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36, No. 1

NASAD 인증 기준의 국내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국내대학 디자인 교육 품질 향상 시스템 가능성 재고 : S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Domestic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based on NASAD Certification and Re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Case Study of S University
  • Yeoyong Kim : Department of Design, BK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 김 여용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BK연구교수, 서울, 대한민국
  • Sungyun Jang : Department of Desig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 장 성연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서울, 대한민국

연구배경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 품질 점검 필요성이 제기되는 현상에 기반하여 해외 점검 프로그램의 하나인 NASAD의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국내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점검 및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해당 점검 형태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체 대학 디자인 교육 향상 점검 프로그램 도입 논의의 기초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NASAD 핸드북에서 제시하는 교과과정을 기준으로 두 가지 관점의 분석을 진행한다. 첫 번째, NASAD에서 제시하는 교과과정 비율을 기준으로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비율의 부합 여부를 확인한다. 두 번째, NASAD에서 제시하는 필수 요구 역량과 S대학 산업디자인학부의 교과과정 및 기초교양교육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과과정의 부합 여부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NASAD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비율을 확인한 결과 교과과정을 공급하는 관점에서는 특정한 조건에서 기준에 부합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합대학의 특성상 학생 개인의 선태의 폭이 넓어 수강의 관점에서는 교과목 비율의 유의미성에 의문을 가진다. NASAD가 제시하는 필수 요구 역량과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교과과정을 비교한 결과, 일부 미비한 항목과 부재한 항목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더불어 NASAD의 상세한 기준과 다양한 대학의 교육 목표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시사한다.

결론 연구는 향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디자인 대학 교육 품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NASAD 핸드북과 같은 상세 기준과 각 대학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기 위한 보완적 기준 제안의 필요성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국내 디자인 대학의 내실화 및 국제적 경쟁력을 위하여 디자인 대학 교육 품질 향상 프로그램이 하나의 중요한 제도가 될 수 있음을 공론화하고, 각 대학별 교육 목표에 따라 변화하는 인재상에 대응하는 디자인 교육 교과과정 연구와 이를 점검 가능한 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ranslated

Background This study inspects and analyze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Design at S University in South Korea based on the guidelines of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Art and Design(NASAD), one of the overseas inspection programs, based on the need for design education quality inspection.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inspection type in South Korea and to induce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a design education improvement inspection program.

Methods The analysis of two perspectives is conducted based on the curriculum criteria presented in the NASAD handbook. First, based on the curriculum ratio presented by NASAD, we checked whether the ratio of the curriculum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at S University is consistent. Second, we checked whether the curriculum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of S University and the Institute of Basic Culture and Education meets NASAD's 'General competencies and essential competencies'.

Result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major curriculum as a standard of NASA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atio that meets the standard under specific cond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ing the curriculum.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general university, the range of individual students' attitudes is wide. Thu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ratio cannot be confirmed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NASAD's 'General competencies and essential competencies' with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we confirmed that discussion on the supplementation of some insufficient items and absent items was necessary. In addition,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ailed standards of NASAD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various universities were suggested.

Conclusions The study reveals the need to propose a complementary criterion to meet the standards such as NASAD's handbook and each university's educational goals when developing a design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program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in the futur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publicized that the design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program can be an important system for the internalization of domestic design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the research of the design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mprovement programs that can be checked, will be active in response to the changing tal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university.

Keywords:
NASAD,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Design Education, 나사드,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디자인 교육.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04 May, 2022
Revised: 10 Nov, 2022
Accepted: 10 Nov, 2022
Printed: 28, Feb, 2023
Volume: 36 Issue: 1
Page: 75 ~ 87
DOI: https://doi.org/10.15187/adr.2023.02.36.1.75
Corresponding Author: Sungyun Jang (jang7047@snu.ac.kr)
PDF Download:

Funding Information ▼
Citation: Kim, Y., & Jang, S. (2023). Analyzing the Domestic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based on NASAD Certification and Re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Case Study of S Universit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6(1), 75-87.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대학 평가 인증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중요 활동 중 하나이다. 행정적으로는 2007년 「고등교육법」 제11조의 2에 평가와 관련한 규정을 신설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2009년 4년제 대학 자체평가가 전면 시행되었으며, 2010년부터 외부 평가 인증에 착수하여 프로그램 평가 형식의 평가 인증제가 진행되고 있다(Seo, 2017). 이와 병행하여 국내 일부 대학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및 질 제고를 위한 대학 자체 교육 인증제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가 인정하는 외부 인증 평가 및 점검 제도는 경영학, 공학, 의학, 간호학 등의 학문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디자인학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시행되는 제도는 없다.

