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6, No. 3

Scarf Design Development Applying Geometric Shapes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연구
  • Younsun Roh :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Backgroun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s to produce scarves that affect the total image of one's fashion by emphasizing the scarf's decorative plasticity and departure from it's conventional square form. Also,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carves becoming a highvalue product by becoming an item expressing the wearer's selfimage.

Method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re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work.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researches the plasticity of geometric shapes and cases where geometric forms applied to fashion, mainly in fashion collections. For the theoretical study, related books, domestic and foreign dissertations, and periodicals were synthesized. To study cases of geometric forms applied to fashion, fashion collections in the past 5 years between S/S 2009 through F/W 2013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udy, 4 scarves were created by applying collage methods or cutting and fitting geometric shapes such as circles and triangle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studying the simple and explici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forms and creating scarf designs.

First, the plasticity of geometric forms can be characterized by their simplicity, reproducibility, attractiveness, and rationality. They are simple, explicit and recognized as objective forms, therefore they are applied in various aspects of modern design and art.

Second, in case studies of fashion designs using geometric shapes, the shapes were applied in silhouettes, patterns, and details. Recently, avant-garde designers use geometric shapes to express silhouettes.

Third, through the styling of the created scarves in various ways, many different styles are performed depending on how the motif is applied to the body. Practical and decorative effects were achieved through the various styl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of creating scarf designs using geometric shapes, the author was able to discover that the motif is very effective in creating a chic image. Depending on how one recombines the geometric shapes, various image creations were possible. Also, the scarf can become a main item expressing the wearer's whole image, rather than serving as a mere accessory.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 형태를 응용하여 기존의 사각형 틀에서 벗어나 실용성외에 장식적 조형미를 부각 시킨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카프가 의상의 보조적 코디 개념이 아닌 패션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좌우하는 주된 아이템으로 자리매김 할수 있는 디자인을 제작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카프 디자인에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추구하고 자아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특별한 아이템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에 의한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제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기하학 형태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사례를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위하여 기하학에 관련된 단행본, 국내외 학위논문, 정기간행물을 수집 정리하였으며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2009년 S/S부터 2013년 F/W까지 최근 5 년간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제작은 기하학 패턴중 원, 삼각형을 이용하여 콜라주하거나 스카프에 절개를 내어 끼워 넣는 방식으로 디자인 하여 총 4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기하학의 단순하고 명쾌한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스카프 디자인을 제작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은 단순성, 재현성, 주목성, 합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시각적으로 단순하고 명쾌한 느낌을 주며 객관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현대 디자인, 예술분야에 다양하게 응용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실루엣, 문양, 디테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최근 아방가르드 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패션 디자이너들이 실루엣에 대담하게 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제작한 스카프를 다양하게 스타일링 함에 있어서 기하학 형태의 모티브가 몸에 어떻게 놓이느냐에 따라서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어 한 가지 아이템으로 여러 가지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기능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기하학 형태는 모던하고 시크한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모티브라는 것과 기하학 형태를 어떤 형식으로 재결합 시키느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Geometric shapes, Scarf design, Accessory, 기하학 형태, 스카프 디자인, 액세서리.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10 May, 2013
Revised: 17 Jul, 2013
Accepted: 04 Aug, 2013
Printed: Aug, 2013
Volume: 26 Issue: 3
Page: 43 ~ 57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08.26.3.43
Corresponding Author: Younsun Roh (roh0955@hanmail.net)
PDF Download:

