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6, No. 3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Factors of Participative Community Design
: A Case Study of NamYangJu City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성과 요인 분석
: 남양주시 마을가꾸기 사업을 대상으로
  • Seokhyun Lee :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Recently, the stream of community design through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s spreading all over the n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al environment. Also,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businesses and cooperatives have contributes to remarkable progress in urban areas. But, effective method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residence environment that take into account the local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re needed. For such a project, experts' and residents' organized evalu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posal of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and verified achievement characteristics for community design support based on the local environment and methods.

Methods First,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design problem and analysis methods by classified landscape and domestic community environment,

Second,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the Namyangju City's 'Maulgakugi Community Design' project, which promoted the area's regener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basic factors for evaluation were identified via literature researches and reports. Satisfaction level and the community design’s effects were analyzed by SPSS 18.0.

Results A survey and an analysis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ethods were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collaboration levels of the main agents in community design was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wn that presented a high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community design had ‘a high participation level’, ‘community communication’, ‘an idiosyncratic townscape’, ‘sustainable use’ and was located in a natural townscape area. Second, the satisfaction factors of community design were ‘ripple effect’, ‘local attachment’ and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the organ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such as a special support group and an ordinance, was needed.

Therefore, the support and the collaboration of main agents such as residents, experts, and the administration are required for enhancing the spontaneity and professionalism of residents based on the continuous development.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we gained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an improvement in the direction of local community design. Meanwhile,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requires more sustainable activities and better management of community organiz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ethods of community design for developing a pleasant and attra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2000년대 들어 확산되기 시작한 커뮤니티디자인은 거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여 구도심의 활성화와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경관정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중심의 일률적인 사업전개와 경관과 주민구성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획일적인 접근방식의 개선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을 시 전역에서 전개해 온 남양주시 마을가꾸기를 대상으로, 사업유형을 전원형과 도심형으로 경관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커뮤니티디자인 사업 추진성과와 특성의 평가를 통해 경관특성에 맞는 추진방법의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디자인 추진마을에 대한 평가의 결과, 추진 후 주거 및 경관, 교류의 만족도가 높아졌고, 사업성과의 지속성과 파급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역 일상에 부합된 사업전개가 커뮤니티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 전원지역이 도심지역에 비해 커뮤니티형성 및 커뮤니티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지역애착과 커뮤니티 의식함양이 커뮤니티 디자인 성과를 높이는 주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결론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높은 성과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참여 주체의 활동성을 고려한 사업예산의 운영과 행정의 사업 지원, 그리고 전문가의 지속적인 지원 등이 미흡했다. 이후 지속적인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을 위해서는 바로 이 점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지역의 경관 특성에 맞는 디자인 및 커뮤니티 형성방법의 개선에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Community Design, NamYangJu-City, Analysis of Landscape Typ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f Achievement, 커뮤니티디자인, 남양주시, 경관유형, 주민평가, 성과분석.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18 Apr, 2013
Revised: 10 May, 2013
Accepted: 10 May, 2013
Printed: Aug, 2013
Volume: 26 Issue: 3
Page: 265 ~ 284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08.26.3.265
PDF Download:

Citation: Lee, S.(2013).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Factors of Participative Community Design : A Case Study of NamYangJu City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265-28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지역의 아래로부터의 양호한 발전을 지향하며 2000년대 전 후반을 기점으로 시작된 주민주도의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은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부, 행정안전부 등의 정부부처에서부터 시도읍에 이르기까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제는 지역 활성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과정 속에서 커뮤니티디자인은 지역상황과 커뮤니티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확대되어 왔으며, 지역 주민의 의견교류의 확대와 소득증대, 활동을 장을 마련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고 있다. 최근 서울시와 경기도 등 대도시의 커뮤니티 지원센터 및 제도 정비 역시 주민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높이며 커뮤니티디자인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학계와 계획분야의 연구에서도 기존의 단편적인 사례 소개를 넘어 지역 상황에 맞는 이론과 실천방법의 정립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디자인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활동에 대한 구체적 평가는 아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 경관 및 커뮤니티 특성을 고려한 참여주체들의 평가보다는 추진 과정의 설명이나 추진방법의 해설, 사례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디자인 활동의 현황특성과 문제점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어렵게 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며 결과적으로 획일화된 활동전개의 원인을 제공한다. 각 지자체 단위의 커뮤니티 사업평가도 부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대다수 전문가와 행정 관점에서의 평가가 중심이 되어 있어 참여주민 측면에서의 객관적인 사업성과의 평가 및 문제점 진단은 아직 부족하다. 이러한 평가는 커뮤니티디자인 초기의 주민의 참여의식 확대와 사업정착의 단계에서부터 요구되는 사항이지만, 사업성과를 중요시하는 단기적 추진방식에 의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Yang, 2007).