국외 사례의 경우, 영국의 QAA, 미국의 NASAD 등 미술 및 디자인 분야의 여러 평가 기관을 통해 많은 대학들이 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 대학의 신뢰도를 외부에 확인시키고 있다. 이를 인지한 국내 디자인계는 2009년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의 주관 아래 21세기디자인포럼을 개최하여 디자인 인증제 및 그에 따른 점검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디자인 저널 셰지(She-ji)는 2020년 봄 디자인 교육 연구 특집에서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인 교육의 변화에 주목하여, 급변하는 시대상에 대응하는 디자인 교육의 국제적인 움직임을 드러낸다. 이에 반해 국내 디자인 교육계에서는 거시적인 관점으로 인증 제도와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던 2009년 포럼 이후 국내 디자인 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 인증 및 점검에 대해 논의가 지속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해외 인증 프로그램 기준으로 국내 디자인 교육을 점검하면 디자인 교육의 현상과 해외 인증 프로그램의 적합성 여부를 함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이를 탐구하기 위해 해외 점검 프로그램 중 가장 상세한 가이드를 가진 NASAD의 기준으로 국내 S대학 디자인학부 교과과정을 대상으로 점검 및 분석하여 해당 점검 형태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체 대학 디자인 교육 향상 점검 프로그램 도입 논의의 기초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연구 범위는 NASAD가 제시하는 교과과정 기준으로 S대학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교과과정을 자체평가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인증 및 평가는 여러 단계의 점검 절차를 가지는데, 첫 단계는 각 인증 및 평가기관이 제시하는 기준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해당 기관의 자체평가이다. NASAD 역시 “인증에 기본이 되는 두 가지 프로세스는 자체평가(self-study)와 동료평가(peer evaluation)이다”(NASAD Handbook, 26)라고 밝히고 있다. 자체평가를 위해서는 NASAD가 제시하는 다양한 기준의 항목들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타당하다. 하지만, 프리드먼(Friedman, 2002)이 적시한 바와 같이 교과과정은 대학이 학생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는 메커니즘이며 교과과정을 제공하는 것은 대학의 핵심 활동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과정 점검에 한정하여 진행한다. 더불어 핸드북은 미술과 관련된 11개 전공, 디자인과 관련된 6개의 전공에 대한 방대한 교과과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 중 디자인 분야의 산업디자인(Industrial design)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에 앞서, 해외 디자인 교육 평가 기구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개괄하고, 그 중 하나인 NASAD 핸드북의 내용을 살펴본다. 이후 핸드북에서 제시하는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기준을 두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여 점검 및 분석한다.

첫 번째는 교과과정 비율의 관점이다.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핸드북에서 제시하는 교과과정 비율로 분류하고, 이를 강좌 개수, 학점, 전공 및 교양 필수 이수 기준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교과과정 항목별 구성과 NASAD가 제시하는 교과과정 비율 기준의 부합 여부를 확인한다.

두 번째는 필수 요구 역량 부합 여부의 관점이다.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과정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과목이핸드북에서 제시하는 ‘산업디자인 전문학부학위를 취득하는 학생 필수 요구 역량’을 충분히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이를 위해 S대학에서 제공하는 산업디자인 전공 수업에 관련된 여러 자료 중 교과목의 목표를 드러내는 ‘교과목 개요’를 필수 요구 역량 기준으로 삼아 충족, 보통, 미충족 세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에 더하여 해당 필수 요구 역량에 대하여 전공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역량들을 대학 내 기초교육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기초교양수업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S대학의 기초교육원에서 제공하는 기초교양수업의 ‘교과목 개요’를 확인하여 필수 요구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업의 유무를 확인한다.

2. 해외 디자인 교육 평가 기구 및 가이드라인
2. 1. 디자인 교육 평가 기구

디자인 분야의 교육품질인증 시스템은 각국의 고등교육 평가 및 인증시스템에 기반한다. 영국 대학의 경우 QAA(Quality Assurance of Agency for Higher Education)에 가입하여 평가를 받는데, 왕립예술대학(Royal Collage of Art), 런던 예술대학(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등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독일의 대학과 전문대학의 학업 인증 기구로는 ZEVA, FIBBA, ASIIN, ACQUIN, AHPGS, AQAS가 있다. 이 중 ‘인증, 자격 및 질적 보장기구’인 ACQUIN은 대학교와 전문대학에서 개설한 전 전공 영역의 학업 과정에 대한 평가와 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기구로(Kwak, 2007), 베를린 예술대학(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함부르크 예술대학(Hochschule Fur Bildende Kunste Hamburg) 등이 참여하고 있다. 미국은 고등교육 평가 기구인 CHEA(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아래 50여개의 분야별 인증 협의회가 있으며, 그 중 하나인 미술 및 디자인 교육 분야의 인증 기구 NASAD(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of Art and Design)는 2022년 4월 기준 약 349개 대학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중국 내 대학교의 랭킹을 제공하는 CUSR을 통하여 디자인학과의 랭킹을 제공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EDU TRUST 인증 심사를 통해 사립대학을 세 등급으로 나누어 인증하고 있다.

