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7, No. 1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China with Respect to Sun Worship
: Focused on Bird Images
중국 태양숭배사상의 시각적 표현연구 새형상을 중심으로
  • Jing Wu :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ID Graduate School, Seoul, Korea
  • Mee-Seon Roh :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Background Globally, almost all nations have engaged in sun worship. China is one of the five birthplace of sun worship and such worship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Chinese culture. Among others, the combination of “a circle (the symbol of the sun)”and “a bird” is very important way of expressing sun worship. The positions of the "sun god bird" changed into an incarnation of the sun, a summoner, and a symbol. The above shows that “an archetype (the symbol of the sun)” and “a bird” have an inseparable, close relationship. As the paradigm of modern Chinese design shows, the cultural meanings and aesthetic values of the “sun god bird” have been incessantly handed down until today, and the images of the “sun god bird” are still applied as a crucial element of design culture in the modern Chinese design area as well.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lue in studying the design direction which may show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a containing the nation's culture and spirit through a study of bird images visually expressing the nation's sun worship phenomen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article aim to elaborate the sun worship from a visual aspect. The organ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myths and legends, as well as ceramics, stone implements, lacquer, gold and silver-ware, embroidery (clothing), and mural-building materials were performed following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the appearance of the sun worship of bird images and categories of different periods were conducted.

Results The formative forms analysis of the sun god bird showed that formative forms of the sun god bird incess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that occurred in each era. Changes in the form of the sun god bird gradually occurred from simple forms to complex forms, and from abstract, irregular symbolic totem signals to specific, dynamic, and regular images. To classify the sun god birds were divided into two types--real birds and imaginative birds--according to socio-environmental differences such as era, culture, and clan and changes and development. Real birds consisted of the ostrich, sparrow, stork, chicken, swallow, crow, crane, owl (hyo), hawk, and wild goose (hong). Imaginative birds consisted of samjogo (three-legged crow), lan, jujak, and bong. Such formative and type analyses of sun god birds are very meaningful and will provide a ground for use in modern design. In modern design, all kinds of sun god bird images are made into simple designs as an important visual element and used as symbol marks in various areas; the spirit and soul are condensed in the images with the meaning of good auspices.

Conclusion The images of sun god birds flow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Chinese history, and the application of sun god bird images also has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during different eras and development. Even until today, the images of sun god birds have unique artistic appeal and mean good auspices, and still crucially influence modern Chinese design. The images of sunbirds have added abundant ethnicity, culture, and symbolism to modern Chinese design and imbued it with wisdom and soul. In the path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nese design, expression styles and implied meanings of the images of sun god birds are perfectly united to lea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future Chinese design and will be the essence of Chinese spirit and culture.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민족이 태양을 숭배하는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은 태양숭배의 오대발원지 중 하나이고, 태양숭배가 중국 문화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그 중‘원형(태양의 상징)’과‘새’의 결합은 매우 중요한 표현방식 중 하나이다. ‘태양새’는 원시인류에 의해 태양의 화신(化身), 소환자, 상징물 등의 신분으로 변화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원형(태양의 상징)’과‘새’가 떼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현대디자인의 패러다임에서 볼 수 있듯이‘태양새’의 문화적 의미와 신미(审美)적 가치는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전해져 내려왔으며, ‘태양새’의 형상은 중국의 현대디자인영역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디자인문화원소로서 응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태양숭배현상을 시각적으로 표출한 새형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문화와 정신이 배어있는 중국만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연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시각적 관점에서 태양숭배사상을 분석하는 것으로, 각종 문헌서적, 신화전설과 도자기, 석기(石器), 청동기, 칠기(漆器), 금·은(金·銀)기, 직수(織繡), 벽화건축물 등에 나타난 태양숭배사상을 표현한 새형상의 상징적 의미를 찾아내어 이를 귀납적 방법으로 정리하고, 각 시기별 새형상의 종류와 조형에 대해 연구·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태양새 조형형태 분석을 통해 시대의 발전변화에 따라 태양새의 조형형태도 끝임 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형태의 변화는 간단한 조형에서 복잡한 조형으로, 추상적이고 불규칙적인 상징성 토템기호에서 점차 구체적, 생동적, 규칙적 형상으로 나타났다. 태양새의 종류를 분류해 보면 시대, 문화, 씨족(氏族) 등 사회 환경적 차이와 변화발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현실의 새와 상상의 새로 분류된다. 현실중의 새는 타조, 참새, 황새, 닭, 제비, 까마귀, 학, 효(鴞), 매, 홍(鴻)이 있다. 상상의 새에는 삼족오, 란(鸞), 주작(朱雀), 봉(鳳)이 있다. 이와 같이 태양새의 조형분석과 종류분석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지며 현대디자인에의 활용근거를 마련해줄 것이다. 현대디자인에서 각종 태양새 형상은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서 간결하게 도안화되어 각종 영역의 심볼마크(Symbol Mark)로 사용되며 길상(吉祥)의 의미로 그 정신과 영혼을 응집시켰다.

결론 태양새 형상은 전 중국역사문명의 발전을 관류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태양새 형상의 응용 영역 또한 바뀌고 있다. 오늘날까지 태양새 형상은 독특한 예술적 매력과 길상의 의미로 여전히 중국 현대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현대디자인의 풍부한 민족성, 문화성, 상징성을 더하였고 중국 현대디자인에 지혜와 영혼을 불어넣었다. 중국 디자인 미래 발전의 길에서 태양새 형상은 표현형식과 내포된 의미가 완벽하게 융합해 중국 미래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이끌 것이며 중국의 정신과 문화의 정수가 될 것이라 믿는다.