Citation: Roh, Y. (2013). Scarf Design Development Applying Geometric Shap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2-1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세기 패션은 개성화, 다양화 되면서 패션 소비자들은 점차 독특하고 나만의 컬러를 가진 스타일을 찾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나의 패션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의상 뿐 아니라 액세서리를 어떻게 매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룩을 연출할 수 있다. 토털 패션을 완성하는데 다양한 아이템의 액세서리들 을 활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 실용성과 장식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스카프를 빼놓을 수 없다. 스카프는 방한을 위해서도 활용되지만 단조로운 의상에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아이템으로 활용되어 생동감 있는 자유로운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에 스카프는 스타일링 컨셉을 완성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아이템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이미지의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정사각 형이나 직사각형의 정형화된 틀 안에 스카프의 문양만 개발되고 있을 뿐 스카프 형태를 사각형의 틀에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스카프를 사각형의 형태에서 벗어나 실용성외에 장식적인 조형미를 부각 시켜 의상의 보조적 코디 개념이 아닌 패션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좌우하는 주된 아이템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품으로 제작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패션 사례를 분석하고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을 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이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추구하고 스카프가 자아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특별한 아이템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1.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에 의한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하학 형태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사례를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을 중심으로 이론적 분석을 하였으며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위하여 기하학에 관련된 단행본, 국내외 학위 논문, 정기간행물을 수집 정리하였으며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2009년 S/S부터 2013년 F/W까지 최근 5년간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제작은 기하학 형태를 응용하여 모던(modern) 하고 시크(chic)한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하학 형태중 원, 삼각형을 이용하여 콜라주하거나 스카프에 절개를 넣어 끼워 넣는 방식으로 디자인하여 총 4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의 컬러는 패션 컬렉션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현대적인 감각을 살리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던 화이트(white), 블랙(black), 레드(red)를 사용하였으며 착용 하였을 때 보온성과 함께 촉감이 부드럽고 드레이프 성이 좋은 울(wool)소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스카프 작품은 마네킹에 연출하여 촬영하고 모델에도 착장시켜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기하학 형태와 패션디자인

기하학 형태는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는 패턴으로서 비교적 유행에 민감하지 않으며 패션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가구,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패션에서는 다양한 기법의 표현방법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 형태가 패션에 응용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실루엣, 문양, 디테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09년 S/S부터 2013년 F/W까지 최근 5년간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기하학 실루엣

기하학 형태를 실루엣으로 표현한 디자인 사례를 2009년 이후 컬렉션에서 많이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실루엣에서 아방가르드 한 이미지를 주는 대담한 분위기의 의상이 많았다. [그림 1]은 마르틴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의 2009년 컬렉션 작품으로 원형의 가죽소재 재킷이 단순한 형태로 매우 강렬한 인상을 주고 있으며, 모델의 얼굴을 천으로 가려 원의 형태에 더욱 시선을 주목하게 만드는 스타일링이라 할 수 있다. 톰 브라운(Thom Browne)의 2011년 F/W 작품인 [그림 2] 는 원통형의 입체감이 느껴지는 케이프로 원의 조형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3]은 삼각형 실루엣의 스커트와 원형의 모자가 어우러져 기하학 형태 의 조형요소가 돋보이는 의상이다. [그림 4]는 드레스가 평면적으로 표현된 의상으로 상의 부분의 사각형 실루엣이 대담하고 아방가르드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그림 5] 는 어깨부분을 각지게 하고 넓게 부각시켜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사각형의 실루엣을 보여주었고, 스커트 역시 실루엣을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Figure 1 ‘09 S/S Martin Margiela

Figure 2 ‘’11 F/W Thom Browne

Figure 3 ’09 F/W Alexander McQueen

Figure 4 ‘11 S/S Martin Margiela

Figure 5 ’13 /FW Thom Browne

Figure 6 ‘13 S/S Rue du Mail

Figure 7 ‘12 F/W Comme des Garcons

Figure 8 ’11 F/W Diane von Furstenberg
(2) 기하학 문양

기하학 형태를 패션에 응용한 사례 중 문양을 원단에 프린트하여 디자인한 사례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었으며 스트라이프, 체크, 물방울, 옵티컬 문양 등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었다. 특히 기하학 형태는 착용자의 체형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보는 사람들에게 착시 현상을 일으켜 신체적 결함을 감추거나 장점은 돋보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6]은 크기가 다른 원의 형태를 불규칙하게 배열한 문양의 원피스로서 블랙과 화이트의 조화가 도시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준다. 꼼 데 가르송(Comme des Garçons) 작품인 [그림 7, 10] 은 아방가르드한 의상에 원과 사각형의 규칙적인 프린트를 표현하여 무질서함 속에서의 질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그림 7] 은 레드컬러의 거대한 도트무늬를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독특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그림 8] 은 삼각형의 형태가 프린트 된 의상으로서 깊게 파인 네크라인과 모자 부츠 등의 액세서리 조화로 더욱 에스닉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그림 9]는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의 작품으로서 사각형의 형태와 블루컬러가 어우러져 경쾌한 느낌을 준다.