상기 기구들은 영국, 독일, 미국의 평가 기구들이 대학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는 반면, 중국과 싱가포르의 경우 교육부 산하 기관에서 평가 및 인증을 진행하는 국가 주도형이라는 점이 차이를 가진다.

2. 2. 자체평가 및 가이드라인

상기 기구들의 시스템에서 고등교육 평가를 위한 첫 단계는 대학의 자체평가 보고서이다. QAA의 경우 평가단 방문 이전에 기관개요보고서(Institutional Briefing Paper)를 제출해야하며(Seo, 2008), ACQUIN도 평가와 인증 절차의 첫 단계로 ‘프로그램 제공자의 내부 자기평가’를 제시하고 있다(Kwak, 2007). NASAD 역시 자체평가 보고서 작성 이후 현장 실사를 진행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고(Kfda, 2009, 198), 중국 고등교육기관 평가 시스템도 학교자체평가 단계를 우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Kim, 2020).

자체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역시 일부 기구에서 공개하고 있다. QAA의 ‘Subject Benchmark Statement Art and Design’, ACQUIN의 ‘Guideline for International Certification’, NASAD의 ‘NASAD Handbook’은 자체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한다. 보편적인 자체평가 보고서 양식을 제공하는 ACQUIN과 달리, QAA와 NASAD는 미술과 디자인 분야에 국한한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과 디자인 분야 학위 과정의 세부 전공에 대한 역량 및 교과과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NASAD에 비해 QAA는 “일반적인 지침은 제공하지만, 교과과정, 교수, 학습 또는 평가에 대한 정해진 접근법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Subject Benchmark Statement Art and Design, 1)라고 밝혀 차이를 보인다.

2. 3. NASAD Handbook 및 관련 선행 연구

2020~2021 버전 NASAD 핸드북은 크게 내규, 윤리, 수칙 및 절차, 공인 회원 자격 기준 및 지침, 인증 기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증기준’이 핸드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증 기준’ 역시 멤버십 기준, 용도 및 운영, 미술 및 디자인 프로그램 구성 요소, 연구 세부 전공 및 학위과정별 인증 프로그램 기준 등 22항목으로 분류되며, 이 중 본 연구의 기준에 해당하는 부분은 ‘10. 특정 전문 학사 학위 설계(Specific Professional Baccalaureate Degrees in Design)’의 산업디자인 항목이다.

NASAD 핸드북과 관련하여 두 건의 국내 선행 연구를 확인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교과과정을 기준으로 대학 교육을 자체 평가한 이해묵(Lee. 2005)은 산업디자인 기준을 소개하고 미국 내 대학의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검토하였다. 명계수(Myeong, 2007) 역시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기준을 소개하며 미국 내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검토하였다. 두 건의 연구는 미국 대학의 교과과정 사례를 검토하고 있어 국내 디자인 대학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3. NASAD 교과과정 기준 대비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비율 분석
3. 1. NASAD 교과과정 기준

핸드북은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수업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 항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정 비율을 제시하고 있다(NASAD Handbook, 126). ①산업 디자인 전공 수업은 전체 수업의 30~35%, ②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 25~30%, ③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 10~15%, ④일반스터디 25~30%이며,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과 ②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 ③예술 및 디자인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는 전체 교과과정의 65% 이상을 차지해야 함을 적시하고 있다.

3. 2.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분류 및 비율 분석

S대학 디자인학부에서 매해 초 배포하는 <학생생활안내-학부용>를 기준으로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2021년 3월에 배포된 자료의 ‘4.1교과과정’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산업디자인과 시각디자인 학부 수업이 모두 제시되어 있다. 학부 수업은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목과 시각디자인 전공 교과목, 공통 교과목으로 분류되어있고, 각기 공통 필수, 전공 필수, 전공 선택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디자인 전공을 중점으로 다루기 때문에 분석의 범위를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목과 공통 교과목에 한하였고, 이를 각기 공통 필수, 전공 필수, 전공 선택으로 재구성 하였다.

각 수업들의 ‘교과목 개요’를 수강신청 화면에서 확인하여 NASAD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영역의 비율 중 전공 외 수업을 지칭하는 ‘④일반 스터디’를 제외하고, 나머지 과목을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Table 1>과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design majors and common subjects based on NASAD structural guidelines

