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9, No. 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tement Design for Metabolic Syndrome Health Information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 디자인 개발 연구
  • HoSeung Yang : Department of Visual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 호승 양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 EunSil Yi : Department of Visual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 은실 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Background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prevalence ratios of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yperlipidemia, and etc. are continual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ing population and Koreans’attraction to a westernized lifestyle. The result has been an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as the total amount of doctor bills among annual health insurance fees increases. By this observation, this study mainly considers the need for the main targets to engage in proper behaviors and be provided with clear information so that they may take care of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health on their own.

Methods This thesis, based on the key findings from the research titled "Find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s leading to the prevention,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diseases," aims to identify the fundamentals of improving health brochure design. In addition, this paper draw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brochures that were analyzed and presents an improved brochure design in terms of the structure, contents, graphs, and style based on the results. To examine the brochure this thesis developed, we conducted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patients who have metabolic syndrome factors and chronic diseases to perfect the final version of the health brochure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Results Implication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overall graphic and design effects are excellent and the respondents living with metabolic syndrome responded high to the positive answers on the same degree of information. Main Improvements after Validating the Prototypes

This new design strengthens the contents by allowing a patient to know his/her disease status by allowing self-comparison with a patient who has the same disease, and it ensures visibility by magnifying drawings and the font size based on the age of the patient.

Conclusion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mprove the design of brochures in order to convey information effectively such as the warning signs of disease, their progress, etc., against th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hich is an early stage of diseases, as a way to prevent diseases and promote people’s maintenance of better health after the conducting of a national health screening. This health brochure aims not only to provide a better design but also to help people sustain a healthy life while cutting down the social costs of medical expenses. For these purposes this design will be the foundation of mobile health guidance and play a crucial role linking community businesses related to exercise, education, food, and etc.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인구의 고령화 및 서구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도 늘어나 의료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질병의 사전적 예방차원으로서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의 전단계인 대사증후군 안내문의 역할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경각심과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수요자에게 명확한 정보전달과 행동유도를 고려한 안내문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과 의료비 부담감에 대한 사회적 비용절감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자의 예방, 관리, 이행의 단계로 이어지는 건강관리 서비스 상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리서치에서 제시된 주요 발견점(key findings)을 토대로 건강안내문 디자인 개선의 기본 방향을 파악하였다. 현재 발송되고 있는 건강안내문을 조사하여 대상자를 중심으로 안내문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중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을 발송 순서로 나열하여 안내문의 목적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다음 단계로 안내문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안내문의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성, 내용, 그래픽과 형식이 개선된 안내문을 제시하였다.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Colin Ware(2010)의 시각적 정보습득에 관한 디자인이론 등 정보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그래픽의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정보 우선순위에 대한 레이아웃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대사증후군 안내문이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8명의 대사증후군과 만성질환자를 상대로 설문 조사와 함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건강안내문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결과 분석의 시사점 전반적인 그래픽, 디자인 효과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정도의 정보 표현에도 대사질환군의 긍정적 답변이 높게 나타났다. 심층인터뷰조사 결과 (주요개선의견) 그림이나 글자가 더 커졌으면 좋겠다는 의견과 동 질환자와의 비교를 통해 나의 상태를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3단으로 접히는 용지 형식이 불편하다는 의견과 상담을 위한 연락처가 더 크게 강조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 프로토타입 검증 후 주요 개선사항 동 질환자와의 비교를 통해 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콘텐츠를 보강하고, 대상자 연령을 고려한 그림과 글자크기 확대로 시인성을 확보하였으며, 건강서비스 관련 연락처 등의 중요정보를 강조하였고 문안 축소를 통해 정보전달 간소화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국가건강검진 실시에 따른 실효성 있는 예방·건강증진 관리를 위하여 질병의 초기 단계인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질병의 경각심과 진행과정 등 실효성 있는 정보전달을 위하여 안내문의 디자인을 개선하였다. 수요자관점에서 자발적인 치료와 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체계를 재수립 하였고, 질병의 단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질병의 단계를 도식화 하여 한눈에 본인의 건강 상태를 인지하게 하고, 각각의 수요자에게 Customized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정보전달의 주목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안내문을 제안하였다. 건강안내문은 단순한 디자인 개선에서 더 나아가 국민의 건강한 삶과 의료비에 대한 사회적 비용절감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향후 모바일 건강안내문 개발의 기반이 되고 건강 개선을 위한 운동, 교육, 식품 등 다양한 지역사회산업과 연계되는 중심점이 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National Health Insurance, Health Information Graphic, Metabolic Syndrome Report, Information Design Guidance, 국민건강보험, 건강안내문, 대사증후군, 정보디자인 안내문.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06 Sep, 2016
Revised: 25 Oct, 2016
Accepted: 31 Oct, 2016
Printed: Nov, 2016
Volume: 29 Issue: 4
Page: 139 ~ 151
DOI: https://doi.org/10.15187/adr.2016.11.29.4.139
Corresponding Author: EunSil Yi (yes0606@seoultech.ac.kr)
PDF Download:

Funding Information ▼
Citation : Yang, H., & Yi, E.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tement Design for Metabolic Syndrome Health Informatio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9(4), 139-151.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 1. 연구 배경과 목적

인간백세시대에 접어들면서 건강에 대한 문제는 개인의 관심사를 넘어 국가 정책적인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유병장수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노년의 삶은 질병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와 함께 늘어나는 성인병-고혈압, 당뇨병 또한 사회적 비용 차원에서 국가경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건강검진은 양적인 지원 규모에 비해 목표 질환 부재, 표준 검진정보의 부족, 검진 결과의 낮은 신뢰도, 사후관리 미흡 등의 주요 문제점으로 인하여 의료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와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질병의 사전적 예방차원으로서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의 초기단계인 대사증후군 단계의 관리는 사회적 비용 절감은 물론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필수적인 내용이 아닐 수 없다.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내당능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죽상동맥 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한 개인에게서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을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은 비만이나 운동부족과 같이 생활 습관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전적인 요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대사증후군은 식사요법과 운동 관리를 통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건강위험요인을 인식하고, 만성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건강검진 이후 사후관리는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생애주기별 건강검진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연계사업의 하나로서 건강안내문 발송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안내문은 대사증후군, 유질환자, 만성질환자 및 합리적 의료이용 대상자에게 현재 상황, 상담 방법, 건강 개선 방안 등을 안내하는 인쇄물로 건강검진 이후 우편으로 발송된다. 현행 실시하고 있는 건강안내문은 만성질환의 사전 예방적인 대처의 중요한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건강 안내문을 받은 유질환자 18만 명 중 5만 명만 상담에 응할 정도로 고객 유실률이 매우 높아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민건강공단과 한국디자인진흥원은 한국리서치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자의 예방, 관리, 이행의 단계로 이어지는 건강관리 서비스 상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리서치를 실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건강안내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건강안내문이 본연의 역할과 목적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1. 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여러 건강안내문 중에서 특히 각종 만성질환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대사증후군의 안내문을 대상으로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사증후군 안내문은 건강안내문 중 환자가 가장 먼저 받아보게 되는 안내문이며 가장 많은 대상자에게 발송되는 안내문이기 때문에 건강 개선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먼저 선행 조사에서 제시된 주요 발견 점(key findings)을 토대로 건강안내문 디자인 개선의 기본 방향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을 발송 순서로 나열하여 안내문의 구성, 내용, 그래픽과 형식을 살펴보고 안내문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안내문의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성, 내용, 그래픽과 형식이 개선된 안내문을 제시하였다.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Colin Ware(2010)의 시각적 정보습득에 관한 디자인이론 등 정보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그래픽의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정보 우선순위에 대한 레이아웃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대사증후군 안내문이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8명의 대사증후군과 만성질환자를 상대로 설문 조사와 함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건강안내문을 완성하였다.

