는 스크린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가령, (Table 2)에서 카드 투입구 또는 시각장애인 전용 키패드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세부 요소로는 투입구의 위치(높이), 투입모양, 투입구를 표시하는 라벨(텍스트, 아이콘, 점자), 조명효과가 포함된다.

Table 2
Components of ATM and detailed design elements

분류 ATM 구성요소 세부 디자인 요소
물리적 요소 통장, 카드, 현금 투입구 - 위치(높이), 형태, 라벨, 아이콘, 점자, 조명, 촉각기호
키패드 - 버튼크기, 형태, 간격, 촉각기호, 라벨, 폰트
이어폰 잭 - 위치, 형태, 라벨
화면 요소
(터치스크린)
- 버튼, 화면 레이아웃, 안내글, 메뉴, 폰트, 색상, 그래픽 이미지

조작화면의 구성요소로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및 웹페이지와 유사한 버튼, 폰트, 레이아웃이 포함된다.


Figure 1 ATM's PUI keypad(left) and GUI(screen) keypad

조작화면상의 찾을 금액을 누르는 화면은 지시글, 숫자, 버튼 등 정보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고려해야할 디자인 요소로는 글꼴, 크기, 색상, 자간, 장평, 행간, 문단 형태, 정렬 방식/레이아웃, 문서구조, 크기, 위치, 형태, 아이콘, 이미지, 버튼 등의 크기, 형태, 색상 등이 있다. ATM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를 통해 사용자는 기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인지기능과 감각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위해서는 이들 디자인 요소에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사용자와 기기의 상호작용이 원활해질 수 있다.

3. ATM 사용성 평가
3. 1. 평가개요

고령자 및 ATM이용약자가 ATM 기본 금융거래 과정에서 불편해 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ATM 구성요소별로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해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노원구 소재 노인복지관, 장애인 복지관 이용자 중에서 월 2~3회 이상 은행을 방문하고 금융활동을 지속하는 70세 이상 고령자(4명), 시각장애(전맹 1명, 약시자 1명), 휠체어사용자(1명), 비장애인(1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노인 중 1명은 ATM에 익숙한 사용자이며, 노인 3명은 초보 사용자이다. ATM사용과 관련된 이슈들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중은행 ATM 환경과 유사하고, 혼잡하지 않은 대학구내 N은행 ATM 부스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Table 3
Usability test overview

대상 고령자 시각장애인 휠체어사용자
나이(성별) 1 77(여) 2 71(여) 3 81(남) 4 71(여) 35(남) 55(남) 39(남)
시력(좌/우) 0.7 / 0.8 0.9 / 0.8 0.4 / 0.8 0.8 / 1.0 전맹 전맹 1.2 / 1.0
ATM 사용경험
태스크 - 입금: 카드를 사용해서 현금 4만원을 입금하기
- 출금: 카드를 사용해서 현금 7만원을 출금하기
- 계좌이체: 정해진 계좌에 4만원을 이체하기

사용성 평가가 실시되기 전에 피험자에게 평가에 대한 목적과 태스크, 촬영장비의 위치, 평가결과의 활용 등을 안내하였다. 그리고 은행방문 및 ATM 사용경험, 인터넷 사용유무, 핸드폰 보유 종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진행자는 ATM 부스 옆에 서서 피험자에게 태스크를 전달하였고, 태스크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피험자에게는 태스크 과정을 안내하기도 하였다. 태스크 수행과정은 ATM 상단에 미리 설치된 카메라와 1명의 연구원에 의해 비디오로 촬영되었다. 태스크 수행이 끝난 후 ATM 사용과정에서 특히 불편을 느낀 태스크에 대하여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사용성 평가가 종료된 뒤에는 촬영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재생해서 수행과정에서의 오류부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3. 2. 평가결과
3. 2. 1. 고령자

(Figure 2)에서 ATM 기기에 익숙지 않은 고령자(1~3)는 익숙한 고령자(4)와 비교해서 터치스크린 조작 과정에서 기능버튼을 잘 못 누르거나, 화면내용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수행시간이 지연되었다. 고령자 모두 7만원 출금, 4만원 계좌이체 태스크에서 금액선택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기타금액 버튼을 찾지 못해서 두 번에 걸쳐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안내자에게 물어보기도 했다. 입출금보다 계좌이체에서 금액선택, 계좌입력, 전화사기주의 등 거래단계가 복잡할수록 고령자들에게 부담이 되어 2~3회 걸쳐 태스크를 수행해야 했었다.


