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6, No. 4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Adapting Embroidery Felt Techniques
자수 펠트 기법을 이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Hyeseung Kook :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Heayeon Kim :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A fashion design emphasizing formativeness satisfies humams’aesthetic sensibility, making the psychological utility value better as well as the physical utility valu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fashion materials using the technique of embroidery felt among decorative techniques and apply it to fashion design. Felt has a rich texture that is easy to apply to a variety of techniques of expression in fashion design, and it is suitable for the expression of formativeness beauty.

Method Our study consists of researches o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the research of production methods. In a review of the literature, we studied the concepts and special features of felt, and investigat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felt production. Then, we sampled and analyzed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using embroidery felt technique as a decorative technique. As a design motif, the morphological formative beauty of tree leave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an embroidery felt technique was proposed for making fashion materials and applying it to fashion design.

Results First, we found that felt embroidery techniques can develop fashion materials of high sensitivity in fashion design and be effective in high value-adding. It means that embroidery felt techniques can express an abundant surface texture to maximize its aesthetic effect. Second, leaves can be used as a design motif, showing its own formative beauty and morphological diversity for reconstruction, to broaden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in fashion design. Third, we could widen the expression domain of felt technique by applying the undercutting technique and the stitch technique for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

Conclusion Embroidery felt technique has been very useful in representing images of high sensitivity in fashion design. Furthermore, we can expect that fashion design studies will satisfy human’s aesthetic sensibilities by continuously studying the aesthetic expression techniques of materials as a fusion of various techniques.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조형성이 부각된 패션디자인은 인간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킴으로써 패션의 물리적 효용가치 이외에 심리적 효용가치로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펠트의 장식 기법 중 자수 펠트 기법을 이용한 패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펠트가 풍부한 질감 표현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의 적용이 용이하여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조형미를 표출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분석 연구, 그리고 작품제작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펠트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펠트의 종류와 기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펠트의 장식 기법 중 자수 펠트 기법을 이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사례를 표집, 분석하였다. 더불어 디자인 모티브로서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자수 펠트 기법을 응용한 패션 소재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수가 결합된 펠트 기법은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고감성 소재 개발이 가능하여 고부가가치 부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수 펠트 기법은 장식적인 풍부한 표면 질감을 표현할 수 있어 미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된 나뭇잎은 고유의 조형미 뿐 아니라 그 형태적 다양성과 재구성 및 전개를 통해 패션디자인의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었다. 셋째, 소재의 표면 효과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언더 커팅 기법과 스티치 기법을 결합시킨 결과 펠트의 표현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결론 자수 펠트 소재 표현 기법은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고도감성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유용하였다. 향후 다양한 기법들을 융합시킨 심미적 소재 표현 기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디자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길 기대한다.

Keywords:
Fashion Design, Embroidery Felt, Fashion material, 패션 디자인, 자수 펠트, 패션 소재.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27 Jun, 2013
Revised: 05 Aug, 2013
Accepted: 23 Apr, 2013
Accepted: 23 Oct, 2013
Printed: Nov, 2013
Volume: 26 Issue: 4
Page: 337 ~ 354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11.26.4.337
Corresponding Author: Hyeseung Kook (Koog0228@gmail.com)
PDF Download:

Citation: Kook, H., & Kim, H. (2013).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Adapting Embroidery Felt Techniqu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4), 336-35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패션은 심리적, 사회적 유행현상이 반영된 디자인과 소재의 선택을 거쳐 완성된다. 이에, 소비자의 감성이 다양해지는 것에 따라 패션의 소재에도 다양한 변화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조형성이 부각된 패션디자인은 인간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킴으로써 패션의 물리적 효용가치 이외에 심리적 효용가치로서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펠트의 장식 기법 중 자수 펠트 기법을 응용한 고감성 패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을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펠트는 다양한 질감표현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의 적용이 용이하다. 특히 펠트의 장식 기법 중 자수 펠트 기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는 색채와 형태에서 다양한 변화를 추구할 수 있고, 조형성 있는 표면 특성으로 인해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패션디자인에 적용된 펠트 기법 관련 선행연구로는 누노 펠트 기법(임재경, 2005; 오연옥, 2006), 핸드 니들 펀칭 기법(김혜은, 2002; 위수연, 2006; 정주희, 2011), 누노 펠트와 카빙 펠트 기법(김현선, 2009), 누노 펠트와 핸드 니들 펀칭 기법(김민경, 2004; 한은주, 2005; 이미화, 2007; 남유선, 2008)이 있는데, 이는 펠트의 가공기법을 적용한 연구들이다. 반면에 펠트의 장식 기법이 적용된 패션디자인 연구로는 패치워크 기법(노외숙, 2003)으로 국한되어 좀 더 다각적인 기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는 취약한 국내 패션의 감성 소재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바 패션디자인의 미적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펠트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펠트의 종류와 기법을 조사하였다. 둘째, 펠트의 장식 기법 중 자수 펠트 기법을 이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사례를 표집, 분석하였다. 셋째, 디자인 모티브로서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분석하였다. 넷째,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자수 펠트 기법을 응용한 패션 소재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Figure 1)과 같다.


Figure 1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flowchart

2. 이론적 고찰
2.1. 펠트의 조사 및 분석
(1) 펠트의 개념 및 특성

펠트(Felt)는 경사와 위사의 반복적인 교차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섬유와는 달리 실이 되기 전의 섬유소(纖維素)가 수분, 열, 압력, 알칼리성 용액에 의해 축융 되어 만들어진 섬유이다. 따라서 펠트는 방적이나 제직이 고안되기 전부터 존재해 온 인류 최초의 직물인 것이다. 윤지현(Yoon, 2012)에 의하면 펠트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신빙성이 있는 것은 프랑스의 페어틀(Peeoteoul)이라는 수도승이 먼 길을 지나가다가 양떼가 지나간 자리에 남기고 간 양털을 모아서 발밑에 넣고 한참을 지니다보니 발밑에 부드러우면서 질긴 발깔개가 만들어진 것을 보고 발견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때부터 수도승의 이름을 따서 펠트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펠트의 과학적 입증은 20세기에 들어와서 규명되었는데, 펠트가 접착제 없이 구조적으로 성립되는 원리는 모 섬유 표면에 덮여 있는 나무껍질과 같은 형태의 비늘 구조(scale)에 의한 것이다. 즉, 표면이 비늘모양의 스케일로 덮여있는 모 섬유에 수분, 알칼리성 용액, 열, 압력이 가해지면 서로 엉기며 수축하는 축융(felting)현상이 일어나는 데, 이렇게 축융된 양모 섬유 사이로 많은 공기를 함유하게 되어 보온성이 높고 탄력성 있는 펠트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펠트는 주로 양모에 의해 제작되는데, 기후와 풍습에 따라서 발달과정의 차이는 있지만 양모 섬유로 완성된 양모 펠트는 장식을 목적으로 한 생활용품으로도 발전되어왔다. 김민경(Kim, 2004)에 의하면 내구성이 우수한 양모 펠트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이야기 할 수 있다. 첫째, 마찰강도와 탄력성이 뛰어나서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변형되지 않는다. 둘째, 대기 중에 자기 무게 30%의 습기를 보유하고 있어 염색과 고착이 용이하여 원하는 색깔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점토와 같은 잠재적 유연성 때문에 다루기 쉬우므로 보강재 없이도 입체적 형태표현이 자유롭다고 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펠트는 다양한 두께의 질감 표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표현 기법의 적용이 용이하여 패션디자인의 표현 범위를 확대시키기에 유용한 패션 소재라고 할 수 있다.