Figure 9 ‘13 F/W Issey Miyake

Figure 10 ‘09 F/W Comme des Garcons

Figure 11 ‘10 S/S Viktor & Rolf

Figure 12 ’12 S/S Marni
(3) 기하학 디테일

기하학 형태를 디테일로 표현한 의상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제작되고 있었다. 그 중 콜라주, 퀼팅, 아플리케 등 수공예적인 기법이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모던한 이미지에 페미닌 한 감각이 어우러져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작품사례를 볼 수 있었다. [그림 11]은 여러 겹으로 겹쳐 제작한 드레스를 원형으로 컷 아웃시켜 드레시한 드레스와 기하학 패턴이 어우러져 특이한 분위기를 준다. 2012년 마르니(Marni) 컬렉션 작품인 [그림 12] 는 블랙컬러의 가죽원단을 원형으로 덧붙여 장식한 것으로 기하학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그림 13]은 퀼팅으로 삼각형의 모티브를 연속으로 배치한 디테일 작품으로서 단순한 삼각형의 형태는 현대적이고 하이테크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삼각형의 크기, 방향, 간격 등의 복합적인 구성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림 14] 는 블랙컬러의 원피스에 골드컬러의 실로 패턴을 넣어 삼각형 모티브가 돋보이게 표현하였다. 실의 직조를 이용한 원피스 디자인으로 스커트 아랫부분은 프린징(fringing) 디테일 장식으로 관능적이고 에스닉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그림 15]는 사각형의 작은 모티브를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콜라주 한 의상으로 시각적으로 명쾌한 분위기를 주며 하이테크 적 이미지 를 보여준다. 2013년 프로엔자 슐러(Proenza Schouler) 작품인 [그림 16]은 레드, 블랙, 그레이의 세 가지 컬러 가죽을 패치워크 시켜 재킷, 스커트로 표현 하였다. 각각의 패치워크 조각들의 소재도 다르지만, 컬러 또한 강렬한 색상대비가 되어 모던하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주고 있다.