2.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

건강안내문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 이후 수검자의 건강의 상태에 따라 대상자 별로 분류하여 보내는 정보지로서 수검자에게 자신의 건강정보를 알려주어 질병의 사전적 예방과 사후적 관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안내문은 질병(당뇨병, 고혈압)으로 발전되지 않도록 환자에게 경각심과 함께 건강을 위한 정보를 주고 꾸준한 치료를 유도하여 수요자의 자발적 건강관리에 효과를 줄 수 있어야 한다.

대사증후군 안내문 발송 프로세스는 [그림 1]과 같다. 먼저, 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한 개라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대사증후군 1차 안내문이 발송된다. 대사증후군 2차 안내문은 1차 안내문을 받고 건강상담을 진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자기관리 지침서’와 함께 발송 된다. 2차 안내문 다음에는 자신의 건강 습관을 기록하며 개선해 나가기 위한‘나의 맞춤 건강노트’와 함께 3차 안내문이 발송 된다.


Figure 1 Mailing procedure and classify of Metabolic Syndrome Brochure
2. 1. 대사증후군 1차 안내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1개 혹은 2개를 갖는 대사증후군 주의군과 위험요인을 3개 이상 갖는 대사증후군 위험군을 대상으로 각각의 대상에 맞춰 발송되는 첫 번째 건강안내문으로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내용과 관리요령을 설명해 주는 리플릿과 함께 발송된다. 대사증후군 1차 안내문의 내용은 1.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업 안내, 2. 대사증후군의 일반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그래픽, 3. 수검자의 대사증후군 요인을 개수를 알려주는 내용, 4. 상담안내 순서로 나열되어있다.


Figure 2 Metabolic Syndrome Brochure for primary step : Suspect Group ( Left ), Metabolic Syndrome Group ( Right )
2. 2. 대사증후군 2차 안내문

대사증후군 1차 안내문을 받고 전화 상담을 한 사람들에게 발송되는 안내문으로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자가 관리 지침서”와 함께 두 장의 안내문이 발송된다. 첫 번째 장의 안내문은 ‘자가 관리 지침서’에 대한 소개로서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음식습관, 운동관리 요령이 간단히 소개되며, 두 번째 장의 안내문은 ‘자가 관리 지침서’의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별 관리 요령이 텍스트로 나열되어 있다.


Figure 3 Metabolic Syndrome Brochure for second step
2. 3. 대사증후군 3차 안내문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나의 맞춤 건강노트” 발송 시 함께 동봉되는 안내문으로 ‘나의 맞춤 건강노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식품 교환표 및 나의 생활습관점검표의 사용방법을 텍스트 형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Figure 4 Metabolic Syndrome Brochure for third step
3.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 디자인 분석 및 문제점 도출

대사증후군 안내문은 목적과 기능에 관계없이 모두 같은 내용으로 표현되어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1차로 발송되는 안내문은 환자의 건강정보와 공단의 건강서비스 정보를 알리고 있다. 2, 3차에 발송되는 안내문은 각각 대사관리지침서와 나의 맞춤건강노트에 대한 설명 및 대사증후군 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의 안내문이다. 따라서 안내문을 발송목적에 따라 정보형, 관리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1차에 발송되는 안내문은 수검자에게 대사증후군요인이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와, 2차, 3차에 발송되는 안내문은 건강관리를 위한 관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건강안내문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텍스트 위주의 흑백 인쇄물은 정보전달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1차 안내문은 텍스트의 흑백 인쇄물의 동일한 디자인으로 주의군과 위험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 1차 안내문의 목적이 환자의 건강상태를 알려 경각심을 유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요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며, 환자의 건강정보 요소가 가장 먼저 전달되어야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그래픽을 활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며, 수요자가 쉽게 인지되도록 개선해야 한다. 또한 1차 안내문에서 자신의 상태가 정상과 얼마나 벗어났는지, 개인별 대사증후군 요인의 구체적 수치를 알 수 없다. 지식경제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주관으로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결과서 리디자인을 위해 실시한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서비스 디자인(2012)에 따르면 수검자들은 결과지를 꼼꼼히 읽어 내용을 이해하기 보다는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쉽고 정확하게 빨리 얻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디자인진흥원 지원을 받아 한국리서치에서 서울지역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만성질환자 서비스 디자인 조사’[표 1]에서 추출된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기존 안내문이 갖는 문제점을 구성, 내용, 그래픽 및 형식으로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표 2].