Keywords:
Sun worship, bird images, sun god bird, symbol, totem, 태양숭배, 새형상, 태양새, 상징, 토템.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04 Sep, 2013
Revised: 22 Dec, 2013
Accepted: 23 Dec, 2013
Printed: Feb, 2014
Volume: 27 Issue: 1
Page: 175 ~ 197
DOI: https://doi.org/10.15187/adr.2014.02.109.1.175
Corresponding Author: Jing Wu (wujing860220@sina.com)
PDF Download:

This journal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MEST)
이 학술지는 2013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Citation: Wu, J., & Roh, M. S. (2014).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China with Respect to Sun Worship Focused on Bird imag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7 (1), 175-19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중국의 태양숭배사상은 이미 신석기시대에 형성되어 현재까지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원형(태양의 상징)’과‘새’의 결합은 태양숭배사상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표현방식 중의 하나이다. 원시인류의 사고방식에서 태양은 해가 떠서 질 때까지 하늘에 걸려있는 매우 신비한 존재였기 때문에 인간과 가까워질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당시 인류는 태양을 대신할만한 신물(神物)을 찾기 시작하였는데, 아침 일찍 나와서 밤늦게 들어오고, 하늘로 비상하는 등의 태양과 비슷한 습성을 가지고 있는 새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원시인류는 새를 태양의 화신, 소환물, 상징물 등으로 표현해냈다. 이때부터 새는 태양의 존재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전체적인 태양숭배사상에서 태양새 형상의 발전역사를 놓고 보았을 때, 태양새 형상은 중요한 토템(totem)으로써 화하민족(華夏民族)의 발전역사 전체를 아우르는 데 사용되었다. 이 뚜렷한 예술 아이콘의 특징은 바로 중국전통 장식문양에 대한 동방이념의 완벽한 전석을 했다는 것에 있다. 또한 그 안에 깃든 미학적 가치와 예술적 매력은 현대 디자인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원시 태양숭배사상 중 태양새 형상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신석기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각 시기에 따른 태양새 형상의 조형형태와 종류, 상징성에 대해 시각적 관점에서 정리와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 태양숭배사상의 정수인 태양새 상징(symbol)을 현대 디자인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그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태양숭배사상 중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새(鳥)형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기간은 신석기시대부터 근·현대까지로 정한다.

본 논문은 시각적 관점에서 태양숭배사상을 분석하는 것으로, 각종 문헌서적, 신화전설과 도자기, 석기(石器), 청동기, 칠기(漆器), 금·은(金·銀)기, 직수(織繡), 벽화건축물 등을 통해 태양숭배사상이 나타나는 새(鳥)형상을 귀납적 방법으로 정리하여 각 시기별 새(鳥)형상의 종류와 조형에 대해 연구·분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중국 태양숭배의 기원 및 변천의의
2.1. 중국 태양숭배의 기원

중국인들은‘화하민족(華夏民族)’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데, 여기에서‘화하민족’은 사실상 중국 한족(漢族)의 전신이다. ‘화하민족’의 후예는‘염황자손(炎黃子孫)’이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선인들을 계승하여 태양신을 숭배하는 민족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의 역사고문기록에 따르면 화하민족(華夏民族)은 반고의 천지개벽부터 후대의 복희(伏羲)·염제(炎帝)·황제(黃帝), 그리고 황제의 후예에 이르기까지 모두 태양신을 상징했다고 한다. 아래 제시한 고대 서적을 보면 우리는 그 사실을 고증할 수 있다.

반고에 대한 최초의 문자기록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서정(徐整)이 쓴 《三五歷記》이고, 그 후로 《五運歷年紀》, 《古小說鉤沉》, 《玄中記》에 반고의 천지개벽 과정이 서술되어 있다. 남조시대 양⋅임방(梁⋅任昉)이 저술한 《述異記》에서는 반고가 죽은 후 그의 몸이 천지만물이 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는데, 그 중 그의 두 눈이 해와 달이 되었다고 한다. (Figure 1)

《二十五別使帝王世紀》의 기록에 의하면 복희씨의 신분은 태양신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Figure 2)

신농씨인 염제(炎帝)의 명칭은 두 가지 해석이 있는데, 태양신이라 칭하기도 하고, 화신(火神)이라 칭하기도 한다. (Figure 3) 그 중《白虎通義》에서 말하길 “염제는 태양이다.”라고 하여 염제를 태양이라 칭하였고, 이와 같이《說文》과《左傳⋅昭十七年》에서는 염제를 화신(火神)이라 칭하였다(He,1996).

황제는 광제, 곧‘광명의 신’인데, 《尙書》, 《呂氏春秋》,《莊子》에서는 황제라고 기록하기도 한다. 고대에 황(黃)과 황(皇) 두 한자는 통용되었기 때문에 소위 황제(黃帝) 또는 황제(皇帝)라고 불리는 것은 기본적으로 태양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He,2007). (Figure 4)


Figure 1 Pan Gu


Figure 2 Fu Xi


Figure 3 Yan Di


Figure 4 Huang Di

2.2. 중국 태양숭배의 변천의의

태양숭배의 의의는 인류문명의 발전에 따라 함께 변화하였다. 최초 상고시대의 인류는 어둠과 추위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광명과 따뜻함을 찾기 위해 태양을 숭배하기 시작했다. 신석기시대가 되어 인류는 농업·목축업의 풍작을 위하여 태양을 숭배하였다. 그 후, 인류사회가 점차 문명화되면서 인류는 태양의 존재를 민족을 이어주고 그 관계를 유지시키며 왕권을 보호하는 신으로 보았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서 인류는 현대화의 생활로 나아갔고 태양숭배사상은 일종의 길상(吉祥)문화로 바뀌어 전파되었다. 태양에는 광명(빛) 아름다움 그리고 행복한 생활의 동경이라는 함축된 의미도 가지고 있다.

문화는 인류의 생존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모든 문화 요소는 인류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생한 것이다. 어떠한 문화 요소든지 사회에서 일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곧 사라지게 된다(He,1992). 태양숭배사상 역시 예외는 아니다. 태양신신앙은 그 당시 민족의 연대의식이었고, 민족정신을 유지시키는 버팀목이며, 민족영혼을 연결시키는 유대였다. 태양숭배사상에 대한 탐구와 이해를 통하여 중국 민족의 사유(생각), 지혜, 문화, 논리 및 당시의 생활상을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으며, 원시 인류와 문명의 발전과정 중의 생활모습을 탐구할 수 있게 되었다(Gao,1993).

3. 중국 태양숭배사상 새(鳥)형상의 시대구분에 따른 조형 종류분석
3.1. 새(鳥)형상의 시대구분에 따른 조형분석

다음은 시대의 변화와 발전에 따른 새(鳥)형상 조형에 대한 분석과 연구이다.