분류 교과목명 각 수업 학점/
총 필수 이수 학점
구분
공통 전공 필수
(전체수강)
한국미술과 문화, 서양미술사, 디자인사 3학점/9학점
디자인기초1,2 2학점/4학점
미술대학 공통
(선택 4이상)
평면조형1,2,3,4, 입체조형1,2, 기초도예, 기초금속공예, 기초시각디자인, 기초산업디자인 2학점/8학점
산업
전공
핵심 이수
(선택 6이상)
디자인요소와 원리, 공간디자인컨셉스터디, 구조와재료디자인, 제품리버스디자인, 사회적이슈와디자인, 제품디자인, 인간행태와디자인, 도시공간디자인 3학점/18학점
선택 이수
(선택 2이상)
ID드로잉, 디자인과정과방법, 사물인터랙션디자인, 주거공간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3학점/6학점
졸업전시
(선택2)
제품인터랙션디자인프로젝트1,2, 운송기기디자인프로젝트1,2, 공간디자인프로젝트1,2, 리빙디자인프로젝트1,2, 졸업전시프로젝트퍼블리케이션1,2 3학점/6학점
산업/
시각
공통
선택
전공 선택 현대디자인론, 디자인과문화 3학점/-
디자인사고 및 연구 2학점/-
디자인포트폴리오, ID컴퓨테이션, 기초사진, 디자인비즈니스, 기초모형제작실습, 디자인과사진, 미디어프레젠테이션, VD컴퓨테이션 2학점/-
디자인실습, 디자인리서치 3학점/-
교양 대학국어, 대학영어, 핵심교양 포함 -/36학점
필수 이수 규정 적용 학점 87학점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 ②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 ③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 ④일반스터디

우선, <Table 1>에 드러난 교과목 분류를 수업 개수의 관점으로 비율을 분석하였다. 일반 수업을 제외한 ①+②+③의 총합이 50개이고, 이를 전체 대비 백분율인 65%, 70%, 75%로 상정하여 각 분야의 비율을 확인하면 <Table 2>와 같다. 총 21개의 수업이 개설되어 있는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의 경우, 전체 백분율이 75%인 상황에서만 NASAD 기준을 충족시켰다. 반면, 22개의 수업이 개설되어 있는 ②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은, 65%, 70%일 경우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7개의 수업이 개설된 ③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의 경우 75%의 백분율일 때 기준을 충족하였다.

Table 2
Curriculu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number of courses

전체 대비 ①+②+③
백분율
(50개)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
(30~35%),
(21개)
② 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25~30%),
(22개)
③ 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10~15%),
(7개)
65% 27.3% 28.6% 9.1%
70% 29.4% 30.8% 9.8%
75% 31.5% 33% 10.5%

개설 과목을 비중의 관점에서 분류하면, <Table 1>에서 적시한 각 과목당 학점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공하는 수업의 총 학점인 129학점 대비 각 분야의 학점을 계산하면 <Table 3>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수업을 제외한 수업이 70%일 때 NASAD 가이드라인이 제시하는 기준에 세 분야가 모두 부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①+②+③ 항목이 70%일 경우, ④일반 스터디가 30%이므로, NASAD에서 제시하는 정량 기준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3
Curriculum classification based on credits

전체 대비 ①+②+③
백분율
(129학점)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
(30~35%)
(63학점)
② 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
(25~30%)
(46학점)
③ 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10~15%)
(20학점)
65% 31.7% 23.2% 10.1%
70% 34.2% 25% 10.9%
75% 36.6% 26.7% 11.6%

3. 3. 학부생 필수 이수 학점 기준 비율 분석

교과목 분류와 비율을 학위 이수 규정에서 적시하는 필수 이수 학점 기준으로 보면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생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비율을 더 세밀히 분석할 수 있다.

<학생 생활안내-학부용>에서 제시하는 디자인학부 졸업 기준 학점은 총 130학점이며, 필수 이수 학점의 관점으로 보면 다전공과 심화전공으로 나눌 수 있다. 다전공과정의 경우 디자인 전공 수업을 57학점 이상 이수해야 하고, 심화전공의 경우는 69학점 이수하여야 하며, 두 사례 모두 기초교양수업을 36학점 이상 이수해야한다.

산업디자인 전공 필수 이수 규정은 <Table 1>의 분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술대학 공통으로 분류되어 있는 10개의 과목 중 4개 이상의 수업을 수강해야 하며, 핵심 이수 수업의 경우 6개 이상을 선택하여 수강해야 한다. 필수 이수 규정을 적용하여 최소 필수 이수 학점을 산출하면 <Table 1>과 같다. 다전공을 선택한 학생의 경우 총 필요 이수 학점은 93학점이지만, 규정에 맞춰 수강할 경우 <Table 1>에서 드러나듯이 6학점이 모자란 총 87학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87학점을 NASAD 분야별 비율 기준으로 분류하면 <Table 4>와 같다.

Table 4
Curriculum Analysis Based on Multi-Major required credits

87학점 ①산업디자인 전공수업
(30~35%)
(30학점)
②디자인 관련 기술 및
시각 예술(25~30%)
(12학점)
③예술 및 디자인 역사와
이론에 관한 연구(10~15%)
(9학점)
④일반스터디
(25~30%)
(36학점)
100% 34.48% 13.79% 10.34% 41.37%