Table 1
The Korea Research (2015) Key Findings from Workshops

No Key Findings Needs Solutions
1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부정적 이미지를 보완, 리브랜딩 언제든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친근한 보건소’ 같은 이미지 희망 일관성 있는 Communication 사용
2 양과 질적인 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한 계획 제고 要 질병 기준을 세분화하여 해당 질병율률이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더욱 집중적으로 구성해야 함 더 많은 대상자들과의 접촉을 위해 서비스 안내문 제공 Route를 보다 확대하여 홍보
3 각각의 수요자에게 Customized 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가치 증대 및 활성화 도모 나의 건강정보와 상태의 심각성 인지 필요 (글이 아닌 그래프, 이미지 등 시각적 자료원함) 안내문 색상 구별
안내문과 검진표의 쉬운 용어 설명 및 용어 일치화
4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일방적인 Communication에서 상호 Communication으로 변화 필요 안내문을 보험 홍보나 광고물로 여김 업무시간 중에 SMS나 전화 상담을 받기 어려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액션 플랜 제공 메시지 문구의 고도화 (매뉴얼화)
5 프로그램/서비스 증설 및 수정/폐지 검토를 통하여 서비스 만족도 향상 제고 일이 바쁜 수요자들에게 건강관리노트가 숙제로 느껴짐 어플리케이션이나 SNS를 통해 지속적인 안내 및 정보 확인 원함
6 수요자들에게 편리한 기존의 건강관련 App과 연동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 노트에 매번 수기로 작성하는 일이 번거롭고 귀찮음 연동 및 제휴 된 App에서 나만의 건강관리

Table 2
Improvement Proposal and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ISSUE SOLUTION
구성 모든 안내문이 목적과 기능에 관계없이 같은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목적과 기능에 따라 정보형, 관리형으로 구분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다.
2차 안내문 2장의 내용이 함께 발송되는 지침서와 중복된다. 2장의 안내문을 하나로 합친다.
2, 3차 안내문의 내용이 중복된다. 2, 3차 안내문의 중복내용을 하나로 합쳐 안내문의 효율성을 증대한다.
내용 안내문의 타이틀이 일반적인 인사문구로 되어있다. 중요한 정보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다.
안내문의 전반부가 일반적인 국민건강 관리공단의 홍보내용으로 되어있다. 안내문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순서를 나열하여 전달력을 높인다.
1차 안내문에서 개인별 대사증후군 요인이 개수로만 제시되어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개인별 대사증후군요인의 명확한 수치를 알려 수요자의 건강상태를 인지시킨다.
1차 안내문에서 건강서비스, 지역연계에 대한 정보가 미약하다. 1차 안내문은 상담과 건강서비스 등의 정보적인 내용을 부각한다.
내용이 평이하여 경각심을 유발하는 요인이 없다. 경각심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추가한다.
그래픽 모든 안내문이 텍스트 형식으로 되어있어 중요한 내용이 강조되지 않는다. 정보그래픽을 활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강조한다.
모든 안내문이 흑백으로 되어 있어 중요한 내용이 강조되지 않는다. 컬러부분을 미리 인쇄한 양식지 방법을 활용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1차 안내문에서 주의군과 위험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 1차 안내문에서 건강상태에 따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한다.
중요한 정보가 먼저 전달되지 않는다.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전달 순서를 정한다.
1차 안내문에서 자신의 상태가 정상과 얼마나 벗어났는지 알 수 없다. 정상인과 자신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그래픽을 활용한다.
1차 안내문에서 개인별 대사증후군 요인의 구체적 수치를 알 수 없다.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는 요인을 도식화하여 개인별 건강 정보 전달력을 높인다.
1차 안내문에서 상담 연락처와 연계서비스가 강조되지 않는다. 다양한 접점을 고려한 상담방법을 정보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목성을 강화한다.
형식 2, 3차 안내문은 갱지방식의 인쇄물로 쉽게 버려진다. 2, 3차 안내문의 인쇄방식과 표현방식을 개선하여 장기 보관을 유도한다.