(1) 하모도(河姆渡)문화(약 기원전5000년―기원전3300년)

새와 태양이 결합된 문양의 조합은 이 시기의 장식문양 중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새(鳥)형상은 주로 새(鳥)문양과 새(鳥)형기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좌우대칭의 조형표현 형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Table 1
Hemudu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좌우대칭문양. 두 개의‘◎’형은 태양을 상징하며 ‘ ’형은 태양이 내뿜는 빛이고, 좌우양옆의 새는 태양새이다.
좌우대칭문양. 새 두 마리를 한 몸으로 표현, 새의 머리는 서로 등지고 있고, 두 새의 중간에 있는‘⊙’형은 태양을 상징하며, 태양상단은 태양이 내뿜는 빛이다.
좌우대칭문양. 이 문양은‘쌍조조양(双鳥朝陽)’이라는 문양이다. 중간‘◎’형은 태양이고, 태양 위쪽에 화염이 불타고 있으며, 양옆에 태양을 지키는 새는 태양새이다.

(2) 앙소(仰韶)문화(약 기원전5000년―기원전3000년)

새(鳥)형상에 특히 영향을 많이 준 문화 유적은 반파(半坡)문화유적, 먀오디거우(廟底溝)문화유적이다. 다음은 위에 언급한 문화유적의 새(鳥)형상에 대한 분석이다.

① 반파(半坡)문화 유형

새(鳥)형상은 주로 물고기와 새를 결합한 그림 문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2
Banpo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아래쪽의 새가 몸과 머리를 숙이고, 주둥이에는 물고기의 꼬리를 물고 있다. 새는 하늘을 날고, 물고기는 물에서 헤엄친다. 새문양과 물고기문양의 결합은 천지의 소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② 먀오디거우(廟底溝)문화 유형

비조타일(飛鳥馱日)문양, 삼족오문양이 이 시기의 중요한 문양이며, 새(鳥)조형 문양을 정면, 측면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고, 모두 완전한 변천 과정이 있다.

Table 3
Miaodigou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좌우대칭문양. 원형부분은 새의 머리, 활모양 삼각형은 비상하는 새의 날개를 나타내고, 세로 선 세 개는 삼족을 나타낸다. 이 문양은 삼족새, 태양의 상징이다.
새의 옆모습을 나타낸 문양. 이 문양은‘비조태일(飛鳥馱日)’문양이라하고‘●’형은 태양이다. 태양은 새의 몸 위에 있고, 새가 태양을 등에 얹고 날아간다. 이것은 태양신새의 상징이다.
황새와 물고기는 복합문양이다. 하늘·땅과 양·음을 분별적으로 상징한다. 황새와 물고기 동시에 두 씨족의 토템을 나타낸다. 황새와 물고기의 결합은 두 씨족의 융합을 함축하는 의미이기도하며 돌도끼는 권력을 상징한다.
새 조형이 매의 모습을 하고 있다. 등 쪽이 개정구이고, 입이 뾰족하며 눈이 매섭고, 매의 두발과 꼬리부분은 정(鼎)의 세발을 이루고 있다. 숫자‘삼’은 양이고, 매는 용감함과 힘을 상징한다. 옛날사람들은 태양의 광열을 가져다주는 신새라고 비유했다.

위에 분석한 정면 새문양은 고도의 추출로 요약된 형상으로 하나의 둥근 원형은 새의 머리를, 삼각 곡선은 정면으로 날고 있는 새의 몸을, 세 개의 세로 선은 새의 삼족을 나타낸다. 후에 정면 새문양의 삼족은 생략되었고, 둥근 원형과 삼각 곡선만으로 표현하였다(Zhang,1990). 아래 (Figure 5)는 먀오디거우(廟底溝) 유형의 정면 새문양의 변화과정을 추측한 그림이다.


Figure 5 Miaodigou culture type Front Bird patterns change process Notes: Chinese painted pottery spectrum P158

측면 새(鳥)문양 역시 문양 묘사에서 기하학적 문양으로 발전한 것이다. 초기의 측면 새문양의 몸은 비교적 둥글고 뚱뚱하고, 주둥이를 벌리고, 양 날개를 들치고 있다. 새의 꼬리 역시 겹쳐 위로 치켜들고 있고, 새의 머리 위에는 크고 동그란 원이 있다. 이 후에 측면 새문양은 새의 머리는 하나의 동그란 원형으로 표현하였고, 주둥이와 다리 모두 간략하게 변화하는 등 끊임없이 간소화 되었다. 새의 몸은 가늘고 긴 하나의 곡선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측면 새문양은 하나의 둥근 원형과 세 개의 곡선으로 간소화 되었다(Zheng,1990). 아래 (Figure 6)는 먀오디거우(廟底溝) 유형의 측면 새문양의 변화과정을 추측한 그림이다.


Figure 6 Miaodigou culture type Flank Bird patterns change process Notes: Chinese painted pottery spectrum P159

(3) 홍산(紅山)문화(약 기원전4000년―기원전3000년)

홍산(紅山)문화는‘태양신’을 믿으며 태양을 최고의 숭배대상으로 여긴 문화를 말한다. 새(鳥)형상은 새(鳥)형기 위주이다.

Table 4
Hongshan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좌우대칭문양. 새의 형상은 효(올빼미)를 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천지(天地)와 소통하는 신조였다. 그래서 이시기의 새(鳥)형기는 대부분 비행하는 상태이며, 눈은 밤에 매우 빛나고 빛을 가져 올 수 있는 밤의 태양신 새라고 칭해진다.

(4) 능가탄(凌家灘)문화(약 기원전3500년―기원전1500년)

능가탄(凌家灘)문화는 옛날 소거(巢居)문화의 일종의 계승과 연장이고, 능가탄(凌家灘)의 유적 중 출토된‘옥응(玉鷹)’은 능가탄(凌家灘)선민의 새(鳥)토템 신앙, 태양숭배의 겸합의식(兼合意識)을 나타낸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것은 유소씨족(有巢氏族)의 제일 전형적이며 이들만의 독특한 토템숭배이다(Ning,2009).

Table 5
Lingjiatan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옥응(玉鷹)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듯한 형상이며, 흉복부의 팔각성(八角星)문양이 주체가 된 도안이다. 양 날개는 펼쳐져있고, 날개엔 당시의 토템신앙의 영향으로 돼지머리모양이 나타난다. 독수리와 팔각성(八角星)문양이 결합된 것이 바로 태양 새이며, 태양신을 상징하고, 하늘의 사자를 의미한다.