Figure 13 ’09 F/W Gareth Pugh

Figure 14 ‘12 S/S Gucci

Figure 15 ‘09 S/S Gareth Pugh

Figure 16 ’13 S/S Proenza Schouler
2.2. 기하학 형태의 이미지와 조형성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는 모던, 아방가르드, 에스닉, 하이테크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모던한 이미지는 블랙과 화이트, 레드와 블랙과의 조화에서 두드러졌으며 심플한 실루엣의 디자인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아방가르드 한 이미지는 실루엣을 기하학 형태로 대담한 표현으로 응용되고 있었으며 대담한 컬러와 어우러져 부피감이 큰 의상에서 많이 나타났다. 에스닉 이미지는 기하학 형태를 프린징, 패치워크 등의 디테일로 표현한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하이테크 이미지는 광택나는 소재와 정교하고 심플한 디자인에서 그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임지완, 박민여(Im & Park, 2007)에 따르면 기하학 형태는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독창적인 의지와 자유로운 표현, 그리고 다양한 개성이 풍요롭게 나타나는 가운데 20세기에 들어와 산업화된 기계문명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기능성과 실용성을 가진 현대적 미감의 새로운 조형형식으로 재구성 되어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다. 기하학 형태는 여러 분야에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상화 하여 도입되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기하학 형태는 시각전달이 빠르고 설득력이 강하므로 현대 디자인, 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는 커다란 이유가 된다.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디자인 논문들을 살펴보면 기하학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다양하게 구분하고 있다. 이지수(Lee, 1991)에 의하면 기하학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수단, 재현성, 주목성, 합리성으로 분류하였고 유정희(Yoo, 2008)에 의하면 합리성, 재현성, 주목성, 단순성, 수단, 착시로 분류하였으며 김형자(Kim,1998)는 수단, 재현성, 시각적 효과, 합리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 형태가 주는 가장 특징적인 조형적 특성을 단순성, 재현성, 주목성, 합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하학 형태가 가지는 특성 중의 하나는 단순성이다. 김은영(Kim,2006), 유정희(Yoo, 2008)에 의하면 원과 삼각형, 사각형은 극도로 단순화 되어진 형태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장식을 배제한 선의 구성은 시각적으로도 강렬한 효과를 가지고 있고 간결함과 명확성, 객관성 등의 요소로 인해 시각전달이 빠르고 정돈된 느낌을 강하게 준다고 하였다. 또한 단순한 형태는 현대적이고 지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서구적이고 도시적인 느낌을 주어 모던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재현성이다. 김형자(Kim, 1998)는 자나 컴퍼스부터 복잡한 기계에 이르기까지 기구는 모두 법칙으로 작용하고, 양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하학적 형태는 객관화 될 수 있는 형태로서 재현이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황정호(Hwang, 1991)에 의하면 객관화 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정확하게 복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이며 기하학 형태는 임의나 우연적인 요소에 근거해서 만들어 지는 형태가 아니라 그리는 사람의 습관처럼 그 사람만이 가지는 사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하학 형태는 만인 공통의 보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주목성이다. 유정희(Yoo, 2008), 이지수(Lee, 1991)에 의하면 기하학 형태는 시각적으로 강렬한 특징인 주목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기하학 형태는 구상 형태와 일반적인 회화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형태와 비교할 때 매우 잘 정리되어 있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명쾌하고 지적인 인상을 준다. 또한 착시라는 큰 특징이 있다. 기하학 형태의 각도, 면적, 방향등에 따라 4차원적인 공간감을 부여하여 더욱 주목성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기하학 형태는 합리성을 가진다. 따라서 형태와 형태를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를 만드는 경우에도 매우 이지적이고 합리적인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크기, 방향, 간격 등의 복합적 구성의 변형이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시각적으로 효과적인 형태이다. 이지수(Lee, 1991)에 의하면 기하학 형태는 형과 형을 합하여 새로운 형을 만드는 형태의 발전과 구성에 관한 관점에 있어서도 매우 편리하고 합리적인 형태로 사용된다고 밝혔다.

3. 디자인 개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한 고부가가치의 상품화를 추구하고 자아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특별한 아이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은 이론적 배경에서 다루었던 패션 컬렉션의 사진 자료를 분석한 내용과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세부 표현 이미지는 모던하고 시크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기하학 형태를 단순하게 조합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화이트, 블랙, 레드 등을 사용하여 더욱 현대적인 분위기를 주고자 하였다. 디자인 디테일은 기하학 형태 중 원과 삼각형을 이용하여 긴 끈에 끼워 넣거나 콜라주한 디테일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4. 디자인 결과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4점의 스카프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전체적인 작품 설명도는 [그림 17]과 같다. [그림 17]은 작품을 마네킹과 봉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 사진으로 강렬한 컬러와 단순한 기하학 형태가 현대적인 분위기를 준다.

각각의 결과물은 마네킹에 연출하였으며 모델에도 착장시켜 스타일링 사례를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모델에게는 상하의 모두 블랙의상을 착장시켜 디자인 컨셉인 모던하고 시크한 분위기를 살리는데 효과적으로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스카프의 연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Figure 17 Scarf Designs
4.1. 작품Ⅰ

스타일링 아이템: 스카프, 원피스, 레깅스, 모자

소재: 울(wool)

컬러: 블랙(black), 레드(red)

작품해설: 작품Ⅰ은 블랙 띠 2장을 어긋나게 겹쳐 박은 후에 삼각형 모티브를 끼워 넣어 제작한 작품으로 어깨에 걸쳤을 때 삼각형 형태가 어깨를 감싸면서 숄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삼각형의 좌우 크기를 달리하여 언밸런스하게 디자인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모던하고 시크한 분위기가 나는 작품이다.