Figure 2 ATM task execution times by old subjects
Table 5
Usability issues found during the task executions by old subjects

- (이체)계좌번호를 잘못 눌렀다고 생각했을 때 정정이 아닌 취소를 선택해서 거래가 종료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 지시문에서 버튼처럼 생긴 지문을 오인하고 누르는 행위를 하였다.
- 금액 확인을 위해 머리를 숙여 스크린에 가까이 다가서려고 했다.
- (이체)전화사기 주의에 대한 긴 글이 나올 때 화면에 나타난 긴 설명문을 읽느라고 시간이 초과되어 거래가 종료되었다.
- 장문의 정보를 이해하는데 어려워했다.
- 일반 및 확대 화면의 출금 및 이체 금액 선택화면에서 화면에 나타나지 않은 금액을 입력하기 위해 기타 버튼을 찾으려 했으나 잘 찾지 못했다.

3. 2. 2. 시각장애인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듣고 키패드를 손으로 더듬어서 조작하기 때문에 다른 피험자 보다 4배 이상의 수행시간이 소요되었다.

시각장애인은 자주 방문하는 은행지점의 ATM 구조를 기억하고 사용 하지만, 사용성 평가에 사용된 ATM을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이어폰 잭 및 투입구를 찾는데 힘들어 하였다.


Figure 3 ATM task execution times by the visually impaired subjects
Table 6
Usability issues found during the task executions by the visually impaired

- 출입문에서 기기 앞까지 유도 블록이 연결되어있지 않아 접근하기 어렵다.
- 안내지팡이를 주머니 속에 넣어두거나, 놓아둘 곳이 없어 기기에 기대어 두었다가 지팡이가 쓰러졌다.
- 이어폰 잭, 통장 투입구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 이어폰 잭과 연결된 이어폰 줄이 카드를 투입하는 과정에 방해가 되었다.
- 전용 키패드의 숫자버튼과 기능버튼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잘 못 입력하는

3. 2. 3. 휠체어사용자

사용성 평가에 활용된 ATM에는 무릎공간이 없어서 휠체어사용자가 몸을 비틀어서 기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휠체어에서 앉은 상태에서 투입구에 손이 닿지 않아서 팔을 길게 뻗어야만 겨우 기기를 조작할 수 있었다. 상단에서 비치는 조명으로 인해 화면 눈부심이 심해 터치스크린상의 화면 내용을 읽는데도 불편해 하였다.

Table 7
Usability issues found during the task executions by the wheelchair users

- 무릎공간이 충분치 않아서 자세를 옆으로 비틀어서 조작하였다.
- 카드 투입구의 위치가 높아서 한손을 뻗어서 사용하였다.
- 상단 조명으로 인해 화면 눈부심이 심해 터치스크린을 제대로 보기 불편해 하였다.
- 상체를 지지하기 위해 기기의 모서리에 한손을 짚고 사용하였다.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불편사항을 (Table 8)에서 사용자 그룹과 PUI, GUI, 공간으로 분류하여 고려사항 및 디자인 개선요소를 도출하였다.

Table 8
User requirements by detailed factors

PUI GUI 공간
고령자 - 지지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가이드 - 조작 버튼의 구별
- 단순한 정보의 표현
- 일관된 화면표시
- 명확한 서체선정 및 크기조정
- 여유공간
- 소지품 거치공간
시각장애인 - 전용 이어폰 형태
- 전용 키패드의 간격
- 각 투입구의 위치와 형태
- (사운드 인터페이스는 생략) - 점자 유도블럭
- 지팡이 지지대
휠체어이용자 - 각 투입구의 위치
- 터치스크린의 각도
- 지지할 수 있는 영역
- 무릎공간의 확보
- 상부조명의 방식

4. ATM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ATM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이용자 그룹별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연구된 관련 문헌 중에서 터치스크린 GUI의 접근성 및 가시성 개선과 물리적 요소의 접근성을 다룬 문헌을 분석하여 가이드라인이 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지아테크 연구소 접근성 연구 시리즈(Bradley fain, 2009)에서는 매장기기(Point of sale machines)의 물리적 요소(통로, 조명, 투입구, 디스플레이 등)와 터치스크린 요소(서체, 버튼, 아이콘 등)의 접근성과 관련된 지침을 참고 하였다. 시각장애인의 ATM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본 자동판매기 협회(2000)에서 발표한 시각 장애인 대응 ATM 설계 지침을 참고 하였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2010, 서울시)에서는 휠체어 사용자의 작업환경과 관련된 지침을 참고 하였다(Table 9 참조).