(5) 양저(良渚)문화(약 기원전3300년―기원전2000년)

양저(良渚)선민은 새를 태양의 정령이라고 생각했고, 신새는 태양신의 화신 이라고 여겨, 새를 숭배하는 것과 태양숭배를 결합하여 양저(良渚)시대의 태양숭배는 중요한 현상이 되었다. 새(鳥)형상은 새(鳥)형기와 새(鳥)문양 두 가지로 분류한다.

Table 6
Liangzhu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좌우대칭문양. 새는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상이며, 새의 두 눈은 밖으로 튀어나와있고, 새 눈, 머리, 목 부분에는 태양이 막 떠오르는 듯한 빛의 문양이 새겨져있다.
이 새는 옥돌(玉石)에 조각해 만들어진 것으로 새 조형이 간단하며 무늬가 없어 뚜렷한 특징이 없지만 전체적인 조형형태로 보았을 때 참새로 추정된다.
새머리위에 깃털이 있고, 꼬리털이 길고 위로 솟아있으며, 등 부분에 ‘ ’형은 빛이 퍼져나가는 태양의 성광을 상징한다. 전체적으로 닭의 형상을 하고 있다.

(6) 삼성퇴(三星堆)문화(약 기원전2800년―기원전800년)

새(鳥)형상은 옛날 고촉인(古蜀人)들의 새에 대한 숭배가 반영되어 있는데, 그 본질은 태양과 태양신새숭배이다. 새(鳥)형상은 새(鳥)형기 위주이다.

Table 7
Sanxingdui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청동대조두(青铜大鸟头) 이것은 이 시기에 출토된 것 중에 제일큰새의 형상으로써 눈 부분이 크게 표현되어 있다. 이 시기의 태양숭배를 상징하는 신물이다.
청동나무위에 아홉 마리 새가 서있는데, 고대 ‘십일신화(十日神話)’를 표현하고 있다. 청동나무는 세층으로 나뉘어지고, 아홉 가지가 있는데, 매가지 끝에 새 한 마리가 있고, 또 한 마리 새는 청동나무 맨 꼭대기위에 서있다. 여기서 청동 새는 바로 전설속의‘금 까마귀(金烏)’이다.

(7) 금사(金沙)문화(약 기원전17세기 초―기원전476년)

금사(金沙)문화는 삼성퇴(三星堆)문화 중 태양과 태양신새에 대한 숭배를 계승하였다.

Table 8
Jinsha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 발 앞뒤가 연결되어있고, 같은 방향인 시계반대방향을 향해 날고 있으며, 안쪽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이다. 태양은 중심에서 사방으로 빛이 12갈래로 뻗어나가고 있으며, 네 마리 신새가 그 빛의 바깥을 둘러싸고 옆쪽에서 날개를 뻗고 날아가고 있다.

(8) 신점(辛店)문화(약 기원전1400―기원전700년)

신점(辛店)문화의 새(鳥)문양 대다수는 새의 옆모습을 간략하게 그린 형상과 구형(갈고리형)문양과 매우 유사하다.

Table 9
Xindian culture typ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의 옆모습을 나타낸 문양. 머리가 작고 목이 길며, 타조의 형상이다.

처음에는 새문양이 굴곡 된 선들로 이루어졌다, 이후엔 끊임없이 간략화와 변형이 되면서 한 가닥이 양쪽에서 서로 엇갈려 구부러진‘S’자형 선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아래 (Figure 7)은 신점(辛店) 새문양이 구상에서 추상으로 끊임없이 간략화 되며 변화하는 과정이다(Zhang,1990).


Figure 7 Xindian culture type Bird patterns change process

Notes: Chinese painted pottery spectrum P180


(9) 상(商)(약 기원전1600년―기원전1046년)

상 민족은 현새(玄鳥)를 토템숭배의 대상으로 여겼다.

Table 10
Shang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의 양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는 듯한 형상이며, 꼬리는 짧고 두 갈래로 나뉘어 갈라져있다. 새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듯한 형상이며, 제비(현새(玄鳥))의 특징이다. 즉 하늘 중에 날고 있는 태양새이다.
이새의 형상은 효(올빼미) 이다. 효준(鴞尊)은 발이 세 개 있고, 숫자‘삼’은 태양을 의미한다. 효는 다른 말로 올빼미(부엉이)라고하기도 하며, 눈은 밤에 빛을 내어 옛사람들은 밤의 태양신새로 상징했다.
새가 돌아보고 있는 단면의 형상으로, 꼬리털이 두 갈래로 나뉘어있으며, 제비(현새(玄鳥))이다. (또는 까마귀 등과 같은 까만 깃털의 새)

(10) 춘추전국(春秋戰國)시기(약 기원전770년―기원전221년)

봉(鳳)새은 춘추전국(春秋戰國)시기 초(楚)나라의 중요한 장식주제였으며, “초(楚) 예술의 장식모제”라고 불리었다(Zhang,1998).

Table 11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복합문양. 양측의 난새가 호좌의몸위에 나누어 서있다. 난새와 호랑이는 전국추국의 토템으로 나뉘며 두 태양새중간의 동그란 북은 태양의 상징으로 본다.
두 새 위아래 시계 방향으로‘S’자형으로 차례로 놓였으며 이것은 태양의 회전(움직임)을 상징한다.

(11) 진(秦)(약 기원전221년―기원전206년)

진(秦)나라는 비록 서쪽으로 옮겨갔으나, 소호씨족(少昊氏族)은 태양새의 전통을 신봉하였다.

Table 12
Qin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문양 면에 하나의 수평현선에 모두 두 가지로부터 상하각좌우 대칭으로 날아가는 새가 두 마리인데, 또 현선을 축으로 하여 거울면대칭으로 있다. 중간축선이 상하로 각각 태양문양이 하나씩 있다. 태양문양 아래가로선이 하나가 있는데 바로‘단(旦)’아침을 뜻하는 글자이다 (Zhang,1998).
중간에 작은‘○’모양은 태양 형상이며 태양 중앙의 새는 학이며, 중앙의 원을 중심으로 바깔의 큰 원이 십자분할로 네 부분이 나뉘어 있는데, 각 부분마다 구름이 그려져 있으며, 이 도안이 합쳐져 운학문(雲鶴紋)이 된다.