Table 1
WorkⅠ

작품번호 작품사진 작품 스타일링 사진
작품Ⅰ
도식화

4.2. 작품Ⅱ

스타일링 아이템: 스카프, 원피스, 레깅스, 모자

소재: 울(wool)

컬러: 블랙(black), 화이트(white)

작품해설: 작품Ⅱ는 큰 원의 형태를 절개하여 반원의 도형으로 디자인하여 제작한 작품이다. 블랙과 화이트만을 사용하여 단순한 분위기를 주었고 블랙 의상에 착장시켰을 때 스카프가 스타일링의 보조 역할이 아닌 주된 아이템으로 효과적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able 2
WorkⅡ

작품번호 작품사진 작품 스타일링 사진
작품Ⅰ
도식화

4.3. 작품Ⅲ

스타일링 아이템: 스카프, 원피스, 레깅스, 모자

소재: 울(wool)

컬러: 블랙(black), 화이트(white), 레드(red)

작품해설: 작품Ⅲ은 원을 그대로 살려 콜라주한 작품으로서 스타일링 방법에 따라 원의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이 정확하게 다 보이는 스타일링을 연출하면 매우 강렬한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주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카프를 반으로 접거나 원이 어깨 중앙에 놓이게 연출하면 조금 더 부드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Table 3
WorkⅢ

작품번호 작품사진 작품 스타일링 사진
작품Ⅰ
도식화

4.4. 작품Ⅳ

스타일링 아이템: 스카프, 원피스, 레깅스, 모자

소재: 울(wool)

컬러: 블랙(black), 레드(red)

작품해설: 작품 Ⅳ는 긴 블랙 띠에 반원형의 도형을 끼워 넣어 제작한 작품으로써 기하학 형태를 어떤 형식으로 재결합 시키느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카프를 길게 늘어뜨려 연출 하였을 때 반원형이 몸에 붙으면서 의상의 한 부분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목에 여러 번 감았을 때는 풍성한 볼륨감을 주어 색다른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작품이다.

Table 4
WorkⅣ

작품번호 작품사진 작품 스타일링 사진
작품Ⅰ
도식화

5. 결론 및 제언

본 논문은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을 파악하고 이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을 통하여 스카프가 패션에서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타일링의 주된 아이템으로서 활용 될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블랙, 화이트, 레드의 컬러만을 사용하여 모던하고 시크한 분위기를 주고자 하였으며 기하학의 단순하고 명쾌한 조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은 단순성, 재현성, 주목성, 합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시각적으로 단순하고 명쾌한 느낌을 주며 객관적인 형태로 인식 되어 현대 디자인, 예술분야에 다양하게 응용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실루엣, 문양, 디테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는 모던, 아방가르드, 에스닉, 하이테크로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을 통해 기하학 형태를 어떤 형식으로 재결합 시키느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단순하며 명쾌한 느낌을 주는 기하학 형태의 스카프는 심플한 의상과 매치됨에 따라 더욱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 낼 수 있었다.

넷째, 기하학 형태는 형태의 조화에 따라 절제 있는 구성만으로도 단순성과 합리성을 가능케 하며 작가의 창작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는 모티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 삼각형의 기하학 형태를 긴 띠에 끼워 넣는 디테일을 중심으로 스카프 디자인을 제품으로 제작 하였는데 향후 기하학 형태를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실루엣, 문양 등에 응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supported by Dongseo University, "Dongseo Frontier Project" Research Fund of 2012

References
  1. 1 . Hwang, J. (1991). The Design of Dress and Ornaments Applying Color Coordination to Geometrical Shap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 2 . Im, J., & Park, M. (2007). Investigation on the Geometric Pattern of Domestic Golf We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7 (8), 76-77.
  3. 3 . Kim, E. (2006). A Study on Ceramic Plates Modeling by using Geometrical Morpholog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 4 . Kim, H. (1998). A Study of ornaments adapting geometrical abstraction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5 . Kim, S., & Geum, K.(2002).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92 (1). 60-62.
  6. 6 . Langle, E. (2005). Pierre Cardin . London: Thames & Hudson.
  7. 7 . Lee, J. (1991). A Study on Costume Design of Adapting Three Dimensional Geometric Form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8. 8 . Yoo, J. (2008). A Study on Clothing Pattern Design Applying Geometric Form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yunggido, Korea.
  9. 9 . Style. com.(n.d.). Retrieved April 25, 2013, from http://www.sty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