따라서 현재의 커뮤니티디자인을 주민주체 중심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에 맞는 거버넌스 구축 및 지역전문가의 양성, 예술문화 사업과의 결합, 커뮤니티지원센터 확대 등과 같은 효과적 커뮤니티디자인 방법을 고안하고 이를 다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기 추진된 또는 추진 중인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및 다각적인 평가방법의 고안이 요구된다. 이는 지금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디자인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국내의 도시특성에 맞는 추진방법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며, 추진방법의 개선에도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평가에 있어 현재와 같이 행정과 참여주민, 전문가 등과 같은 참여주체별 평가와 함께,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과 경관 및 커뮤니티의 구성에 맞는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와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추진성과 및 만족도, 주요한 변화 요인과 파급효과 등에 대한 평가, 분석을 통해 지역 및 커뮤니티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티디자인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추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성과특성을 커뮤니티와 경관, 성과요인, 파급효과 등으로 세부적으로 분류한 평가방법의 제안을 통해, 다른 커뮤니티디자인 전개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및 관련연구 동향
2.1.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관 및 커뮤니티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티디자인 추진 후 평가 및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커뮤니티디자인 평가 및 분석에 관한 문헌 분석을 통해 기존 평가의 현황 특성,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현황사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방안을 수립한다. 둘째, 지속적으로 지역단위의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을 추진해온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현황과 특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7년간에 걸쳐 시 전역에서 주민주도의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마을가꾸기 사업을 대상으로, 각 마을의 주민주체를 대상으로 수립된 평가항목에 따라 커뮤니티디자인 추진 후 변화된 성과를 파악하고 평가를 진행한다. 특히 도심과 전원지구의 경관특성별 및 참여주체 특성에 따른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조사결과에 대해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사업만족도와 우수마을 특성을 살펴보고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2. 관련연구 동향

커뮤니티 디자인과 관련된 기존 국내연구의 흐름은 사업추진성과와, 추진주체를 중심으로 한 추진체계, 그리고 커뮤니티디자인의 참여기법 및 진행방법을 중심으로 지역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로 크게 분류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 대상에 따라 국내 커뮤니티디자인 사례에 대한 현황고찰과 일본과 미국의 커뮤니티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 비해 커뮤니티디자인의 역사가 오래된 일본은 마치츠쿠리(Machidukuri)의 연구와 대상을 지역과 참여대상, 추진방법 등으로 보다 세밀하게 분류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은 ‘복지의 마치츠쿠리’, ‘사회적 기업과 마치츠쿠리’, ‘역사의 마치츠쿠리,, ’상가 마치츠쿠리‘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커뮤니티디자인 추진연구단체에서 진행되는 지역사례 발굴 및 당면 의제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2). 한편으로 커뮤니티디자인의 추진과 관련해서는 추진주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의 커뮤니티 의식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도 최근 증가하고 있는데, ’지역 주체와 리더‘에 주목하여 커뮤니티디자인을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 창조적 에너지 차원의 접근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의 접근과 함께 커뮤니티디자인을 새로운 도시 및 마을재생의 패러다임으로 규정하고 ’창조적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차원에서 혁신적 지역리더 양성과 지원시스템 구축의 측면에서 생애교육과 중심시가지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Sasaki, 2007). 그러한 연구의 핵심에는 커뮤니티디자인의 진행에 있어 어떻게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어떻게 지속성을 높여내는가가 중요한 이슈이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정보화와 네트워크 구축방안 등도 새롭게 다루어지고 있다(Green Community Design Network, 2012).

한편 기존에 추진된 커뮤니티디자인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평가 및 평가방법과 관련된 연구도 확대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효고현(Hyogo Prefect)에서 실시한 ‘참가와 협동’의 마치츠쿠리 추진을 향한 마치츠쿠리 평가수법에 관한 조사연구가 있다(2005). 이연구에서는 효고현 내 각 지구별 마치츠쿠리 활동유형에 따라 평가지표를 만들고 마치츠쿠리 시행성과를 평가하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에 비해 지역의 활동특성에 밀착한 점에서 그 성과를 매우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후의 평가 수법의 방향에서 ‘점검 리스트’ 방식이라는 지역의 힘을 정량화하기 위해 쉬운 평가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지역에서의 효용성을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커뮤니티 디자인 실천활동의 평가수법에 관한 주요한 연구로서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City Yokohama) 와다쵸의 이키이키 프로젝트(Ikiiki Project)의 평가를 기반으로 마치츠쿠리 실천활동의 평가방법을 제안한 후쿠이 등의 연구가 있다(Hukui, 2008). 특히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7년간에 걸쳐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Hodogaya-gu)의 와다쵸 상점가를 중심으로, 상점가 및 지역활성화를 위해 진행된 커뮤니티디자인 실천활동의 효과를 단순한 평가만이 아닌각 주체의 능력향상과 연대를 통한 지역력 향상방안의 제시, 지속적인 지역발전의 방향을 목표로 평가를 진행했다. 이러한 참여 주체들간의 평가를 통해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연구는 지역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커뮤니티와 참여, 지속성의 축을 중심으로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 시스템을 평가한 주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Kwack & Lee, 2011). 이 연구에서는 단계별 프로세스의 평가를 통해 각 추진 단계에서 중요한 사항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는 한편, 도시와 농촌 등의 다른 경관유형으로 진행되는 커뮤니티디자인이 지속성을 가지기 위한 지역특성에 맞는 명확한 목표와 추진모델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단순평가로서는 커뮤니티디자인에서 추구하는 지역역량 강화와 관련된 아이덴티티 구축, 주거환경의 개선 및 경제력 향상의 정도를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행정에서 진행하고 있는 지원제도 및 시스템에 대한 효과의 평가와 함께 추진주체와 대상이 되는 커뮤니티 및 경관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 평가는 보다 지역에 밀착된 커뮤니티디자인의 개선방향의 도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amura, 2008).