(12) 한(漢)(약 기원전206년―공원220년)

이 시기에 대부분의 새를 태양 안에 그려 넣거나 새의 복부를 태양으로 그리거나 또는 새를 태양으로 바로 표기했다. 태양새는 한(漢)나라시대의 중요한 숭배토템이다.

Table 13
Han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형 안에 새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태, 새의 형상이 까마귀이다. ‘○’형은 태양을 상징한다.
발이 세 개 있는 새이며, 검은색이다. 새 형상은 까마귀이다. 태양의 상징인 삼족새다.
발 두 개가 검은색인 까마귀가 ‘○’형안에 서있다. ‘○’형은 태양을 상징한다.
사람의 머리를 하고 새의 몸을 가졌다. 복부는‘●’형으로 되어있고 ‘●’가운데에 태양신새가 비상하고 있으며, 이문양은 태양신의 상징이다.
주작은 남방토템의 상징이다. 남방날씨가 더워 ‘양’이라 하는데, 옛날 사람들은 ‘주(珠)’를 써서 ‘양’을 상징하였다. 그래서 주작은 기본적으로 입에다 주(珠)를 물고 있도록 표현하였고, 똑같은 문양 중에 ‘⊙’의 형상역시 태양의 상징이다.
새의 옆모습으로 머리는 돌아보고 있는 모습, 부리근처에 ‘□’형은 ‘주(珠)’ 즉 ‘양’의 상징이며, 새가 ‘○’형 가운데 서있는데, ‘○’형은 태양의 상징이다. 새의 조형으로 추측해 볼 때 이 새는 타조이다.
새 복부에 ‘●’형이 있는데 태양을 뜻하며, 날아가는 모습이다.
새 발은 세 개, ‘●’형은 태양의 상징이고, 새가 태양가운데 서있는 것이다.
‘○’형 가운데 새가 대칭을 이뤄 날아가는 모습, ‘○’형은 태양을 상징 한다.
새가 다리하나로 서있는 모습, 새부리에는 물고기를 물고 있다. 새 머리 위에 ‘●’형이 있다. ‘●’형은 태양을 상징한다.

(13) 당(唐)(약 공원618년―공원907년)

당나라는 매우 번영되고 강성했으며, 외국과의 교류가 빈번하였다, 불교가 대량으로 유입되었고, 태양을 숭배하였는데 이는 곧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숭배했다고 볼 수 있다. 원시 자연에 대한 숭배는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점차 인신(人神)과 관리(官吏)에 대한 숭배로 바뀌어갔다. 새(鳥)형상을 그린 것은 정교하고 옹골지며, 구조가 뚜렷하다.

Table 14
Tang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 발은 세 개, ‘○’형에 서있다. ‘○’형은 태양을 상징한다.

(14) 요(遼)(약 공원907년―공원1125년)

요(遼)나라는 중국고대 북방 거란족(契丹族)이 건립한 하나의 소수민족 정권이며, 거란인(契丹人)은“호귀이귀일(好鬼而貴日)”이라 하여 태양을 숭배하는 민족이며 태양이 뜨는 동쪽을 귀히 여겼고, 큰 행사를 거행할 때는, “제고천지일신, 유부배월.(祭告天地日神,惟不拜月.)”천지일(하늘, 땅, 태양)신에 제를 고하였다(Ke,2008).

Table 15
Liao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옆면이 새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두 마리의 새가 서로를 바라보며 머물고 있는 모습, 두 새 가운데 동그란 구슬이 있는데, 구슬 안에는 화염이 있으며, 화염을 내뿜고 있는 동그란 구슬은 마치 태양 같다.
새부리가 뾰족하고 짧다. 양 날개를 펼치고 있으며, 꼬리털이 길고, 발은 세 개이고 서있는 모습이다.

(15) 원(元)(약 공원1206년―공원1368년)

중국 역사상 첫 번째 소수민족이 건립한 대일통제국(大一統帝國)이다. 원(元)나라시대의 몽고인(蒙古人)은 자연을 숭배하였는데, 그들은 태양, 달, 물, 불과 토지를 숭배하였다(Dao,1983).

Table 16
Yuan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상단에는 구름들이 태양을 끌고 있으며, 아래에는 한그루의 부상(扶桑) 나무가 있다. 부상(扶桑)은 태양이 떠오르는 지역을 상징한다. 부상나무 앞의 새는 머리를 돌아보고 서있다.

(16) 명(明)(약 공원1368년―공원1644년)

주원장(朱元璋)이 정한 국호는‘대명(大明)’이다. 대명왕조의 신성을 뜻하며 대명왕조의 국운이 마치 태양과 같이 환히 빛나고 달과 같이 오랫동안 빛나길 바란다는 뜻이다(Xu,Chen,2005). 이 태양숭배는 점점 자연을 숭배하는 것에서부터 군주통치(君主統治)가 숭배를 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Table 17
Ming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의 형상은 봉황(鳳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새가 날개를 펼치고 공중으로 태양을 바라보며 날아간다. 이 문양은 ‘단봉조양(丹鳳朝陽)’이라 하며, 아름다움과 빛을 상징한다.

(17) 청(淸)(공원1616년―공원1911년)

청(淸)나라 풍습은 대부분 명나라 때에 전해져 내려온 것이며, 민간에선 보편적으로 조상신, 천신, 땅신, 태양신, 월신 등을 신봉하였다.1 새(鳥)조형이 대부분 태양과 결합 돼 만들어졌으며, 그중‘태양’은 대부분 황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Table 18
Qing dynasty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이 문양은 십이장(十二章)문중의 일(日)문이다. 십이장문은 중국 제제시대의 복식에서 나온 것 이며, 등급의 구별이 표현되어있다. 이 문양 중 닭이 태양에 서있는데, 권력이 천하에 두루 비치는 것을 상징한다.
이 문양은‘단봉조양(丹鳳朝陽)’문양이다. 봉황(鳳凰)의 수컷은 봉(鳳)이고 암컷은 황(凰)이며 아름다움과 평화를 상징한다. 아름다운 행복을 함축하고 있으며, 빛을 쫓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양은‘일일당조(一日当朝)’문양이다. 학(鶴)은 지혜로운 현재(현명하고 유능한 인재)를 뜻하며, 태양은 황제를 뜻한다. 문양중 학(鶴)은 태양을 바라보는 것은 관운이 형통함을 상징한다.