이에 따르면, 다전공 학생들은 <Table 4>와 같은 비율로 87학점을 수강하게 된다. 더불어 ①, ②, ③ 분류에서 6학점을 추가로 선택하여 수강해야 하는데, 이 6학점으로 인해 학부생들의 분야별 수업 비율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전공 필수 이수 학점을 12학점 더 수강해야 하는 심화전공 선택 학부생의 경우에 더욱 다양해진다. 총 필요 이수 학점이 아닌 졸업 이수 학점이 130학점인 것을 감안한다면, 규정된 필수 이수 학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공과 교양 모든 분야에서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학부생마다 분야의 비율이 매우 다를 것이라는 사실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4. NASAD 필수 역량 기준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분석

핸드북은 산업디자인 전문 학부 학위를 수여받는 학생 전공 필수 역량 총 11가지 항목과 공통 역량 총 7항목을 제시하고 있다(NASAD Handbook, 126). 이를 전공 필수 역량 및 공통 역량 기준에 따라 S대학교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전공수업 및 기초교양수업 교과과정 점검을 실시하였다.

4. 1. NASAD 전공 필수 역량 및 공통 역량 기준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분석
4. 1. 1. NASAD 산업디자인 전공 필수 역량 및 공통 역량 기준

NASAD에서 제시한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학위를 부여하는 전공에서 제공해야 하는 전공 필수 역량은 산업디자인 기초 지식, 역사, 제품과 시스템 설계능력, 다학제적 협업 능력 등을 포함한 총 11항목이다. 산업디자인 전공을 포함한 디자인 분야의 전문 학부 학위를 부여하는 전공에서 제공해야 하는 공통 역량의 경우, 물리 및 자연 과학, 사회 및 행동 과학, 정량적 추론 및 인문학에 대한 학습도 산업 디자이너들에게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들과 산업디자인에 관한 학생들의 작업 사이에 연관성을 만들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역량을 의사소통 능력, 사회/과학적 분석 능력, 윤리적 문제, 타 분야에 대한 이해 등, 총 7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필수 역량과 공통 역량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General competencies and essential competencies,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undergraduate degree in design (NASAD Handbook, p98,126)

산업디자인 전문 학부 학위 학생 전공 필수 역량
A 제품과 시스템을 설계하는 능력(제품 및 시스템 제작 방법, 무엇이 가치 있게 만드는지, 어떻게 만들고, 실현하고 배포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환경 및 사회적 이슈와 책임 있는 디자인과 관련되어 있는지)
B 다차원 설계 표현, 개발, 보급 및 응용과 관련된 기술과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C 산업디자인의 역사에 대한 기초적 지식
D User experience(사용자 경험), Human factors(인간 요인, 인간공학), Applied ergonomics(응용인체공학), Contextual inquiry(맥락질문법), User preference studies (사용자 선호도 연구) 및 사용적합성 평가(Usability Assessments)에 대한 기초적 지식
E 문제, 변수 및 요구 사항에 대해 조사, 정의 및 의사소통하는 능력 개념화하고 평가, 테스트하고 솔루션을 찾는 것. 가치, 미학 및 안전 측면에서 사용자 요구를 종합하는 기능
F 추상화 및 스케치에서부터 상세한 다차원, 기능, 시각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말하기, 글쓰기 및 복수의 매체로 개념 및 디자인 사양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G 특허, 상표권 및 저작권과 같은 윤리적 행동 및 지적 재산 문제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문 설계 관행 및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적 지식
H 기본적인 비즈니스 프랙티스와 관련 산업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관련 지식, 그리고 특정 디자인 프로젝트와 관련된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마케팅, 엔지니어링, 제조, 서비스 및 생태학적,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니즈를 조사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I 협업 기술 습득 및 다학제간 또는 다분야 팀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능력
J 기량과 개념을 강화, 산업디자인 관련 전문성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키고 넓히는 분야에 대하여 공부할 수 있는 기회
K 강의실 외 디자인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경험은 필수적이며, 현장 조사 및 경험, 인턴십, 전문 및 산업 그룹과의 협업 프로그램, 국제 경험을 위한 기회
디자인분야 전문 학부 학위 학생 공통 역량
L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능력/정확하고, 설득력 있고, 수사학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M 물리 및 생물과학의 수학적 및 실험적 방법과 현대 사회의 작동 및 발전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주요 분석 형식과 역사적 및 정량적 기술에 대한 정보
N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와 역사를 다루는 능력
O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사고 경험
P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존중, 이해 및 평가하는 능력
Q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견해를 설명하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
R 시각예술 및 디자인 외의 예술 형식에 대한 이해 및 경험

4. 1. 2. 전공 필수 역량 및 공통 역량 기준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분석

NASAD에서 제시하고 있는 산업디자인 전문 학부 학위 학생 필수 역량 및 디자인 분야 전문 학부 학위 학생 공통 역량 기준으로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의 경우, S대학 수강신청 공식 사이트를 통하여 교과목 개요를 파악하여 NASAD 제시 기준 충족, 보통, 미충족으로 나누어 기호로 체크하였다. 분석 과정 중 교과목 개요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강의계획서를 함께 참고하여 진행하였지만,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평가에 개입시키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교과목 개요의 경우 전공에서 합의된 내용으로 공지되어있지만, 강의계획서의 경우는 담당 강사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며, 통상적으로는 교과목 본래의 목적과 부합하도록 계획되지만 때로는 담당 강사에 따라 본래의 취지와는 상이하게 계획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An Analysis of the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Based on General competencies and essential competencies