그러나 이러한 평가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진행은 매우 미진한 상황이며, 향후 다양하게 진행되는 국내 커뮤니티디자인의 효율적인 추진 및 지속적인 커뮤니티 향상을 위한 지원제도의 정비 및 추진을 위해서도 경관과 커뮤니티 특성을 고려한 평가기법에 대한 다양한 실증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전원형과 도심형으로 경관특성을 구분하고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에 따라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연구와의 연계성 및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7년에 걸쳐 행정의 단위 사업으로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을 추진해온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사업평가와 함께 개선방향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지역 및 단체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3.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연구방법

주민주체형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주요 목표는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에 맞는 지역 환경의 구축과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한 내재적 활동 능력을 높여내는 것에 있다(Sato, 2006). 이는 지역의 외형적인 확대 또는 경제적 성과와 같은 물리적인 성장을 지향한 이전의 도시계획적 측면보다 지역의 문화와 커뮤니티의 내재적 자율성과 협의능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도시를 지향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지나친 공공의 강화는 주민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생각, 발전 가능성, 실천력 저하로 이어지며, ‘자발적 주민참여’, 즉 참여에 대한 자발적 동기부여에서 그 변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Matsuo, 2006). 이를 위해 다른 커뮤니티 또는 지역과 차별화된 자신만의 가치발견은 필요적인 것이며, 그 가치 중에서 커뮤니티가 애착을 가지고 긍지를 가질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자연풍토와 문화역사, 경관, 사람이 된다 (Tamura, 1999). 이는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축을 이루는 요소로, 커뮤니티의 자율성과 지속성을 위해 요구되는 개성과 긍지의 실제는 그것을 이끌어 나갈 사람과 지역 경관과 문화와의 연계성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휴 버튼 (Hue, 2002)은 다양성을 포괄하는 도시의 복합기능에 대해, 공간적인 특성으로서는 다양성을 가져오는 것, 그것에 의한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가는 것에 의의를 두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의 방향을 논했다. 그는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것, 선택과 다양성을 높이는 것, 장소의 특성에 맞는 대응성, 연계와 통합, 유연성과 적용성,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을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의 필수적인 요소로 파악했다.

이를 정리하면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이 지역의 특성에 밀착한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참여주체들의 참여동기와 커뮤니티 역량, 또한 협력 시스템과 파트너십, 사업의 파급효과와 같은 지속성이 필수적인 것이며, 이것은 해당 지역의 커뮤니티디자인의 추진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축이 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Figure 1과 같다.


Figure 1 Evaluation Factors of Community Design

이러한 실천 활동의 평가는 평가대상에 따라 행정, 전문가, 주민주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참여주체의 시점과 상황에 따라 그 성과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Fukui, Kobari, & Takamizawa, 2008). 또한 각 주체들의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성과와 질적 변화를 직접 볼 수 있는 커뮤니티 만족도 및 변화 평가 역시, 현 상황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는 중요한 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를 주민주체를 대상으로 단계별로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주민 시점에서의 커뮤니티디자인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접근하고자 한다.

4.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 성과분석을 위한 조사

다음으로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추진에 따른 성과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7년부터 7년간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디자인으로 지역활성화를 추진한 남양주시 마을가꾸기사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및 추진사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4.1. 남양주시 마을가꾸기사업의 추진과정과 현황

수도권의 동측에 위치한 도농복합도시 남양주시에서는 2007년부터 행정안전부의 주관으로 진행된 마을가꾸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고, 2009년부터는 지자체의 자체적인 지역활성화의 일환으로 북한강 수변 에 위치한 전원마을을 시작으로 시 전역에서 마을가꾸기 사업을 실시하였다(Figure 2). 대표적으로 능내1리 연꽃마을은 행정안전부 대상을 수상하였고, 자체적인 경관개선 뿐 아니라 연꽃을 활용한 사회적 기업 설립을 통해 소득증대도 실질적으로 이루어내 지금은 경기도를 대표하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또한 수동면과 조안면 부근의 많은 전원마을들이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에 참여하여 자연환경과 조화된 마을환경을 정비하고 주민커뮤니티 협력을 높이는 성과를 얻었다. 특히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참여한 마을은 총 110곳 이며, 2007년 9곳, 2008년 8곳, 2009년 13곳, 2010년 농촌·공동형 17곳, 도시형 17곳, 2011년 농촌·공동형 13곳, 도시형 16곳이 참여하였다(Figure 3).