(18) 근·현대(공원1840년-현대)

근대는 1840년-1949년을 가리키고 현대는 1949년 신 중국성립부터 지금까지를 가리킨다. 근·현대는 근대와 현대 두 시대와 같이 있는 것이고, 근현대의 새문양은 주로 민간의 공예 품 중에 나타나고 있으며, 새문양의 모양특징과 표현형식방면은 더욱 세밀하고 사실그대로를 묘사하였다. 이 시대의 새문양은 선명한 시대적 정취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명·청나라시기 새문양의 특징 또한 이어가고 있으며 중화민족전통의 심미정취를 간직하고 있다.

Table 19
Modern age Bird representative image

대표 새형상 조형 분석
새가 봉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다리하나로 서있고, 머리는 돌아보는 모습이다. 새의 얼굴은 태양을 바라보고 있으며, 태양은 빛을 상징한다. 이 문양은 ‘단봉조양(丹鳳朝陽)’문양 이고 아름다운과 빛, 행운을 상징한다.
이 문양은‘선학조양(仙鶴朝陽)’문양이다. 학은 옛날 사람들은 ‘선학 (仙鶴)’이라 칭하였고, 선학은 아름답고 고상한 품덕과 지혜의 상징이다. 선학이 날개를 펼치고 태양을 바라보며 날아가는 모습이다. 차츰차츰 승진하는(보보고승(步步高升) 것을 의미한다.
두 마리 봉이 아래위로 대칭한다. 두 머리가 서로 뒤얽혀있다. 두 머리 중간은 일문(日紋)으로 되어있고, 일문(日紋)은 팔각문양과 ‘日(일)’자로 만들어져있다.
이 문양은‘단봉조양(丹鳳朝陽)’문양이며, 봉새가 다리하나로 나무위에 서있고, 태양을 바라보고 있다. 아름다움과 빛, 행운을 상징한다.

표(Table 20)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볼 때‘원형(태양의 상징)’과 ‘새’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합형식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원형이 새의 몸 위에 있다. (예: ) 둘째, 원형이 새의 몸 가운데에 있다. (예: ) 셋째, 새가 원형 가운데에 있다. (예: ) 그 중 여기 나타난 ‘원형’은 태양을 상징하며2 ‘새’는 태양사자(使者) 신분의 역할이고 태양새 라고 불리운다. 시간발전으로 볼 때 태양새는 시간에 따라 변화했다는 것을 볼알 수 있다. 간결하고 세련되고 추상적인 것에서 부터 복잡하고 세밀하게 사실적인 형태를 묘사한 발전과정이다. 신석기시대의 태양새는 대다수 간결하고 세련되고, 추상적인 상징성 토템기호의 형식으로 표현하였고, 대부분 도자기나 상아, 옥돌등 기물위에 새겨졌다. 그중 도자의 표현이 제일 널리 쓰였다. 상나라시기의 태양새는 대다수 청동기의 문식상에 나타났다. 태양새 조형은 장식이 점차 추가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토템기호의 상징의미를 가지고 있다. 춘추전국시기에 태양새 형상은 대부분 칠기와 청동기 문식 상에 나타났고, 태양새 형상은 난(鸞)새 위주였다. 봉황(鳳凰)의 형태는 미성숙시기였으며 장식적 표현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진·한시기, 신화전설의 영향을 받아 태양새는 신화의 신앙으로서 폭넓게 생활 속에 나타났다. 그중 삼족오과 사신도중의 주작(朱雀)은 제일 표현이 뛰어났으며 대부분 화상전이나 와당에 문양으로 표현되었다. 당나라시기에는 불교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태양새조형의 표현은 불교와도 관련이 있었다. 원나라시기, 태양새는 봉(鳳)으로 표현되기 시작되었고, 봉(鳳)의 조형역시 점점 화려하게 완성되어갔다. 명·청시기, 태양새의 형상은 역대 태양새 형상의 특징들을 종합하였고, 각종 공예예술 중에 응용되었다. 그중‘봉(鳳)’은 길운의 상징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었고, 문양은 번거롭도록 꼼꼼하고 정교하게 새겨졌다. 형태는 있는 그대로를 화려하고 정교하게 묘사하였으며 잘 다듬어져 현대의 모습(형태)을 갖추게 되었다. 근·현대시기에는 기본적으로 명·청 때의 태양새조형의 전통정수를 계승하였고, 장식성에선 한걸음 더 나아갔으며, 점점 디자인과 유행 감각이 더해졌다.

Table 20
China sunbird image change process


3.2. 새(鳥)형상의 종류분석

아래는 중국의 신석기시대에서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태양숭배현상 중 나타난 새의 종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다음은 새 종류를 현실에서의 새와 상상 속에서의 새 두 종류의 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현실의 새로는 타조, 참새, 황새, 닭, 제비, 까마귀, 학, 효(鴞), 매, 홍(鴻)이 있다.

타조는 내몽고(內蒙古) 음산(陰山)의 원시적 암벽화에서 태양을 숭배하는 토템으로 출현하였으며 가장 먼저 출현한 태양신새이다(Pang,2007). 참새는‘송곡의 신(送谷之神)’으로 불리 운다.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이 세상에는 곡식이 없었는데 참새가 하늘에서 곡식을 사람의 세상으로 가져왔다고 한다(Chen,1996). 이 전설은 7000년 전 하모도(河姆渡)문화 유적에서 출토된 새문양 도안에서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황새는 천조(天鳥), 물고기는 수물(水物)로서 황새가 물고기를 물고 있는 것은 자연현상을 묘사한 것으로 천지가 상통한다는 비유를 나타낸다(Pang,2007). 닭은 예로부터 붉은 벼슬과 아침 동틀때 우는 습성 때문에 태양을 상징하는 조류로 생각되었다. 하모도(河姆渡)문화, 송택(菘澤)문화, 양저(良渚)문화 등 수많은 문화들 중 전해내려 오는 원시의 태양새 형상은 사실상 닭을 시초로 하여 형상화한 태양새이다. 제비는 예로부터 현새라고 불렀는데 이는 곧 태양새를 뜻한다. 까마귀와 태양과의 관계는 처음《山海經》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山海經·大荒東經》에서“탕곡위에 부목이 있다. 한 개의 태양이 나타나면, 한 개의 태양이 나간다. 모두 까마귀였다.(湯谷上有扶木,一日方至,一日方出,皆載于烏)”(Yuan,1991)라고 쓰여 있다. 매는 새 중의 왕이며, 몹시 사나운 습성 때문에 옛날사람들은 놀라 감탄하거나 경이로워 하였고 그리하여 신화화되고 숭배하게 되었다. 학(두루미)은 고대에 선금(仙禽)이라 불렸고, 신화(神話)에서 종종 선인과 짝이 되었기 때문에 선학(仙鶴)이라고 이름 짓게 되었다. 선학이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는 도안인 ‘일품선학(一品仙鶴)’그림에서 태양은 황제를 상징하고, 학은 일품 문관을 상징했다. 소상하고 품덕이 있는 숭고한 지위의 상징이기도 했다. 이외에 현대에 부엉이라 불리는 효(鴞)(올빼미)와 백조 또는 기러기라 불리우는 홍(鴻)이 있다.