(2) 펠트의 종류 및 기법

펠트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의 환경 및 문화와 더불어 다양한 기법으로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다. 펠트의 원리는 양모 섬유가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압력과 마찰을 받으면 섬유끼리 서로 엉기며 수축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것이 펠트화(FELT 化)이며, 이러한 결과로 완성된 원단인 양모 펠트는 다양한 두께의 질감표현과 다양한 표현기법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이윤주(Lee, 2012)는 펠트를 공정방법에 따라 물 펠트(wet felt)와 니들 펠트(needle felt)로 나누고, 제작 방법에 따라 압축펠트(press felt)와 제직펠트(weaving felt)로 나누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펠트의 종류에 따른 제작 방법은 다음의 (Table 1)과 같다.

Table 1
Methods of felt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ype

분류 종류 제작방법
공정
방법
물 펠트 (wet felt) 펠트의 전통적인 제작기법으로 동물의 털에 비눗물, 열,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니들 펠트
(needle felt)
표면이 거친 펠트용 바늘로 양털을 찔러 넣는 방법으로 열과
습기 없이 바늘만으로 축융시키는 방식이다.
제작
방법
압축펠트
(press felt)
모섬유의 원료를 수분, 열, 압력 등으로 축융시켜 천과 같이 만든
것을 말하며 다른 섬유를 섞기도 한다.
제직펠트
(weaving felt)
방모직물(紡毛織物)로 제직한 것을 축융기에 넣어서 강하게
축융한 것으로 외관은 압축 펠트와 비슷하다.

특히, 물 펠트 작업에 있어서는 40~45℃의 온도에서 작업을 해야 양모가 갖는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알칼리의 농도도 양모의 탄성과 광택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pH10 정도에서 작업을 해야 양모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다.

펠트는 본래 단순한 동기에 의해 나타났으나 현재에는 그 기법이 다양해지고 여러 가지 형태와 색상으로 변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펠트의 표현 기법으로 김현선(Kim, 2009)은 가공기법과 장식기법으로 분류했다. 가공기법으로는 전통 펠트, 니들 펠트, 누노 펠트, 캅웹 펠트, 카빙 펠트, 얀 펠트, 조각형태 펠트로 분류되고, 장식기법으로는 아플리케 펠트, 퀼트·패치워크 펠트, 상감 펠트, 모자이크 펠트, 자수 펠트로 분류된다. 김현선(Kim, 2009)의 분류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표현 기법에 따른 펠트의 분류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felt according to representation techniques

분류 종류 제작기법 분류 종류 제작기법
가공
기법

전통 펠트
평면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의 펠트 장식
기법

아플리케 펠트
펠트조각을 스티치로 연결하는 기법

니들 펠트
핸드니들 펀칭기 또는 기계니들 펀칭
기를 이용하여 비눗물 없이 축융시키
는 기법

퀼트 • 패치워크펠트
겉감과 안감의 두층을 함께 바느질로
맞붙이고 이를 누비는 기법

누노 펠트
펠트를 다른 직물과 함께 축융시키는
기법
가공
기법

상감 펠트
바탕이 될 펠트 위에 다른 색 펠트를
얹어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

캅웰 펠트
적은 양의 양모 섬유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구멍을 만든 후 펠팅하는
기법