Figure 2 Community design site of Namyangju city from 2007 to 2012

Figure 3 Community design classification of Namyangju city

특이사항으로 2010년부터는 기존의 전원지역을 대상으로 하던 사업대상을 아파트 단지와 도심의 주택지를 대상으로 확대하면서 도시경관 유형에 따라 사업을 크게 농촌·공동형과 도시형으로 분리하여, 경관유형에 따른 사업방식을 다르게 진행한 것이다. 이것은 커뮤니티 형성과 협의가 전원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을 가진 도시형 사업특성을 고려한 지원과 평가를 위해서이다.

사업대상지는 남양주 전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금남 2리와 팔당 2리, 조안 1리, 능내 1리와 같은 북한강 유역 마을이 다수 참가하였다. 이렇듯 농촌지역의 참여가 높았던 이유는 2009년 유기농 대회를 계기로 마을주민들의 마을가꾸기와 커뮤니티 협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표적 사업전후의 사진을 Figure 4에 나타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사업유형을 살펴보면, 2007년과 2008년은 행정안전부 주관의 참 살기 좋은 커뮤니티디자인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꽃길 조성과 마을 골목길 조성, 시설물 정비 등의 마을 환경정비 사업이 주를 이루었지만, 2009년부터는 환경개선사업의 지속과 함께 체험마을 조성과 문화컨텐츠 개발, 역사마을 만들기 등의 커뮤니티의 내재적 발전 사업과 지역의 차별화된 경관조성을 위한 사업 등으로 그 유형이 다양하게 진행되었다(Table 1).

Table 1
Feather and contents of Namyangju community design*

구분 지역생활 환경개선사업 커뮤니티 발전 사업 이벤트 사업
2009년 1. 살구꽃 피는 마을 만들기
2. 매화꽃 군락지 조성사업
3. 축령산 명품마을 만들기
4. 웰컴투 진중 창포단지 조성
5. 생태하천 복원 마을가꾸기
6. 아름다운 커뮤니티디자인
7. 문화마을 조성
8. 아름다운 꽃마을 가꾸기
9. 아름다운 꽃길 만들기
1. 생태마을 조성사업
2. 연꽃 체험마을 조성사업
3. 삼태기 마을 만들기
4. 친환경 장수마을 가꾸기
5. 행복한 배나무 용진 만들기
1.연꽃농장(체험장)조성사업
2010년 농촌공동형 1. 살기좋은 바댕이길 가꾸기
2. 아름다운 예봉산 등산로 및 쉼터조성
3. 보고 싶고 걷고싶은 마을 꽃길만들기
4. 마을 진입로 꽃길 조성사업
5. 녹색농촌 체험마을 조성
6. 사계절이 아름다운 마당바위 가꾸기
7. 야생화가 넘쳐나는 우리마을
1. 목조각 테마공원 조성
2. 연꽃을 품에 안은 마을 조성
3. 한음선생 체험마을 조성
4. 아양마을이미지구축 및 문화콘텐츠 개발
5. 역사가 머무는 마을 조성사업
6. 꽃과 강이 어울리는 마을 만들기
7. 삼태기 마을 조성사업
8. 신바람 나눔우리 길 조성사업
1. 사가연 음식문화거리 조성사업
2. 어린이 생태교육 프로그램
2010년 도시형 1. 꿈과 희망이 넘치는 아파트 조성
2. 야생화가 가득한 아파트 만들기
3. 명품도시건설에 부합하는 명품아파트구축
4. 함께 꾸미는 아름다운 아파트 만들기
1. 단지 내 어린이 자연학습체험장조성
2. 아파트 주변 담장 개선 및 그림그리기
3. 마을 도서관 겸용 공부방 가꾸기
4. 주민 휴식공간 조성사업
5. 담장 제거 및 주민 휴식공간 조성
6. 건강도로 및 주민 휴식공간 조성
7. 별과 시내가 흐르는 아파트 가꾸기
8. 부영아파트 단지내 작은 도서관운영
1. 장미꽃 향기 가득한 마을가꾸기
2011년 농촌공동형 1. 효의 고장 도심마을가꾸기
2. 살기 좋은 마을 바댕이길 가꾸기2
3. 생태하천 개선 및 주말농장조성
4. 손님맞이 꽃단장 마을가꾸기
5. 금마천 환경개선, 생태하천조성
6. 꽃길 및 둘레길 조성사업
7. 아름다운 농촌마을 조성사업
8. 보리수 길에서 휴식
1. 아리수변 신토불이 배움터조성
2. 쉼터 만들기
3. 야생화가 넘쳐나는 우리마을
4. 호평 늘을촌 늘을문화거조성
5. 커뮤니티가든 조성
1. 걷고 싶은 금남리 올레길
2. 서리산 걷기 둘레길(숲체험)조성
3. 어린이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2011년 도시형 1. 생태 아파트 만들기
2. 도란 도란 정다운 토리길
3. 노후담장개선 및 단지낙후시설 및 불편시설개량
1. 향기로운 사람들의 마을가꾸기
2. 살고싶은 아파트 만들기
3. 친환경 옥상 텃밭조성
4. 다목적운동 문화공간조성
5. 휴게소 및 텃밭조성사업
6. 동물 기르기 체험학습장 설치
7. 장미꽃향기 가득하고 꿈을 품을 수 있는 마을조성
8. 결로당주변건강시설 및 휴식공간조성사업
9. 우리 함께 해요 친환경 아파트
1. 꿈과 희망이 가득한 재롱잔치마당 조성
2. 사계절 꽃이 피는 영진아파트
3. 국화꽃 군락지 조성 및 주민쉼터
4.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주민커뮤니티 활성화사업
* From report of community design in namyangju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도시형 사업은 어린이 자연학습 체험장 조성과 주민휴식 공간 조성, 마을도서관 만들기, 음식문화의 거리 조성 등으로 주민커뮤니티 간의 협력과 화합을 높이고 지역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사업으로 확대되었다. 여기서는 예술문화인들의 지원과 협력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도심의 문화적 공간의 확대에도 마을가꾸기 사업이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2010년 이후부터는 도시형에서 커뮤니티 발전사업의 비중이 높아져 외형적인 정비보다는 커뮤니티의 화합과 지속가능한 도시토대 구축으로 사업방향이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경관유형별 사업성과가 지역에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2. 남양주시 마을가꾸기 사업의 추진성과에 관한 설문조사