Table 9
References and contents related to ATM

문헌 내용
Georgia Tech Research Institute Accessibility Monograph Series(W. Bradley fain. Ph.D, 2009) - 미국 연방 항공국 Human Factors Design Standard에 근거하여 매장에서 접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해 물리적 접근과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요소에 대해 설계기준을 제공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기도 (2011)
- 공간, 건축물, 시설물, 도시시설물, 정보매체 등의 공공디자인 5개 분야에 걸쳐 디자인 시 차별 없는 접근에 관한 지침수록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서울시(2012)
- 장애인 및 비장애인에게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매표기 및 판매대, 접수대 및 작업대 등 편의시설 설치 에 대한 메뉴얼
시각 장애인 대응 ATM 설계 지침
일본 자동판매기 공업회(2000)
- 시각장애인을 위한 ATM 디자인 지침으로 촉각기호 및 음성가이드 갖춘 베리어프리 ATM 연구

4. 1. ATM GUI 가이드라인
4. 1. 1. 유니버설디자인 서체 사용

시력이 저하된 고령자나 약시자인 경우 터치스크린의 문자나 숫자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일본 서체전문업체인 이와타사 등에서 개발된 유니버설디자인 서체를 활용하면 기존 ATM과 비교하여 시인성과 판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타사의 유니버설디자인 서체(Figure 4)는 특히 알파벳 S와 숫자 3과 8, 9와 6 등 잘못 읽기 쉬운 문자를 식별하기 쉽게 되어있다.


Figure 4 Universal design font(left) and its application to the screen of gas pump(right)
4. 1. 2. 화면 표시 간에 대비를 강하게 줌

고령자는 색상식별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각적 정보요소들 간의 명암과 채도의 대비를 강하게 주어야 한다.

경기도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2011)의 시각정보-문자항목에 의하면 약시자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영역은 어두운 배경에 밝고 굵은 글자를 사용하는 것이 식별이 용이하다고 되어있다. (Figure 5)의 정보의 요소들은 배경과 뚜렷한 대비를 주고 있고, 입력된 금액정보는 어두운 배경에 밝은 글자를 사용하여 시력이 약한 사람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Figure 5 Screen difficult to recognize information(left) and the screen that is easy to recognize information by giving a strong contrast(right)
4. 1. 3. 버튼의 구별

똑같이 생긴 버튼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인지능력이 약한 고령자들에게 힘든 일이다. Human Factors Design Standard (FAA,2003), Control and visual indicators에서는 버튼들의 구별을 위해 형상과 크기, 컬러코딩, 그룹핑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사용성 평가에서 고령자들은 (Figure 6)의 왼쪽에 있는 금액선택 화면에서 다른 버튼과 크기가 동일한 기타 버튼을 잘 인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능적으로 다른 기타 버튼, 취소 버튼의 형태 및 크기를 서로 달리하고, 컬러 코딩하여 다른 것과 구별을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6 Screen with the same size buttons to select the amount of money for withdrawal (left) and the screen with different button sizes (right)
4. 1. 4. 정보의 표현

고령자는 긴 설명을 읽는데 시간이 걸리고,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화면상의 정보는 문자와 이미지를 함께 사용하여 정보의 양을 최소화하고, 내용 이해를 위해 일러스트 등을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Figure 7).


Figure 7 Screen composed of long sentences(left)and screen with simple sentences and illustrations(right)
4. 2. ATM PUI 가이드라인
4. 2. 1. 주요 투입구의 위치

휠체어 사용자가 카드투입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한 손을 길게 쭉 뻗어야 하는데 (Figure 8)처럼 통장투입구, 카드투입구, 지폐 나오는 곳 등이 각각 떨어져 있으면 작업수행이 더 어려워진다. 투입구 등을 그루핑 하면 사용하는데 드는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8 Location of slots of ATM
4. 2. 2. 돌출된 형태 및 대체 조작방식

시각장애인들이 국내에 설치된 AT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갖고 다니는 이어폰을 이어폰 잭에 꽂아야 하는데 이어폰 잭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더듬어서 찾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를 고려하여 ATM에 이어폰 잭이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만져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이어폰 잭을 돌출하는 것이 좋다((Figure 9).