모자이크 펠트
같은 성질의 펠트 조각을 연결시키는
기법으로 모티브와 대조되는 색과
형태로 변화를 주는 기법

카빙 펠트
여러 색의 양모를 여러 층으로
펠팅하여 원하는 모양에 따라
컷팅하는 기법

자수 펠트
작업된 펠트위에 장식적인 요소로
자수나 스티치 작업을 하는 기법

얀 펠트
털실을 이용하여 펠팅하는 기법

조각형태 펠트
입체적인 조각형태를 만드는 펠트

(3) 자수 펠트 기법을 응용한 디자인 사례 분석

이수철(Lee, 1992)에 의하면 질감은 자연 그대로의 것과 가공된 것이 있고, 화학적, 물리적(단면이나 측면의 형태, 광택, 굵기, 넓이, 유연성, 탄력성)인 성질은 독특한 질감을 형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펠트는 모 섬유만이 지닌 성질을 이용하여 방적되지 않은 모 섬유에 마찰이나 압력을 주어 결합시키는 기법을 말하므로 압축과정 전에 다양한 방법으로 독특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펠트는 다양한 섬유층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손쉬운 재질변형으로 독특한 질감을 표출할 수 있고,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펠트라는 소재가 갖는 독특한 질감으로 새로운 표현영역이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디자이너의 의도에 맞는 형태, 질감, 색채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펠트의 여러 가지 표현 기법들이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작업된 펠트위에 장식적인 요소로서 자수(embroidery)나 스티치(stitch) 작업으로 표면감을 부각시키는 자수 펠트 기법은 의상은 물론 패션 소품, 액세서리까지 그 표현 영역이 다양하다. 이에, 자수 펠트 기법을 이용한 패션디자인의 사례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수나 스티치 작업으로 장식성을 부각시킨 패션 소품의 사례들이다. (Figure 2)는 레이지 데이지 스티치(lazy daisy stitch)로 꽃의 형태를 표현하여 장식한 펠트 모자이고, (Figure 3)은 스템 스티치(Stem Stitch)로 나뭇잎을 표현하고, 버튼홀 스티치(buttonhole stitch)로 핸드백의 외각을 장식한 디자인이다. (Figure 4)는 버튼홀 스티치(buttonhole stitch)로 스카프의 홀(hole)을 장식한 디자인이다. (Figure 5)와 (Figure 6)은 기계 자수(machine embroidery) 기법을 이용하여 펠트의 표면 질감을 전체적으로 부각시켜 만든 목걸이와 브로치 디자인이다. (Figure 7)은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의 ‘별이 빛나는 밤’이라는 작품을 체인 스티치(chain stitch)와 스트레이트 스티치(straight stitch)로 묘사한 팔찌 디자인이다. 둘째, 다양한 소재 표현 기법으로 작업된 펠트 의상에 자수나 스티치 작업으로 장식성 있는 표면 질감을 표현한 패션디자인 사례들이다. (Figure 8)은 아플리케 기법과 자수 기법이 혼용되어 표현된 코트 디자인이다. (Figure 9)도 아플리케 기법으로 모티브를 표현하고, 자수와 비딩 기법을 이용하여 모티브 부분을 강조한 오뜨꾸뛰르 디자인의 아동복이다. (Figure 10)은 검은색의 제직 펠트에 금사를 이용한 스티치 기법으로 장식성을 부각시킨 코트 디자인이다. (Figure 11)도 흰색의 제직 펠트에 니들 펀칭 기법으로 블랙과 블루의 색상을 표현하고, 스티치 기법으로 구조적인 선의 느낌을 표현한 케이프 디자인이다. (Figure 12)는 패치워크 기법으로 패턴을 구성하고, 리본 자수 기법으로 장식성을 부각시킨 코트 디자인이다. (Figure 13)은 제직 펠트 표면에 다양한 컬러의 문양을 기계 자수 기법으로 표현한 케이프 디자인이다.