다음으로 마을가꾸기에 참여한 참여주체들에 대해 경관유형별 마을가꾸기 추진성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Figure 1의 기준을 기반으로 농촌 공동형과 도시형으로 대상지를 나누고, 마을가꾸기 사업의 커뮤니티 이해와 역량, 각 평가요소별 만족도, 지원시스템과 파트너십의 변화정도, 향후 지속적인 관리 및 파급효과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었다(Table 2). 이러한 설문조사의 분류는 마을가꾸기를 통해 지역의 커뮤니티의식과 마을환경, 커뮤니티 관계가 어떻게 변했고, 지속성과 파급효과가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단계별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설문조사에 대한 내용에 개인별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여 기록하고 정리하였다.

Table 2
Contents of survey

구분 조사항목*
기본항목 속성 주거마을, 성별, 나이, 직업, 가족구성 등의 기본 속성
세부항목 인지도
참여동기
사업인지, 참여동기, 참여권유의사
커뮤니티
역량
친밀도, 자긍심, 리더유무, 기부의사, 향후거주의사와 이유, 거주추천유무
만족도 참여계기, 사업의 이해도, 참여정도와 만족도, 진행성과, 일상생활개선정도, 경관개선정도, 주민교류정도,
지원시스템 행정과 전문가의 지원정도와 문제점
파트너십 행정과 전문가에 대한 신뢰도, 교육에 대한 문제점, 향후 교류의사
지속성
사후관리
성과활용도, 성과인지, 커뮤니티 지속성, 유지관리, 파급효과
*: 개방형으로 조사

조사는 2012년 7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각 마을가꾸기 리더에게 배부하여 수거하는 간접응답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마을가꾸기 사업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주민 118명이었다. 그 중 도심형 응답자는 76명(64%)였고, 농촌형 응답자는 42명 (36%)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58%, 여성이 42%였다. 응답자 연령은 50대가 50명으로 대체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40대와 60대 이상이 높았다.


Figure 5 Distribution of Survey respondent on participate town

응답자의 직업유형은 자영업(31명)과 주부(27명)가 전체적으로 많았으며, 회사원(17명)과 농업(16명)이 다음으로 높았다. 현재 살고 있는 마을에서의 거주 기간에 대해서는 11년 이상의 장기 거주자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정주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농촌공동형의 장기 거주자는 70% 이상으로 도시형에 비해 더욱 높았다. 응답자의 거주지 분포는 진접과 오남, 금곡동 등 도시형의 참여 분포가 높았다(Figure 5).