일본 자동판매기 공업회에서 발간한 시각 장애인 대응 ATM 설계 지침(2000)에는 시각장애인의 이러한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수화기방식, 키보드방식, 촉각기호 방식과 같은 다양한 조작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에는 이어폰을 지참하는 불편을 고려하여 이어폰 대신에 음성안내를 들을 수 있는 핸드세트를 탑재한 모델이 상당수 보급되어 있다(Figure 9).


Figure 9 ATM with earphone jack(left) and ATM with handsets(right)
4. 2. 3. 조작부분의 높낮이와 무릎공간의 확보

사용성 평가에서 휠체어사용자는 평가대상 휠체어 발판이 기기에 닿기 때문에 접근하기 곤란하다고 하였다. 서울특별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2012)에서는 매표기 및 판매대는 휠체어 사용자가 전면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입구 및 조작버튼은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 있으며, (Figure 10)과 같이 작업대의 하부는 바닥면으로부터 650mm이상의 높이를 유지하고, 무릎과 발판이 들어갈 수 있도록 450mm이상의 깊이를 확보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Figure 10 Knee space for wheelchair users
4. 2. 4. 잡을 수 있는 그립형상

오랫동안 서서 작업을 하기 힘든 고령자나 휠체어사용자와 기기의 위치 파악이 필요한 시각장애인들은 두 손으로 ATM을 잡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Figure 11)의 히타치 오므론 사 “AKe-S” 모델처럼 ATM 본체의 양쪽 끝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Figure 11 LG CNS ezATM 1000 and Hitach Omuron AKe-S ATM
4. 3. ATM 공간 가이드라인
4. 3. 1. 조명 및 빛 반사

조명에 의한 눈부심은 모든 사용자들에게 화면상의 정보를 읽기 어렵게 하거나 전혀 읽을 수 없게 한다. 일반 사용자들은 조명에 반사된 눈부심을 피하기 위해 허리를 구부린다든지 해서 시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휠체어 사용자들은 시선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부 조명에 인한 눈부심이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Figure 12 The upper illumination and left illumination

Human Factors Design Standard(2003)는 무광처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거나 난반사 방지필름을 부착하면 표면의 반사를 줄임으로써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기기 상부조명을 간접조명방식으로 설치하거나 디스플레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조명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서도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4. 3. 2. 소지품 거치공간

소지품을 갖고 있는 채로 ATM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소지품 거치공간이 없으면 소지품을 조작 화면 주변에 두게 되어 이로 인해 기기조작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Figure 13)처럼 기기나 기기 주변에 소지품 거치공간이나 소지품 걸이를 배치해두면 편리하다.


Figure 13 Placing a space or a hook for personal belongings
4. 4. 유니버설 디자인 ATM 프로토타입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ATM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ATM을 디자인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된 ATM의 조작영역은 키 큰 사용자와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860mm에서 1220mm사이의 높이로 설정했고, 깊이는 610mm이하로 했다.


Figure 14 Dimensions of the ATM prototype

ATM의 작업대는 보통 작업대에 비해 터치스크린, 핸드셋, 정맥인식기와 같은 기계적 장치가 장착되는 곳이므로 450mm 깊이대로 설계할 경우 장치의 무게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권장수치에는 못 미치지만, 휠체어사용자가 정면으로 사용하고, 팔을 뻗어서 닿을 수 있도록 250mm 깊이의 무릎공간을 주었다. 또한 카드 및 통장 투입구 등 투입구를 한 곳에 배치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핸드세트를 장착하였다. 자세가 불안정한 고령자,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인을 배려하여 잡을 수 있는 곳과 소지품을 걸어둘 수 있는 거치대를 두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다. 사용자인증을 위해 정맥인식장치를 설치하여 통장, 카드 없이 거래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일본은행 협회는 2005년에 위조와 도난 등 현금 카드 피해를 막고, 카드나 통장 없이도 본인인증을 하고 인출이 가능한 손가락, 손바닥 정맥인식을 생체인증방식으로 통일하였다. 국내에서도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금전적 피해가 잇따르면서 비밀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보안수단으로 생체 인증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국내 S은행은 2015년 말에 손바닥 정맥을 인식하는 ATM을 선보였다.