교과목명 산업디자인 학부 필수 역량 디자인 분야 학부 공통 역량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
공간디자인 콘셉트 스터디
구조와 재료 디자인
제품 리버스 디자인
사회적 이슈와 디자인
제품 디자인
인간 행태와 디자인
도시공간 디자인
ID드로잉
디자인 과정과 방법
사물인터랙션디자인
주거공간 디자인
운송기기 디자인
제품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젝트1
제품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젝트2
운송기기 디자인 프로젝트1
운송기기 디자인 프로젝트2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1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2
리빙 디자인 프로젝트1
리빙 디자인 프로젝트2

기초시각디자인
기초산업디자인
디자인 기초1
디자인 기초2
VD컴퓨테이션
ID컴퓨테이션
디자인과 문화
기초사진
기초모형제작실습
디자인리서치
디자인실습
디자인사
미디어프리젠테이션
디자인사고 및 연구
현대디자인론
디자인포트폴리오
디자인과 생활
디자인비즈니스





한국미술과 문화
서양미술사
디자인사
평면조형
입체조형
기초도예
기초금속공예

분석을 바탕으로 교과과정에서 미비하거나 부재한 역량을 추출하면 <Table 7>과 같다. 미비한 역량으로 첫 번째, ‘추상화 및 스케치에서부터 상세한 다차원, 기능, 시각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말하기, 글쓰기 및 복수의 매체로 개념 및 디자인 사양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두 번째, ‘기본적인 비즈니스 프랙티스와 관련 산업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관련 지식, 그리고 특정 디자인 프로젝트와 관련된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마케팅, 엔지니어링, 제조, 서비스 및 생태학적,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니즈를 조사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세 번째, ‘강의실 외 디자인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필수적인 경험, 현장 조사 및 경험, 인턴십, 전문 및 산업 그룹과의 협업 프로그램, 국제 경험을 위한 기회’가 확인되었다.

Table 7
Insufficient & absent items among essential competencies

미비 F 추상화 및 스케치에서부터 상세한 다차원, 기능, 시각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말하기, 글쓰기 및 복수의 매체로 개념 및 디자인 사양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H 기본적인 비즈니스 프랙티스와 관련 산업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관련 지식, 그리고 특정 디자인 프로젝트와 관련된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마케팅, 엔지니어링, 제조, 서비스 및 생태학적,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니즈를 조사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K 강의실 외 디자인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경험은 필수적이며, 현장 조사 및 경험, 인턴십, 전문 및 산업 그룹과의 협업 프로그램, 국제 경험을 위한 기회
부재 G 특허, 상표권 및 저작권과 같은 윤리적 행동 및 지적 재산 문제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문 설계 관행 및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적 지식
I 협업 기술 습득 및 다학제간 또는 다분야 팀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능력

부재한 항목으로는, 첫 번째, ‘특허, 상표권 및 저작권과 같은 윤리적 행동 및 지적 재산 문제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문 설계 관행 및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적 지식’과 두 번째, ‘협업 기술 습득 및 다학제간 또는 다분야 팀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능력’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부재 항목들 중, ‘협업 기술 습득 및 다학제간 또는 다분야 팀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능력’의 경우, 교과과정상 담당강사의 지도가 아니더라도 팀 작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는 경험들이라 사료된다.

공통 역량 중 미비한 역량은,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사고 경험’으로 확인되었다. 부재한 항목으로는, 첫 번째,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능력/정확하고, 설득력 있고, 수사학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두 번째, ‘물리 및 생물과학의 수학적 및 실험적 방법과 현대 사회의 작동 및 발전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주요 분석 형식과 역사적 및 정량적 기술에 대한 정보’, 세 번째,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견해를 설명하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 마지막으로 ‘시각예술 및 디자인 외의 예술 형식에 대한 이해 및 경험’으로 확인되었으며, 표로 정리한 내용은 <Table 8>과 같다.

Table 8
Insufficient & absent items among general competencies

미비 O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사고 경험
부재 L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능력/정확하고, 설득력 있고, 수사학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M 물리 및 생물과학의 수학적 및 실험적 방법과 현대 사회의 작동 및 발전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주요 분석 형식과 역사적 및 정량적 기술에 대한 정보
Q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견해를 설명하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
R 시각예술 및 디자인 외의 예술 형식에 대한 이해 및 경험

4. 2. NASAD 공통 역량 기준 기초교양수업 분석
4. 2. 1. NASAD 공통 역량 및 기초교양수업 기준

<Table 5>에서 제시하는 역량 중 ‘디자인 분야의 전문 학부 학위 학생 공통 역량’인 L-R항목의 주요 역량이 디자인학부의 교과과정외 대학에서 제공하는 기초교양수업의 내용과의 부합 여부를 점검하였다. 기초교육원에서 제공하는 <2022년 단과대학별 교양 이수과정>에 의하면, 미술대학은 <Figure 1>과 같은 교양 이수 규정을 가진다. 이에 따르면, 학부생은 각각 학문의 기초 영역은 10학점, 학문의 세계 영역은 12학점, 전체 교양교과목 영역에서 14학점, 총 36학점 이상을 필수 이수하여야 한다. 이는 기초교양교수업이 산업디자인 전공의 학위 교과과정에 포함되는 것으로 공통 역량과의 점검 필요성을 시사한다.