설문조사의 분석은 우선 빈도분석을 통해, 각 조사항목의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회귀분석을 통해 경관별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디자인 만족도와의 관계, 커뮤니티디자인 성과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Figure 6 Resident awareness of community design project
(1) 마을가꾸기 인지도와 참여동기

먼저 마을가꾸기에 대한 인지도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가 59.3%, ‘다소 그렇다’가 19.5%로서 전체적인 인지도는 매우 높았다(Figure 6). 응답자의 절친한 지인, 즉 주변인의 마을가꾸기 인지도의 조사결과 역시, ‘다소 그렇다’ 이상이 67%로서 전반적으로 주변의 인지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동기에 대해서는 행정의 홍보가 43.6%로 가장 높았으며, 자발적인 관심이 24.8%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권유 및 홍보자료의 영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가꾸기의 참여를 다른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적극적으로 했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39%, 다소 했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33.1%로 나타났다.

(2) 커뮤니티 역량

다음으로 커뮤니티 역량변화에서는, 우선 커뮤니티 역량의 가장 중요한 척도인 주민간의 친밀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가 37.3%, ‘다소 그렇다’ 이상이 56% 로서 전반적인 주민간의 친밀도는 높았다. 마을에 대한 자긍심 정도에 대해서도 ‘다소 높다’ 이상이 67%로서 전체적인 마을에 대한 자긍심이 높았다. 커뮤니티를 이끄는 중심리더의 유무에 대해서는 ‘있다’라는 응답자가 69.5%(82명)로 나타났으며, ‘있으나 잘 모른다’라는 응답자도 21.2%로 나타나 전반적인 인지도는 높았다. 사업추진에 대한 물리적 기부의사는 마을가꾸기에 대한 적극적 주민호응도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매우 있다’와 ‘다소 있다’가 각각 22%와 34.7%로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또한 소극적 응답정도를 나타내는 육체적 기부의사에 대한 응답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소 있다’ 이상의 응답자가 73.7%로서 매우 높았다. 마을에 대한 애착과 정주의향을 나타내는 향후 지속적인 거주의사에 대해서는 ‘지속적 거주’ 의사를 나타낸 응답자가 60.7%로서 매우 높았으며, ‘10년 정도’라고 응답한 응답자도 18.8%로서 나타나 정주의지가 높았다. 위 항목의 지속적인 거주하고 싶은 이유에 대해서는 ‘마을의 생활환경’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6.2%였으며, ‘경제적 이유’가 21.4%로서 다음으로 높았다. ‘주민과의 관계’라고 응답한 응답자는 18.8%로 나타나 주민교류가 지속적 주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에 대한 지속적인 거주의지 및 자긍심과 관련된 친지에 대한 마을거주 권유의 의사정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다소 있다’가 38.1%, ‘매우 있다’가 22%로서 친지에 대한 거주권유 의사가 높았다.

(3) 마을가꾸기에 대한 만족도

마을가꾸기 사업에 참여하는데 있어 얼마나 사업내용을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 이상이 92.4%로 나타나, 대다수 사업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추진의 원활함에 대해서는 ‘다소 그렇다’ 이상이 68.7%, ‘그렇지 않다’ 이하가 9.4%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추진되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 사업추진이 어려웠던 이유에 대해서는 ‘주민참여의 부족’이 37.9%로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행정의 지원부족’ 26.2%, ‘추진 경험부족’ 26.2%로 나타났다. ‘교육의 부족’은 7.8%로서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Figure 7). 사업 테마의 적절함에 대해서는 ‘다소 그렇다’는 의견이 39.8%, ‘매우 그렇다’는 의견이 28.8%을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테마가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주민참여의 정도는 ‘보통이다’가 38.1%, ‘다소 그렇다’ 이하의 응답이 49.1%로 전 주민 참여도가 높았다. 정기적인 회의 참석인원에 대해서는 ‘6~10명’과 ‘11~15명’이 각각 25.4%, ‘21명이상’도 16.1%로 나타났다.


Figure 7 Reason of difficulty

Figure 8 Satisfaction of community design

마을가꾸기의 일상생활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는 의견이 30.5%, ‘다소 그렇다’가 38.1%로서 전반적으로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하였다. 경관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다소 그렇다’가 42.4%, ‘매우 그렇다’는 의견도 28%로 나타나, 경관개선의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교류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그렇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높았고, ‘보통이다’라는 의견이 28%를 보여 대체적으로 효과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사업전반의 만족도는 ‘매우 높다’가 16.9%, ‘다소 높다’는 응답이 34.7%로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보통이다’가 39%로서 만족하지 못하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Figure 8).