Figure 15 PUI of the ATM prototype

ATM 조작화면의 GUI 디자인은 입금, 출금, 이체화면의 기본 프레임은 유지하면서 서체타입, 버튼의 모양, 정보표현 등을 수정 보완하였다. 금액선택 및 확인화면에서는 어두운 배경에 밝은 글씨와 글자 크기를 조절하여 가장 중요한 정보중의 하나인 금액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능버튼은 버튼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른 버튼과 구별되게 하였고, 전화사기 경고문은 기다란 설명문 대신에 간략한 문장과 이미지를 활용해서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Table 10
GUI of the ATM prototype

금액 입력화면 금액 확인화면
금액 선택화면 전화사기 주의 화면

5. 결론

본 연구는 고령자 및 이용약자가 이용하기 쉬운 ATM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ATM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결과 도출된 시사점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지침들을 종합하여 ATM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유니버설디자인개념이 적용된 ATM의 디자인을 전개하고 PUI, GUI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ATM은 키 큰 사용자와 휠체어사용자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주요 조작장치가 배치되어있고, 카드 및 통장투입구 등을 찾는데 드는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입구 등이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어있다. 또한, 휠체어사용자의 접근을 위해 터치스크린 아래에 무릎공간을 확보하고 ATM 이용약자의 사용성 개선을 위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핸드세트를 배치하여 이어폰 없이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맥인식기를 도입하여 사용자인증 및 거래과정을 간소화하였다. ATM의 GUI 디자인을 위해서 유니버설 서체를 적용하고 중요정보의 색상대비를 크게 하여 시인성을 개선하고, 기능버튼간의 크기조절, 장문대신에 간략한 문장과 이미지로 제공하여 정보인식이 용이하게 하였다.

공공환경에 설치된 자동화기기는 PUI, GUI 등이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다양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 들어 티켓 발권기, 민원 발급기 등 터치스크린(GUI)과 투입 및 반환 요소(PUI)를 함께 사용하는 ATM 유사 자동화기기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이들 기기의 디자인 시에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1 . Ahlstrom, V., & Longo, K. (2003). Human Factors Design Standard (HFDS). Atlantic City International Airport, NJ: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William J. Hughes Technical Center.
  2. 2 . Brad, F. (2009). Kiosks-A study of accessibility issues and potential design solutions for designers, procurement officials, and consumer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3. 3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Financial Access Survey. (n. d.).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per 100,000 adults). Retrieved November 3, 2015, from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FB.ATM.TOTL.P5.
  4. 4 . Iwao, K., Akihiro, I., & Katsuhiro, S. (2000). FACT-V: Universal Access and Quality of Interaction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Faculty of Software and Information Science, Iwate Prefectural University.
  5. 5 . Iwata Corporation. (n. d.). Universal Design Font. Retrieved November 3, 2015, from http://iwatafont.co.jp/.
  6. 6 . Kim, H., & Lee, K. (2008). A Study on the Usability of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the Aged Ⅰ.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1(1), 127-136.
  7. 7 . Ko, Y. (2011). Universal design methods and examples of user-centered. Seoul: yidam Books.
  8. 8 . Mickey. H., & Hosono. N. (2007). Brown bear universal design series1. Seoul: naeha publishing.
  9. 9 . Lee, S. (2016, March 3). Gyeongnam Regional Disabled Banking Automation Equipment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abnews.kr/1ANQ.
  10. 10 . Oki Electric Industry. (n. d.). Universal design practices deal.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s://www.oki.com/jp/ud/instance.html.
  11. 11 . Statistics Korea. (2015). 2015 The Elders Statistics. Social (DAA42-1509071). Korea Statistics Planning Division.
  12. 12 . The Seoul Special City. (2012). Handicapped facility installation manual. Seoul: The Seoul Special City.
  13. 13 . The Korea Times. (2016, February 3). Put your eyes on ATMs, which are 'biometrics' to the banking sector,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60203/968202.
  14. 14 . The Keiyo Bank. (2015, March 19). 京葉銀行の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への取り組みについて[About the Keiyo Bank's approach to universal design].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www.keiyobank.co.jp/news/2015/2015031914200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