Figure 1 Regulations for the Completion of College of Fine Arts

※ 필수과목에 병기된 이수학기는 권장사항임.


4. 2. 2. NASAD 공통 역량 기준 기초교양수업 교과과정 분석

학문의 기초, 학문의 세계, 선택 교양으로 분류되어 제시되는 기초교양수업에서 제시하는 교과목 개요를 기반으로 공통 역량과 비교하여 매치하면 <Table 9>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Table 9
A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 competencies and Basic Education Classes

공통 역량 기초교양수업
충족 L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능력/정확하고, 설득력 있고, 수사학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 학문의 기초: 사고와 표현 영역(대학글쓰기, 말하기와 토론, 창의적 사고와 표현, 논리와 비판적 사고 등)
충족 Q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견해를 설명하고 방어(depend) 할 수 있는 능력
충족 M 물리 및 생물과학의 수학적 및 실험적 방법과 현대 사회의 작동 및 발전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주요 분석 형식과 역사적 및 정량적 기술에 대한 정보 - 학문의 기초 : 수량적 분석과 추론 영역(인문사회계를 위한 수학 등), 과학적 사고와 실험 영역(인문사회계를 위한 생물학, 인문사회계를 위한 물리학 등)
- 학문의 세계 : 인간과 사회, 자연과 기술, 생명과 환경 영역
충족 N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와 역사를 다루는 능력 - 학문의 세계 : 문화와 예술 영역, 역사와 철학 영역
미비 O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사고 경험 - 학문의 세계: 역사와 철학 영역(도덕적 추론, 사상과 윤리)이 있으나 충족하지 않음
미비 P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존중, 이해 및 평가하는 능력 - 학문의 세계 : 인간과 사회 영역
충족 R 시각 예술 및 디자인 이외의 예술 형식에 대한 이해 및 경험 - 학문의 세계 : 문화와 예술 영역
- 선택교양 : 예술실기, 창의와 융합 영역(테크놀러지와 예술)

미술대학 필수 교양 이수 과목인 ‘대학글쓰기’가 속한 학문의 기초의 ‘사고와 표현’ 영역은 NASAD에서 제시하는 L역량과 Q역량을 충족시킨다. 과학, 수학, 사회학과 관련된 M역량은 학문의 기초 내 ‘수량적 분석과 추론’ 영역, ‘과학적 사고와 실험’ 영역, 학문의 세계 내 ‘인간과 사회’, ‘자연과 기술’, ‘생명과 환경’ 영역에서 충족할 수 있다.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와 역사를 다루는 능력’인 N역량은 학문의 세계 내 ‘문화와 예술’ 영역, ‘역사와 철학’ 영역에서 충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예술 형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R영역 역시 학문의 세계와 선택 교양에서 해당 수업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권고 역량에 대응하는 비교적 다양한 수업이 존재하는 상기 역량들에 비해, O역량인 ‘도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사고 경험’과 P역량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존중, 이해 및 평가하는 능력’에 완전히 부합하는 수업은 확인할 수 없다.

4. 3. NASAD 필수 역량 기준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분석 결과

핸드북에 제시된 필수 역량 기준에 따라 S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학부 전공수업 및 기초교양수업 교과과정 점검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업디자인 전공 필수 역량 부분에서는 디자인 글쓰기, 다학제적 관점, 현장과의 연결, 윤리적 및 법적 문제, 산학 연계 등에 대한 수업 등이 미비하거나 부재하였다. 디자인 전공 공통 역량 부분에서는 윤리적 문제, 의사소통 능력, 사회 과학적 탐구 방법, 의사소통 능력, 타 분야 예술에 대한 경험 부분에서 역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및 기초교양수업 공통으로 윤리적 사고에 대한 역량이 미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산업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가져야 하는 역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고민이 필요함을 드러낸다.