4. 안내문 프로토타입 개발

오병근, 강성중(2008)에 따르면 서식을 작성하는 사람들 중에는 글을 읽기 힘들거나 복잡한 그래픽이나 다이어그램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도 있기 때문에 다수가 이해하기 쉽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따라서 텍스트 위주의 안내문을 피하고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을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화 하였고, 색채정보는 목적과 의미에 맞게 이용자들에게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4. 1. 1차 대사증후군 안내문

Colin Ware에 따르면 사람의 눈은 카메라와 같은 도구 일뿐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뇌에 의해 필요한 것에만 주의를 기울이는 도구이다. 즉, 본다는 것은 몸과 머리와 눈동자를 움직이고 입력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더 중요하게 처리할 것인지를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선택하는 매우 능동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능동적 시지각(active vision)" 이라고 한다. 건강안내문의 디자인에서는 수요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우선순위로 먼저 인식하도록 하는 팝아웃 효과를 위하여 신호등 컨셉을 적용하였다.

색채는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 연상, 상징 등 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제 색채정보로서 신호등은 모든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신호체계로 쉽고 강력하게 정보를 전달한다.

빨강, 노랑, 초록색은 각각 위험, 주의, 건강의 상태를 수요자에게 즉각적인 인지를 유도하게 하는데 건강위험 요소가 2개~ 3개인 대사증후군 주의군은 노란색 신호등을 적용하고, 건강위험요소가 4개~5개인 대사증후군 위험군에게는 빨간색 신호등을 적용하여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위기감을 인지하도록 적용하였다.


Figure 5 Design Concept of Health Signal

Colin Ware(2010)에 따르면 우리가 어떤 대상을 볼 때 결코 전체를 한 번에 보지 못하며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한 번에 아주 작은 부분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먼저 찾고 그 다음 그 정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찾는 순서로 인지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보를 전달할 때는 중요한 순서로 나누어 한 번에 하나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안내문의 구성을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고 가장 중요한 정보인 수검자의 상태, 즉 대사증후군 주의군 혹은 대사증후군 위험군을 적색, 혹은 황색 원으로 제시하여 가장 먼저 눈에 뜨이도록 하였다. 그 다음 중요 정보인 건강관리의 필요, 수검자의 예상수명 등을 검정 박스안에 배치하였으며 세부 사항은 그래픽과 텍스트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디자인은 흑백 프린터에서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컬러 부분을 미리 인쇄한 양식지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Figure 6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Suspect Group: Before Improvement ( left ), After Improvement ( Right )

Figure 7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Risk Group: Before Improvement ( left ), After Improvement ( Right )
4. 2. 2, 3차 안내문 디자인

건강문고 책자와 함께 발송되는 안내문은 같은 시기에 발송되는 대사증후군 2차 안내문과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버려지기 쉬워 책갈피 형태로 디자인하여 지속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책갈피 형식의 안내문은 건강문고와 함께 발송되어 우편물의 비용을 절감하며, 지속적인 보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8 Metabolic Syndrome Brochure for second, third step and Healthcare Instructions: Before Improvement ( Above ), After Improvement ( Below )
5. 안내문 프로토타입 검증