Figure 2 Louisa


Figure 3 Viva Terra


Figure 4 Chad Alice


Figure 5 Ariane Mariane


Figure 6 Ariane Mariane


Figure 7 Waterrose


Figure 8 Teresa Searle


Figure 9 김유경


Figure 10 Alexander Mcqueen


Figure 11 정주은


Figure 12 노외숙


Figure 13 Erdem Kasuma

2.2. 나뭇잎의 조형적 형태 분석

나뭇잎은 나무줄기의 끝이나 둘레에 붙어 호흡 작용과 탄소 동화 작용을 하는 식물의 영양 기관 중의 하나이다. 송홍선(Song, 1996)은 <한국의 나무문화>라는 저서에서, 나무는 잎의 형질에 따라서 1년 내내 잎이 달려있는 것을 상록수(늘푸른나무), 겨울이나 건기에 잎이 모두 떨어지는 것을 낙엽수(갈잎나무)로 구분하고, 잎의 형태에 따라 잎이 가늘고 길며 단단한 것을 침엽수(바늘잎나무), 잎이 평평하고 폭이 넓은 것을 활엽수(넓은잎나무)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나뭇잎은 다양한 모양에 따라 나무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나뭇잎의 형태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엽형(葉形, 잎 모양), 엽연(葉緣, 잎 가장자리), 엽선(葉先, 잎 끝부분), 엽서(葉序, 잎차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적 조형미가 표출된다. 특히 엽형은 나뭇잎의 전체적인 모양으로 종을 구별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 만큼 그 외형적인 형태만으로도 조형미가 돋보인다. 이창복, 김윤식, 김정석, 그리고 이정석(Lee, Kim, Kim, and Lee, 1985)의 저서인 <식물분류학>에 의하면, 나뭇잎은 잎의 윤곽이 둥근 원형, 잎의 넓이가 길이의 반보다 넓은 광타원형, 달걀모양으로 기부가 가장 넓은 난형, 끝이 경사진 타원체의 타원형, 거꿀달걀형인 도란형, 창끝처럼 생긴 것인데 길이는 넓이의 몇 배나 긴 피침형, 바늘처럼 가늘고 길며 끝이 예리한 침형, 쐐기모양의 도삼각형인 쐐기형, 창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도피침형, 도란형보다 좁으며 주걱같이 생긴 주걱형, 콩팥처럼 생긴 신장형, 염통처럼 생긴 심장형, 화살처럼 생긴 화살형, 칼의 형태처럼 생긴 극형, 잎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인 도심장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이러한 나뭇잎의 모양은 다양한 조형적 형태로 표출될 수 있고, 디자인의 소재로써 풍부한 조형미를 제공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KNA, 2009)에 의하여 분류된 잎형의 종류도 참고하여 재구성한 나뭇잎의 다양한 조형적 형태는 다음의 (Table 3)과 같다.

Table 3
Figurative form of leaves

둥근
형태
원형 타원형 난형 광타원형 도란형
뽕나뭇잎,
청미래넝쿨잎,
까마귀밥잎
개살구나뭇잎,
노각나뭇잎, 등나뭇잎
구기자나뭇잎
다래나뭇잎,
목련나뭇잎
함박꽃잎 개암나뭇잎,
골담초잎, 매자나뭇잎
백목련나뭇잎
오목형태 도심장형 심장형 신장형 화살형 -
-
괭이밥잎
청사랑초잎
박쥐나뭇잎, 왕머루잎,
메밀잎
참꽃마리잎, 배동잎 고마리잎, 상치잎,
석장풀잎
-
좁은
형태
침형 피침형 도피침형 선형 주걱형
구상나뭇잎, 소나뭇잎,
잣나뭇잎
산복사잎, 마가목잎,
댕강나뭇잎
고추나뭇잎,
산앵두나뭇잎 진달래잎
주목나뭇잎 오리난초잎
갈래
형태
부채형 극형 삼첨엽형 정상엽형 -
-
은행나뭇잎 나팔꽃잎 담쟁이넝쿨잎
백당나뭇잎
단풍나뭇잎,접시꽃잎 -

3. 디자인 계획 및 실행
3.1. 디자인 컨셉

현대 패션은 패션소재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시각 및 촉각과 관련된 심미적 만족을 얻기 위한 노력을 진행 해왔다. 특히 창의적 재질감은 패션디자인에 독특한 미적효과를 주고, 감성적 이미지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수 펠트 기법으로 펠트의 표면 질감에 변화를 주고, 이를 패션 소재로 활용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디자인 모티브로는 펠트의 자연적인 재질적 이미지를 고려하여 자연물 중 형태나 색감에 있어서 풍부한 조형미를 가지고 있는 나뭇잎을 선택하였다. 즉,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분석하여 의상의 실루엣과 실루엣 내부의 선에 잘 조화되도록 재구성, 전개했고 펠트의 심조·부조적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소재표면에 입체적 공간감을 주는 동시에 자수기법을 통해 풍부한 장식적 효과를 주도록 했다. 또한 그 결과를 단순한 형태와 실루엣의 의상에 적용하여 자수 펠트 기법이 적용된 패션 소재의 촉각적, 시각적 질감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도록 하였다.