상상의 새로는 삼족오, 란(鸞), 주작(朱雀), 봉(鳳)이 있다.

삼족오 선민들은 태양흑점을 보고 날고 있는 까만 새–까마귀라고 생각했다. 이 까마귀는 자연의 까마귀와 그 생김새가 달라 다리가 하나 더 있는 것으로 분 구별을 했다. ‘삼(三)’은 기수 이며 양수이기 때문에 고인들은 삼족오 토템을 특출하고 뚜렷한‘양(陽)’기로 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 한 것으로 당시 태양숭배를 중시했던 생각의 반영이다(Pang,2007). 란(鸞)(난새)는 깃털이 오색으로 적색이 주를 이루고, 닭과 비슷한 형태로 금계(錦鷄)와 같은 형태이기도 하며, 오색으로 청색이 조금 더 선명하고 공작과 같은 형태이기도 하다. 다 자라지 않은 새끼 봉황(鳳凰)을 가리키기도 한다.(Pang,2007). 주작은 주로 입에 구슬을 물고 있다. 주작(朱雀)은 제비와 난새의 특징을 유사하게 지니고 있고 황새의 긴 다리, 뱀의 목, 난새의 날개, 닭의 머리와 부리, 공작의 벼슬과 깃털 등의 특징들을 모두 몸에 가지고 있다(Wang,2008). 봉(鳳)은 전설에 따르면 수컷을 봉(鳳)이라 부르고 암컷을 황(凰)이라 불렀다. 세간의 태양새-닭 과 비교하면 신성의 태양새-봉(鳳) 이다. 확실히 더 휘황하고 함축된 의미가 더욱 넓고 풍부하다(Chen,1996). 봉(鳳)은 현(玄)새, 난새, 주작(朱雀)을 기초하여 닭의 원형과 앞에 언급한 새들의 장점은 더하고 더 아름답게 변화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4. 현대디자인에서의 중국 태양새 형상 활용

태양숭배문화는 전체 중국문화의 발전사를 관류하고 있다. 태양새 토템의 문화 역시 중국문화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발전과 현대디자인의 발전 방향은 무시할 수 없는 내면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현대 디자인에서‘태양새’는 태양신의 사자(使者)이며 하늘위의 영매(靈媒)로서의 의미는 점차 약화되고 반대로‘태양새’몸에 길상(吉祥)의 의미는 더욱 강해졌다. 현대인은‘태양새’를 복녹(福祿), 평안(平安), 행복(幸福), 고상(高尙), 아름다움 그리고 조화 등 길상의미(吉祥意味)의 상징에 비유한다. 이러한 각종길상(吉祥)의 의미(意味)인‘태양새’는 중국을 상징하는 심볼(Symbol)로서 광범위하게 현대 디자인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아래에 예시한 중국 현대 심볼마크(Symbol Mark)디자인을 통해 알 수 있다.

중국의 유명 TV채널‘봉황TV(凤凰卫视)’의 심볼마크(Symbol Mark)는 두 마리의 봉황(鳳凰)이 하나의 원을 구성하고, 가운데는 세계를 주시하고 있는 봉황의 눈을 나타냈다. 봉(鳳)·황(凰) 두 마리 새가 빙빙 돌며 춤추듯 날고, 화합하며 상호작용 하며 하나의 원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봉황의 기원과 형상을 함축하고 있다. 새 두 마리의 머리는 안으로 향해 있고 꼬리는 바깥을 향해 있어 열려있는 고리와 같은 형상이고 입구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이는 중국의 전통적이고 폐쇄된 의식형태 중 출구를 찾는 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문을 열고 협력을 환영하며 도전을 맞이한다는 의미도 있다. 이는 각종 선진적인 경험과 우수한 문화를 흡수하여 대중매체로서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개방된 자세로 세계에 융합하여 세계로 하여금 중국을 이해하게 한다는 의미 또한 나타내고 있다. (Figure 8) 태양신새 토템은 정식으로‘중국문화유산(中國文化遺産)’의 심볼마크(Symbol Mark)가 되었다. (Figure 9) ‘사천신문넷(四川新聞网)’의 심볼마크(Symbol Mark)의 전체적 디자인은 태양새 도안을 기초로하여 새로운 심볼마크(Symbol Mark)로 탄생되었으며 고대 고촉문화의 함축된 의미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Figure 10) ‘청도(靑島)시 도시형상’심볼마크(Symbol Mark)의 핵심 도안은 태양신새 토템 디자인으로 완성되어 진사유적의 태양신새가 다시한번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Figure 11) ‘제4회 세계태양성대회(世界太陽城大會)’휘장은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태양새와 4개의 채색 점으로 구성되어있다. 태양새는 행복, 건강, 화합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휘장은 점차 변화한 금색의 태양새로 번영하고 발전한 세계태양에너지 사업의 밝은 전망을 표현한다. (Figure 12) 중국의 항공사는 이십여 개가 있는데 그 중 봉황(鳳凰) 혹은 봉황(鳳凰)을 모티브로 심볼(Symbol)을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의 심볼마크(Symbol Mark) 역시 봉(鳳)문양을 변형하여 만든 것이다. 어떻게 봉황(鳳凰)을 선택하여 심볼마크(Symbol Mark)로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중국국제항공(中國國際航空)’의 심볼마크(Symbol Mark) 상징성을 보면 알 수 있다. (Figure 13) “‘봉(鳳)’은 아름답고 길(吉)한 신새이다. 이 신기한 새가 어느 곳에든 나타나면 그 곳에 안락과 평온을 가져다준다.(Pang,2007).” 이외에도 태양새를 활용한 심볼마크(Symbol Mark)의 많은 성공사례들이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태양새형상이 심볼마크(Symbol Mark)의 디자인에 활용되면서 태양새 형상은 간결(簡潔)하고 생동적인 도안화형식으로 표현되며 길상(吉祥)의 의미(意味)가 더욱 강해진다. 상대적으로 원래 가지고 있던 태양숭배의 의미(意味)는 약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8