국민건강보험공단 실무자들과 협의 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인 안내문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수용성 높은 디자인 결과물을 위하여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관련 실험군 중 대사증후군 판정자와 대사증후군 경험이 있고 현재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실험자 8명을 의도적 표집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실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심층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고 안내문을 확인하였을 때 불편했던 점이나 개선되었으면 하는 부분에 대한 의견을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일시: 2015. 12. 07, 장소: 한국디자인진흥원, 인원: 8명)

5. 1. 설문 결과 및 분석

개선된 안내문에서 질병에 대한 시인성과 안내문 의 가독성 및 정보성, 이해성, 연계성에 대한 설문으로 내용은 [표 3]와 같으며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Figure 9 Survey Results Graph

5점 척도의 설문내용을 분석한 결과 개선된 안내문은 경각심, 중요한 정보 전달, 보기 좋은 디자인, 쉬운 이해도 등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세부적인 이해도는 좀 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내용은 [표 4] 설문결과 분석과 같다.

Table 4
Analysis Survey Results

설문내용 긍정 부정 분석
1. 안내문이 경각심을 갖게 하는가? 100% 0% 안내문이 경각심을 갖게 하는 효과가 좋다.
2. 안내문의 글자가 읽기 쉬운가? 79% 7% 글자 크기와 가독성에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3. 중요한 정보가 강조되었는가. 93% 7% 중요한 정보 전달이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4. 그래픽과 컬러의 정보전달 효과 60% 7% 그래픽과 컬러 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5. 각 증상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 57% 21% 이해도는 긍정적이나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6. 상담을 위한 정보 전달 효과 79% 0% 상담을 위한 정보 안내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7. 보기 좋은 디자인인가 79% 0% 디자인에 대한 반응은 상당히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8.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운가. 93% 0% 전반적인 내용 이해도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5. 2. 심층인터뷰 결과 (주요개선의견)

심층인터뷰 결과를 안내문에 반영하였으며 반영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그림이나 글자가 더 커졌으면 좋겠다.
  • 2. 동 질환자와의 비교를 통해 나의 상태를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 3. 3단으로 접히는 세로용지 형식이 불편해 보인다.
  • 4. 상담을 위한 연락처가 더 크게 강조되었으면 좋겠다.
6.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 최종 결과물

최종 결과물은 심층인터뷰를 반영하였다. 대사증후군이 시작되는 나이에 따른 시력을 고려하여 텍스트의 양 을 줄이고 그래픽을 단순화 하였다.

6. 1. 1차 대사증후군 안내문 최종결과물

1차 대사증후군 안내문은 그림이나 글자의 크기를 크게 하였고, 수요자 관점에서 필요이상의 정보그래픽을 삭제하였으며, 동 질환자와 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그래픽을 단순화 하였다. 3단으로 접히는 세로용지를 가로형태로 바꾸어 정보를 구분하였고, 상담을 위한 연락처를 단락으로 구분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개인별 대사증후군 요인별 수치를 추가하였다. 질병의 단계별 맵을 개발하여 수요자의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하였다.


Figure 10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Suspect Group

Figure 11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Risk Group
6. 2. 2, 3차 대사증후군 안내문 최종결과물

2, 3차 대사증후군 안내문은 책갈피의 기능 외에 냉장고에 붙여서 음식물에 대한 경각심과 지속적인 보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쇄 제작형태를 보완하여 자석형 안내문으로 만들었다. 또한 이 시기에 발송되는 건강안내문은 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으로서 대사증후군에게 유용한 음식의 모양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냉장고에서부터 식단관리가 유도되도록 하였다.