3.2. 디자인 전개

정진철과 하연(Jeong & Ha, 2000)은 <식물원에서 바라본 나무의 세계>라는 저서에서, 커다란 단풍나무로 꾸민 캐나다 국기라든가 커다란 시이다 나무를 그린 레바논 국기를 보면 이들이 한 나라를 상징하는 깃발을 만들면서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에 대해 잘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나뭇잎은 그 형태만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의 조형성 있는 모티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디자인 모티브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아이템으로는 중세기 후반부터 많이 입어 온 상의의 총칭이자, 현대패션의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재킷 형태로 구현하였다. 색채는 엘레강스(Elegance)한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하여 핑크(Pink)계열, 오렌지(Orang)계열, 레드(red)계열, 블루(Blue)계열, 카키(Khaki)계열, 브라운(Brown)계열을 사용하였고, 각 색감별로 톤인톤(tone in tone)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재킷의 실루엣은 도시적이고 세련된 감성을 위하여 비대칭 구성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였다. 더불어 앞단 여밈도 히든 버튼으로 구성함으로써 고급스러운 감성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조형적 질감 표현이 용이한 양감과 유연성을 지닌 양모 펠트를 사용하였다. 소재 표현 기법으로는 실크 스크린(silk screen) 기법, 염색(dyeing) 기법, 언더 커팅(under cutting) 기법, 자수(embroidery)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펠트의 표현영역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디자인 모티브인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심조·부조적 질감으로 표출시킴으로써 재킷 디자인의 표면 질감을 조형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재킷 디자인 계획은 다음의 (Table 4)와 같다.

Table 4
Design plan

번호 모티프 소스 응용 모티브 표현 기법 소재 색채 스타일
런닝 스티치,
언더커팅기법
양모 white
pink
red
계열
스템 스티치,
레이지데이지
스티치
양모 white
blue
계열
페더 스티치,
언더커팅기법
양모 orang
khaki
계열
페더 스티치,
언더커팅기법
양모 yellow
brown계열

4. 디자인 결과
4.1. 작품 Ⅰ

아이템: 재킷

소재: 양모

색상: 화이트, 핑크, 레드 그러데이션.

표현 기법: 언더 커팅 기법, 런닝 스티치 기법

작품 해설: 본 작품은 철쭉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적용한 디자인이다. 잎의 생김새를 설명하면서 빠뜨릴 수 없는 사실은 꽃 또한 잎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철쭉 나뭇잎은 가지 끝에서 4~5개씩 모여 나고 길이가 5~10㎝로 큰 거꿀 달걀형의 잎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을에 붉은색으로 단풍이 드는 이미지에서 착안하여 꽃의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사랑스러운 감성으로 표출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핑크 색감으로 염색한 양모와 철쭉 나뭇잎 형태로 컷 아웃한 소재와 함께 축융한 압축펠트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재킷의 표면 질감 표현으로 축융된 양모펠트를 철쭉 나뭇잎 형태로 언더 커팅 하여 심조적 질감으로 꽃잎의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레드 그러데이션 색감의 견사를 이용한 런닝 스티치로 나뭇잎의 줄기를 표현하였다. 재킷의 실루엣은 언밸런스(Unbalance)한 소매 구성을 가진 싱글브레스트(Single- breasted)형태로 생동감 있고 조화로운 디자인으로 구현하고자 하였고, 브라이트 톤(Bright tone)의 산뜻하고 발랄한 감성을 가진 재킷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Table 5
WorkⅠ

번호 모티프 전개 및 적용
작품 도식화(단위:㎝)

4.2. 작품 Ⅱ

아이템: 재킷

소재: 양모

색상: 화이트, 블루 그러데이션.