(4) 행정과 전문가의 지원

행정의 지원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가 42.4%였고, ‘다소 높다’가 43.2%로 나타나 행정지원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반면 행정지원의 불만족스러운 점은 ‘예산’이 43.2%로 가장 높았고, ‘지속적인 관리’가 22%로 지적했다. ‘교육’은 5.9%로 나타나 잘 진행된 것으로 응답했다. 행정지원의 만족하는 점은 ‘사업방향 지도’가 34.7%로 가장 컸고, 그 외 ‘교육’, ‘예산’, ‘전문가 연계’, ‘지속적인 관리’는 유사했다. 전문가의 지원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가 44.9%로 가장 높아 지원의 문제가 있다고 평가했다. ‘마을 사업의 방향제시’(44.1%), ‘개선방향 지도’(26.3%), ‘조직의 관리’(2.5%)에 도움이 되었지만, ‘구체적인 자문부족’ (36.4%), ‘지속적인 자문’(34.7%), ‘마을 이해의 부족’(22.9%)은 미흡하였다.

(5) 파트너십에 관한 항목

행정에 대한 신뢰 정도에서는 ‘보통이다’가 41.5%로 가장 높았고, ‘다소 높다’ 이상이 50.8%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았다. 반면, 전문가에 대한 신뢰도는 ‘보통이다’(50.8%)와 ‘다소 높다’(31.4%)가 높아 명확한 신뢰는 보이지 않았다. 향후의 유사한 사업에의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보통이다’(36.4%), ‘다소 있다’ (34.7%)로 나타나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보이지는 않았다.

(6)지속성 및 파급효과

마을가꾸기에서 만들어진 시설물의 활용도는 ‘다소 그렇다’는 의견 이상이 64.4%로서 매우 높았다. 마을가꾸기 사업과 시설물 설치간의 연계성에서도 ‘다소 알고 있다’(41.5%), ‘매우 잘 알고 있다’(32.2%)로 나타나 이해도가 높았다. 커뮤니티 활동의 지속성에서는 ‘보통이다’가 39.8%로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다소 그렇다’가 23.7%로 나타나 커뮤니티활동의 지속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유지 관리의 정도는 ‘보통이다’(35.6%)와 ‘다소 그렇다’ (33.1%)는 의견이 많았다. 마을가꾸기 사업의 파급 효과에 대해서는 ‘보통이다’(39.8%), ‘다소 그렇다’ 이상이 52.5%로 파급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9).


Figure 9 Spread effect of community design

이상으로 진행한 사업성과에 관한 성과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가꾸기 사업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마을가꾸기 사업이 지역의 경관개선과 주민간의 교류, 일상생활환경의 개선에 크게 기여한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마을에 대한 애착과 지속적인 거주 의사가 매우 높았으며, 마을에 대한 자긍심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이해도는 높았지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부족, 행정의 지원 부족, 추진경험의 부족 등에 대해서는 부족한 점으로 지적하였다. 넷째, 행정과 전문가의 지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면서도, 행정에 대해서는 예산의 지원 및 지속적인 관리에 대해 개선할 점으로 지적하였다. 전문가에 대해서도 사업방향 제시와 개선방향의 지원에 대해서는 만족하면서도 자문의 지속성과 구체성에 대해서는 개선을 요구하였다. 이는 행정과 전문가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점에서도 지속적인 주민참여에 대한 지원의 체계적인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마을가꾸기 성과물 및 주민교류 활동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잘 유지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여 마을가꾸기 사업이 지역의 지속적인 교류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사업만족도의 요인과 우수마을 특성 분석

마을의 경관 유형별로 마을가꾸기사업의 만족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마을가꾸기사업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개선효과, 행정 신뢰도, 전문가 신뢰도, 시설물의 활용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도시형의 경우 주민교류효과, 파급효과, 친밀성, 주민사업인지여부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반면, 농촌형의 경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정신뢰도, 시설물의 활용성, 행정지원의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도시형은 커뮤니티 역량강화가 사업의 만족도에, 농촌형은 행정의 역할이 사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Figure 10). 그럼에도 전반적인 사업만족도 및 평가는 도시형에 비해 농촌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0 Effect factors of satisfaction

Figure 11 Satisfaction feather of outstanding town

마을가꾸기 평가결과 높은 평가를 얻은 마을과 그렇지 못한 마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일상생활개선의 효과와 행정 신뢰정도, 전문가 지원정도, 시설물의 활용성이 만족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그 중에서도 우수마을은 일상생활의 개선효과와 경관개선, 물리적 기부의사가 마을가꾸기 만족도 등을 중요한 영향으로 평가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마을들은 주민참여와 행정신뢰 및 지원정도, 파급효과정도가 만족도에 등을 큰 영향요인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우수마을들이 일상생활에서의 마을가꾸기 성과의 활용 및 지속성에 더 큰 가치를 가지는 반면, 그렇지 않은 마을들의 경우 행정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더 큰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우수마을과 부진마을의 교차분석결과에서도 나타나는데, ‘만족도’, ‘행정지원정도’, ‘전문가지원정도’, ‘행정신뢰정도’, ‘커뮤니티 활동지속성’ 등의 항목에서 우수마을들이 훨씬 긍정적인 평가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우수마을에서는 기본적으로 커뮤니티디자인 주체간의 신뢰도와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사업 효과에 집중한 것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Figure 11).