Figure 12 Effect of Healthcare Instructions and second, third step Brochure for Metabolic Syndrome
7.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의 국민건강서비스 실시에 따른 실효성 있는 예방·건강증진 관리를 위하여 질병의 초기단계인 대사증후군의 안내문의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1. 수요자관점에서 수검자에게 중요한 정보가 먼저 전달되도록 하여 정보의 전달력을 향상시켰다. 2. 팝아웃 효과를 주는 신호등 콘셉트를 적용함으로써 정보전달의 주목성을 높여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경각심을 주려는 안내문의 목적이 향상되었다. 3. 질병의 단계를 정보그래픽으로 표현하여 수검자가 한눈에 본인의 건강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였다. 4. 내용이 중복되어 쉽게 버려지는 인쇄물 안내문은 책갈피형 안내문으로 개선하여 정보가 지속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하였다. 5. 컬러 부분이 먼저 인쇄된 양식지 형식을 채택하여 비용의 효율성과 정보 전달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건강안내문의 유실률의 근본적인 해결은 인쇄물 방식이 아닌 모바일을 통한 전달방식에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황에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했으며 여기서 제시된 정보 전달 방식과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인포그래픽 요인들은 향후 건강안내문이 새로운 미디어로 발전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정한 대사증후군 건강안내문의 디자인은 유질환자, 만성질환자 및 합리적 의료이용 대상 안내문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 될 수 있다.

제언으로 사업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역 연계서비스의 활용성 강화와 접근성이 높은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사후관리 후 건강한 건강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과 국민의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매체의 변화와 건강위험연령의 연소화를 고려한 모바일 건강정보서비스 등 건강안내문의 미디어에 대해서도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이 국민건강의 질적 향상과 의료비에 대한 국가적 비용 부담에 대한 해소의 방안으로 자리매김 하길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done by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Fund.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1 . Choi, M. K. (2011). A Study on the Apt Bill Redesign for Contributing to the Change of Energy Sav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 (2), 583-598.
  2. 2 . Giardina, M., & Medina, P. (2013). Information graphics design challenges and workflow management. Online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Media Technologies, 3 (1), 108.
  3. 3 . Hankook Research. (2015). A sturdy on Services Design Chronic Illness. Seongnam: kidp.
  4. 4 . Ha, K. S. (2014). The Reminding Words Evaluation Method for Icon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64-72.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064]
  5. 5 . Harrison, L., Reinecke, K., & Chang, R. (2015). Infographic aesthetics: Designing for the first impression. In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87-1190). ACM. [https://doi.org/10.1145/2702123.2702545]
  6. 6 . Lee, L., & Choi, M. K. (2011). A Study of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Stylized in Korean 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2), 411-423.
  7. 7 . Oh, B. G. (2013). Visible knowledge knowledge design. Seoul: vizandbi.
  8. 8 . Oh, B. G., & Kang, S. J. (2008). Textbook of Information Design. Seoul: ahn graphics.
  9. 9 . Solli, M., & Lenz, R. (2011). Color emotions for multi-colored images. Color Research & Application, 36(3), 210-221. [https://doi.org/10.1002/col.20604]
  10. 10 . Suk, S. S., & Shin, D. J. (2015). Redesigning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to Utilize the User Experience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5 (2), 245-256. [https://doi.org/10.17280/jdd.2015.15.2.024]
  11. 11 . Park, I. H. (2012). Analysis on the level of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OECD countri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2(4), 538-560. [https://doi.org/10.4332/KJHPA.2012.22.4.538]
  12. 12 . Richard H. Thaler, Cass R. Sunstein. (2008).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Seoul: leadersbook.
  13. 13 . Lyu, K. G., Sun, D. E., & Kim, H. C. (2011). Collecting and Analyzing Color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Semantic Information Model.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38 (1C), 232-235.
  14. 14 . Siricharoen, W. V. (2013). Infographics: The new communication tools in digital age.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Technologies and Business on the Web (EBW2013) (pp. 169-174). The Society of Digital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https://doi.org/10.4018/ijeei.2013040104]
  15. 15 . KIDP. (2013).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
  16. 16 . Ware, C. (2010). Visual thinking: For design. Morgan Kauf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