5.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해외 인증 프로그램 기준으로 국내 디자인 교육을 점검하면 디자인 교육의 현상과 해외 인증 프로그램의 적합성 여부를 함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NASAD의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기준으로 S대학 산업디자인 교과과정을 분석, 자체 점검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ASAD 교과과정 기준 대비 산업디자인 전공 교과과정 분야별 비율 분석 결과, 산업디자인 교과과정과 교양 교육 등 그 외 수업의 비율에 따라서 분야별 비율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총 50개, 129학점을 제공하는 산업디자인학부 교과과정이 전체의 70%라고 가정하였을 때 NASAD가 제시한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NASAD 필수 역량 기준 산업디자인 교과과정과 기초교양수업을 분석한 결과, 지적재산권, 협업 능력, 윤리적 사고에 대한 역량 등 충족시키지 못하는 항목들이 다수 있음을 확인해 현상을 파악하였다.

연구는 NASAD 형태의 점검 프로그램의 국내 대학 적합성 여부를 함께 시사한다. 비율 분석의 과정에서 선택의 폭이 넓고 제공하는 수업의 수가 많은 종합대학 교과과정의 특성상, 학부생의 선택에 따라 비율이 상이할 수밖에 없음을 드러낸다. 이는 교과과정 공급의 관점으로 제시된 NASAD 교과과정 비율 기준을 학생 개인의 선택의 폭이 넓은 국내 종합대학에 적용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미비한 역량을 확인한 필수 역량 기준의 분석 결과는 NASAD의 상세한 기준과 다양한 대학의 교육 목표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시사한다. “미국 교육의 다양성을 장려하고, 기관들이 그들의 특정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도록 독려”(NASAD Handbook, 26)한다는 NASAD 인증의 기본 목표에 기반한다면, 보편성을 추구하는 상세한 가이드라인과 특정성을 추구하는 대학의 교육 목표의 균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증의 첫 단계인 자체평가(self-study)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교과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측면에서 객관성의 한계를 가진다. 후속으로 이후 단계인 동료평가(peer evaluation)를 진행하여 객관성을 담보하는 종합적인 결과 도출이 가능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국내 타 디자인 대학들의 교과과정 분석과 이를 통한 사례 비교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된다면, 점검 프로그램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디자인 대학의 내실화 및 국제적 경쟁력을 위하여 디자인 대학 교육 품질 향상 프로그램이 하나의 중요한 제도가 될 수 있음을 공론화하고, 각 대학별 교육 목표에 따라 변화하는 인재상에 대응하는 디자인 교육 교과과정 연구와 점검 가능한 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BK21사업단인 ‘사회적 감수성을 실천하는 디자인 리더 양성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A0443-20210104)

This work was supported by BK21 FOUR: Education Research Group for Cultivating Design Leaders with Social Sensitivity(A0443-20210104).

References
  1. 1 . ACQUIN.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www.acquin.org.
  2. 2 . CUSR.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www.cdgdc.edu.cn/dslxkpgjggb/.
  3. 3 . Design Education Part1. She Ji, no.1, 2020. from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he-ji-the-journal-of-design-economics-and-innovation/vol/6/issue/1. [https://doi.org/10.1016/j.sheji.2020.02.002]
  4. 4 . Friedman, K. (2002). Design curriculum challenges for today's university. Enhancing the Curricula: Exploring Effective Curricula Practices in Art. In International Conference from CLTAD, Allan Davies (ed.), no. 1, 27-63, London, United Kingdom.
  5. 5 . kfda. (2009). 21st Century Design Forum: 2009 Research Project Results Report [21세기 디자인포럼: 2009년도 연구사업 결과보고서]. Seoul. kfda.
  6. 6 . Kim, H. (2020). Study o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in China : Focusing in evaluation objectives, types and organizations, procedures and method [중국의 고등교육기관 및 대학평가제도 연구: 평가 목적, 유형 및 기구, 절차 및 방법을 중심으로].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 377-401.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377]
  7. 7 . Kwak, B. S.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Evaluation in the Second-Cycle College [2주기 전문대학 학과평가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8. 8 . Lee, H. M. (2005).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NASAD [NASAD 를 통해 본 미국의 산업디자인 교육의 특성].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6(3), 205-214.
  9. 9 . Myeong, G. S. (2007). A Study on the Design Curriculum of American Universities - Focused on NASAD Certification Program [미국 대학의 디자인교육과정 연구-NASAD 인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Illustration Forum, 8(15), 95-109.
  10. 10 . NASAD.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nasad.arts-accredit.org.
  11. 11 . Seo, D. S. (2008). Implications of the British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of QAA [영국 대학평가제도의 시사점: QAA의 기관평가를 중심으로]. Higher Education, 155, 58-63.
  12. 12 . Seo, B., Ha, J., Kang, J., & Park, T.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대학 자체교육인증제 개선 방안 모색].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368-377.
  13. 13 . Subject Benchmark Statement Art and Design.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www.qaa.ac.uk/docs/qaa/subject-benchmark-statements/sbs-art-and-design-14.pdf?sfvrsn=71eef781_22.
  14. 14 . S University Course registration program.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sugang.snu.ac.kr.
  15. 15 . S University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liberaledu.snu.ac.kr/node/61.
  16. 16 . QAA. (n.d.). Retrieved April 30, from https://www.qaa.ac.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