표현 기법: 스템 스티치 기법, 레이지 데이지 스티치 기법

작품 해설: 본 작품은 다릅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적용한 디자인이다. 잎자루 좌우에 여러 개의 작은 잎으로 배열되는 깃꼴겹잎 형태로 봄에는 부드러운 은백색 털로 덮히는 어린 다릅 나뭇잎의 이미지를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감성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양모와 다릅 나뭇잎 형태의 소재와 함께 축융한 압축펠트로 제작하였다. 재킷의 표면 질감 표현으로는 스템 스티치로 나뭇잎의 줄기를 표현하고, 레이지 데이지 스티치로 줄기의 눈꽃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도시적이고 세련된 감성을 위하여 비대칭 구조의 재킷을 구현하였는데, 칼라, 앞단 여밈, 헴 라인을 비대칭으로 구성하였다. 색체도 톤인톤(tone in tone)으로 블루 그러데이션 색감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조적 표면 질감을 가진 패셔너블한 비대칭 실루엣의 재킷 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Table 6
WorkⅡ

번호 모티프 전개 및 적용
작품 도식화(단위:㎝)

4.3. 작품 Ⅲ

아이템: 재킷

소재: 양모

색상: 오렌지 그러데이션, 카키 그러데이션.

표현 기법: 언더 커팅 기법, 페더 스티치 기법

작품 해설: 본 작품은 양버즘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적용한 디자인이다. 양버즘 나뭇잎은 잎맥이 3개로 갈라지는 갈래형태의 잎형을 가지고 있는데, 노랗게 물든 단풍잎의 이미지를 감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기계 니들로 제작된 펠트를 염색하여 사용하였는데, 재킷의 표면 질감 표현으로 양버즘 나뭇잎의 형태를 실크 스크린으로 표현한 펠트위에 양버즘 나뭇잎의 형태로 언더 커팅한 라이트 카키(Light khkai)펠트를 공그르기 바느질 기법으로 고정시켜 심조적 표면 질감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페더 스티치로 나뭇잎의 잎맥을 오렌지와 카키 색감으로 부분적으로 묘사하였다. 색채는 엘레강스(Elegance)한 이미지를 위하여 오렌지색감을 메인컬러로 사용하였고, 서브컬러로 카키를 톤온톤(tone on tone)으로 사용하였다. 재킷의 실루엣은 변형된 숄칼라형태의 칼라와 캡(Cap)소매로 구성된 더블브레스트(Double- breasted)형의 재킷으로 품위 있고 고급스러운 감성을 가진 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Table 7
Work III

번호 모티프 전개 및 적용
작품 도식화(단위:㎝)

4.4. 작품 Ⅳ

아이템: 재킷

소재: 양모

색상: 엘로우, 브라운 그러데이션.

표현 기법: 언더 커팅 기법, 페더 스티치 기법

작품 해설: 본 작품은 상수리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적용한 디자인이다. 긴타원형 모양의 잎형으로 갈색으로 물든 단풍잎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기계 니들로 제작된 펠트를 염색하여 사용하였고, 재킷의 표면 질감 표현으로 상수리 나뭇잎의 형태로 언더 커팅한 베이지 펠트를 공그르기 바느질 기법으로 고정시켜 심조적 표면 질감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회화적 분위기를 표출하고자 엘로우와 브라운 그러데이션 색감으로 붓염을 하고 페더 스티치로 나뭇잎의 잎맥을 부분적으로 묘사하였다. 색채로는 브라운 그러데이션 색감을 메인 컬러로 사용하고 옐로우를 서브컬러로 사용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딥톤(deep tone)으로 클래식(Classic)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재킷은 어깨를 덮는 정도의 짧고 작은 케이프가 달린 케이플릿 재킷(Capelet jacket)의 형태로 클래식하면서 발랄한 감성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내추럴한 톤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재킷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Table 8
Work IV

번호 모티프 전개 및 적용
작품 도식화(단위:㎝)