5. 결론

이상의 남양주시 마을가꾸기 사업을 중심으로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성과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추진 후 주요 성과에 대한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특히 경관개선과 주민교류, 일상생활환경이 매우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이 지역의 정주환경의 개선과 커뮤니티의 자율적 교류에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마을가꾸기 사업의 만족도에 대해 회귀분석을 통해, 일상생활개선 효과와 행정의 신뢰도, 전문가에 대한 신뢰, 시설물의 지속적인 활용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류와 관계성의 향상, 일상 생활의 활용도와 지속성이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커뮤니티디자인이 잘 추진된 마을은 지원과 협력과 관련된 항목 및 커뮤니티의 지속성 등에서 보다 긍정적인 평가결과가 나타나, 참여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역 일상에 부합된 사업전개가 커뮤니티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커뮤니티디자인 성과의 지속성과 파급효과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2009년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마을의 경우 최근에도 마을시설물과 사업성과물이 잘 관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에 적극적인 참여 권유 의사를 나타내고 있어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확산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공동형과 도시형으로 구분하여 진행한 경관유형별 평가 결과에서는, 두 유형의 뚜렷한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농촌형이 만족도와 참여도, 지속성 면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농촌형의 경우, 기본적으로 커뮤니티 협력과 경관의 개성 등에서 다소 좋은 조건을 가진 곳이 많아 원활한 사업진행과 관리가 가능하지만, 도시형에서는 커뮤니티 교류에서부터 개성적인 경관조성까지 많은 난관에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사업의 개선과 추진에 있어서도 도심형에 맞는 다양한 사업프로그램의 제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높은 성과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참여 주체의 활동성을 고려한 사업예산의 운영과 행정의 사업 지원, 그리고 전문가의 지속적인 지원 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는 향후 사업참여에 대한 미온적인 결과로 나타났는데,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이 지속가능한 마을경관의 형성과 커뮤니티의 정주환경 조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한 지원체계의 정비 및 운영의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참여형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을 지역단위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추진 주체들에게 사업의 사전 검토와 중요한 목표의 설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많은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진행과정의 개선과 현 상황의 문제점 진단 및 연구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성과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커뮤니티와 지역 생활환경의 변화요인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분석이 요구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시 마을가꾸기 사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나, 보다 다양한 경관특성을 가진 지역 및 커뮤니티와의 비교 연구는 한정된 연구 성과의 한계를 넘어 보다 객관적인 성과에 대한 평가방법의 근거를 제시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1 . Matsuo, T., Nishikawa, Y., & Yisa, A. (2006).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s by Citizens , Seoul : Hanul Publishing Company.
  2. 2 . Community Design Center. (2009). Making Community Design. Seoul: Namu Dosi Publishing.
  3. 3 . Green Community Design Network. (2012). Proceeding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Pacific Rim Community Design Network. Seoul.
  4. 4 . Kwack, D & Lee, S (2011). A Study on the Process Evaluation of Participation Design for a Community. Jou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Research, 24(4) , 119-130.
  5. 5 . Green Community Design Network. (2012). Proceeding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Pacific Rim Community Design Network. Seoul.
  6. 6 . Tamuta, A. (2006). Practice of Community Design, Tokyo : Iwanami Publishing Company.
  7. 7 . Barton, H. (2002). The Neighborhoods as Ecosystem , Earthscan Publications 1t.
  8. 8 . Fukui, H., KObari, K., & Takamizawa, M. (2008). A Study of Evaluation Method for Town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Wadamachi-ikiiki Project". Reports of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6), Tokyo.
  9. 9 . Lee, S., & Joe, C. (2012). 남양주시 마을가꾸기 사업평가 및 창조문화적 마을가꾸기 추진 방향[Evaltation and Promotion Direction of Community Design in Namyangju-city] . Namyangju: Namyangju-city Publishing.
  10. 10 . Sanoff, H. (1999).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 in Design and Planning: Jon Willey & Sons.
  11. 11 . Sasaki, M., & Nira. (2007). Souzoutoshi heno Tenbou . Kyoto: Gakugei Shuppansha.
  12. 12 . Sato, M. (2006). Community Design . Seoul: Design Locus.
  13. 13 . Tamura, A (2005). Machizukuri to Keikan . Tokyo: Iwanami Shoten.
  14. 14 . Hyogo-ken. (2003). “参画と協働”のまちづくり推進に向けた まちづくり評価手法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Research Report on Evaluation Methods of Community Design for Take part in the planning and Cooperation] . Hyogo-ken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