Figure 9


Figure 10


Figure 11


Figure 12


Figure 13

5. 결론

위의 분석을 통하여 신석기시대를 시작으로 근·현대까지 중국의 고대 선민들의 태양숭배는 자연숭배, 인신숭배, 종교숭배, 왕권숭배의 발전과정을 거쳤으며, 이에 따라 태양새의 조형형태도 끊임없는 변화를 거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새형태의 변화는 간단한 조형에서 복잡한 조형으로, 추상적이고 불규칙적인 상징성 토템기호에서 점차 구체적, 생동적, 규칙적 형태로 바뀌면서 강렬한 장식성이 가미된 트렌디(Trendy)한 디자인의 성격을 나타낸다. 그중‘원형’과‘새’의 조합조형은 전체 발전과정에서 일관된다. 이러한 조형의 변화는 원형과 새의 조합방법에 따라 원형 안에 새, 새 몸속에 원형, 원형과 새의 분리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원형’과‘새’의 조합조형 중에 표현된‘원형’은 모두 태양의 상징이다. ‘새’는 모두 하늘위의 영매(靈媒)이며 태양 사자(使者)의 상징이기도하다. 이런 종류의‘원형’과‘새’의 결합표현방식이 제일 뛰어난 역사시기는 한(漢)나라이다. 태양숭배현상 중 새(鳥)형상 종류 분석을 통하여 태양새는 단지 한가지의 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태양숭배 문화의 발전과정 중 지역, 문화, 사상, 씨족 등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태양새의 표현형식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태양새 종류도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삼족오는 여러 시대에 거쳐 나타났으며, 제일 중요한 태양새로 취급되었다. 란(鸞)과 주작(朱雀)은 모두 봉(鳳)의 미성숙시기에 발전된 진화단계의 태양새이며, 봉은 태양새 발전의 후기 조형으로 제일 화려하고 풍부하다. 태양새 형상의 토템은 중국 태양숭배문화 현상 중 중요한 표현형상이다. 이는 강한 생명력과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현대 심볼마크(Symbol Mark) 디자인을 분석해 보면 태양새 형상이 중국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잘 알 수 있으며, 미래의 디자인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예견 할 수 있다. 토템문화는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되고 가장 독특한 문화 중 하나로서 현대문화의 근원과 관계 깊다. 전통을 중시하는 중국인들에게 중국의 전통토템은 중화민족문화의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로 선조들이 중국인에게 물려준 거대한 재산인 것이다. 이 재산을 충분히 발굴하고 활용하여 복잡한 문화적 의미를 가진 토템을 현대디자인으로 하여금 형식과 의미상에서 완벽하게 융합해 중국의 미래 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1 http://www.360doc.com/con-tent/13/0416/12/10634568_278614162.shtm-

2 원은 태양의 전통적 이미지이며 모상(模像)이다. 한 개의 원안에 큰 점이 있는 동그라미는 태양의 중심개념(中心槪念)의 기하학(幾何學)으로 이집트 상형문자(Hieroglyph)와 중국 갑골문(甲骨文)에도 태양을 나타낸다. 플라톤(Platon)은 「Timaeu」에서‘완전한 원형인 원은 이제까지 존재해 왔고 또 언제나 존재할 존재 즉 신(神)을 의미(意味)한다.’고 하였다(Nataf, G. (1973). p371.).

References
  1. 1 . Chen, Q. J. (1996). China bird culture. China: Xuelin press.
  2. 2 . Chinese History in 100 Volumes, eighty-sixth volumes, Custom history of Qing Dynasty. Retrieved from http://www.360doc.com/content/13/0416/12/10634568_278614162.shtml.
  3. 3 . Daw, S. (1983). to the Mongolia - Mongolia history. China: Chinese Social Science Press.
  4. 4 . Gao, F. J. (2002). Sun Worship of the: A kind of Primitive Culture, World Wide Perspective. China: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5. 5 . Gao, F. J. (1993, April). Sun myth and Sun Worship. JOURNAL OF southwest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6. 6 . He, X. (1996). Origin of the gods-Chinese ancient sun worship. China: Guangming Daily Publishing House.
  7. 7 . He, X. (2007). Origin of the gods. China: Current affairs press.
  8. 8 . He, X. L. (1992). China natural God and worship of nature. China: Shanghai Sanlian bookstore.
  9. 9 . He, X. L. (1992). Chinese totem culture. China: China Social Sciences Press.
  10. 10 . Huang, H. M. (2004). Study on the Bird Images in Prehistoric Cultures ofSoutheastern Coast China. Doctoral dissertation. Nanjing Arts Institute.
  11. 11 . Ke, F. Q. (2008). On the wall Hua connotation in The Liao Dynasty. Collection, 3, Huber, China.
  12. 12 . Ning, Y. G. (2009, May). Wundt, W. (1905). Fundamentals of psychology (7th ed.). Liepzig: Engelman. Liepzig: Chaohu Morning Edition.
  13. 13 . Nataf, G. (1973). Symboles Signes et Marques. Paris, Berg International, collection.
  14. 14 . Pang, J. (2007). China Phoenix Culture. Liepzig: Chongqing Press.
  15. 15 . Wang, D. Y. (2008). Longfeng culture origin. China: China Morden Economics Publishing House.
  16. 16 . Wu, S. (2009). Complete Works of Chinese patterns. China: Shandong Fine Arts Publishing House.
  17. 17 . Xu, W. J., & Chen, S. L. (2005). True Story of the Sixteen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China: Zhonghua Book Company.
  18. 18 . Zhang, M. C. (1990). Atlas of ancient Chinese painted pottery. China: Cultural relics Publishing House.
  19. 19 . Yuan, K. (1991). Shan Hai Jing full translation. China: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20. 20 . Zhang, P. C. (1998). Chinese patterns Dictionary. China: Tianjin Educati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