5. 결론 및 제언

현대 패션은 물리적 효용가치 이외에 심리적 효용가치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패션디자인에서도 소비자의 미적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심미성이 부각된 디자인 개발이 미적인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조형미가 강조된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의 미적인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기위해서는 패션소재의 고급화, 차별화가 중요하다. 이러한 현 시대적 상황에서 자수 펠트 기법은 감성 패션 소재 개발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펠트는 형태 표현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추구할 수 있으므로 소재 표면 질감에 조형적 특성을 표출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자수 펠트 기법은 고급스럽고 풍부한 표면효과로 인해 미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둘째, 나뭇잎은 조화로운 형태로 스스로를 진화시켜 나가는 유기적 형태로써 다양한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나뭇잎의 형태적 조형미를 디자인에 적용한 결과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풍부하고도 효과적인 발상의 소스와 모티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션소재의 표면 질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기위하여 적용된 언더 커팅(under cutting) 기법과 스티치(Stitch) 기법은 펠트 기법의 표현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었다. 즉, 펠트의 질감을 평면에서 입체적 질감으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소재 표현 기법이었으며 풍부한 표면 효과를 줄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기법들을 융합시킨 심미적 소재 표현 기법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함으로써 인간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디자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길 기대한다.

References
  1. 1 . Brown, V. (1996). Feltwork. London : Lorenz Books.
  2. 2 . Gong, S. B. (2001). 소재를 알면 디자인이 보인다〔Knowing material helps design〕. Seoul : TexHerald.
  3. 3 . Hagen, C. A. & Johnson, J. (2010). Fabulous Felted Scarves. New York : Lark Crafts.
  4. 4 . Jeong, J. CH. & Ha, Y. (2000). 식물원에서 바라본 나무의 세계. 〔The world of trees at the botanic gardens〕Jeonbuk ; Wonkwang university Nature Botanical Garden.
  5. 5 . Jo, G. H. & Lee, H. S. (2004). 패션미학〔Fashion aesthetics〕. Seoul : Soohaksa.
  6. 6 . Kim, H. (2009). Morel버섯류의 이미지(Image)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A Study of fashion design based on motive of mushroom with felting] (Unpublished Master’ 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7 . Kim, M. (2004).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Dang-cho pattern on the roofing tile of unified sill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8 . Lee, CH. B., Kim, Y. S., Kim, J. S., & Lee, J. S. (1985). 植物分類學. Seoul : hyangmunsa.
  9. 9 . Lee, S. CH. (1992). 텍스타일 디자인〔Textile Design]. Seoul : Chohyungsa.
  10. 10 . Lee, Y. (2012). 펠트를 이용한 조형 표현 [A Study of figurative expression by using fe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1. 11 . Song, B. S. (1997). 현대섬유미술[Contemporary fiber art]. Seoul : Designhouse.
  12. 12 . Song, H. S. (1996). 한국의 나무문화[Wood culture in Korea]. Seoul : Moonyesanchaek.
  13. 13 . Smith, S. (2006). Felt to Stitch. London : Batsford.
  14. 14 . White, C. (2007). Uniquely Felt. North Adams, MA : Storey Pub.
  15. 15 . Yun, J. B. (2010). 나뭇잎도감[Illustrated leaves]. Seoul : Jinsun publishers.
  16. 16 . Yun, J. (2012). 나무의 표피를 표현한 펠트 작품 연구[A Study on Felt Works Representing the Barks of Tr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uangzhou, Korea.
  17. 17 . http://www.etsy.com/shop/ArianeMariane.
  18. 18 . http://www.etsy.com/shop/lovemaude.
  19. 19 . http://ccmhats.com/2012/03/20/louisas-embroidered-felt-hat/.
  20. 20 . http://www.zimbio.com/Handbags,+Purses,+and+Bags/articles/oik4XZjsiZQ/+embroidered+wool+cape.
  21. 21 . http://rivrjzol080.diandian.com/post/2012-06-01/40027209635.
  22. 22 . http://www.etsy.com/listing/37136436/art-fiber-cuff-bracelet-handembroidery?ref=shop_home_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