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9, No. 1, pp.183-195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6
Received 17 Nov 2015 Revised 07 Jan 2016 Accepted 12 Jan 2016
DOI: https://doi.org/10.15187/adr.2016.02.29.1.183

Architectural design for Two Residential Facilities in a Rural Village by Remodeling the Old Buildings

ChoiHo soon ; 최호순
Department of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대구, 대한민국
농촌지역 노후화된 건축물 리모델링을 통한 주민편의시설 설계제안

Background Nowadays,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ty spaces and abandoned buildings in rural areas. The industrialization and centralization of the capital has accelerated this phenomen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model two old buildings in order to turn them into a senior and a junior centre. These residential facilities will help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in rural areas.

Methods First of all, analysing the members who will use these residential facilities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senior centre, in order to adapt to the behaviors of seniors (some big events and group works), it is necessary to include large spaces in the senior centre. For the junior centre, we have designed flexible spaces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For this study, we analyze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focus on the character of space flexibility. We are also very conscious of the rur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we propose some recycling architectural elements and eco-friendly systems through reference projects built by Glenn Murcutt.

Resul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me cultural residential facilities for seniors and juniors to revitalize rural villages.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undertaking to remodel two old buildings. This approach not only preserves the history of buildings but is also economical. In addition, this eco-friendly project could be a new model for future environmental architecture.

Conclusions Sari-Myeon is an ordinary Korean rural village. Two residential facilities that we have remodeled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a rural vi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conomical and eco-friendly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a small rural village.

초록

연구배경 산업화로 인한 농촌지역의 공동화 현상과 부족한 문화시설은 농촌지역 마을 활성화에 큰 문제점이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의 노후화된 두 건물을 시니어, 주니어 센터로 각각 리모델링하여 농촌시민들의 새로운 문화 및 교육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 들어설 두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재 살고 있는 농촌시민들 뿐만 아니라 귀촌하려는 도시민들의 정주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새롭게 들어설 두 건축물의 용도 및 건물을 사용할 대상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시니어 센터를 위해서는 농민들이 공동 작업할 수 있는 공간 및 마을 행사가 필요한 대 공간 설계의 필요성, 그리고 주니어 센터를 위해서는 다양한 특별활동 및 문화 활동이 가능한 유동적인 공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내·외부 공간의 가변성을 가능하도록 한 건축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대상지가 농촌이기에 새롭게 들어서는 건축물은 농촌지역 환경보호를 위하여 친환경 건축설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 주변의 자연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활용이 가능한 건축재료 조사 및 친환경 건축설계로 유명한 호주 건축가 글렌 머컷(Glenn Murcutt)의 건축 작업을 사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하여 시니어, 주니어세대를 위한 새로운 공용공간은 농촌지역에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두 건축물은 새롭게 건설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버려진 건축물을 리모델링하는 점에 있어서 건물이 가진 역사성을 지키고, 공사비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친환경적 건축설계방법을 적용시킨 본 프로젝트는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새로운 친환경적 건축물의 새로운 모델이 되고자 한다.

결론 대한민국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인 충북 괴산군 사리면의 노후화된 두 건축물을 주민 문화시설로 바꾸는 작업은 미래 농촌마을의 활성화의 가능성을 보여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건축물을 사용할 대상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방의 작은 농촌마을을 고려한 경제적이고, 농촌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친환경 건축설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Facilities, Remodeling, Rural Village, Sari-Myeon Chungcheongbuk-Do, 건축디자인, 주민편의시설, 리모델링, 농촌, 충북 괴산군 사리면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은 1960년대 이후 높은 경제성장기를 거치면서 농촌의 젊은 세대가 도시로 이주하는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이 때문에 우리나라 수도 서울은 인구밀도가 매우 높은 도시가 되었다.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수는 2015년 현재 천만 명을 육박하여 대한민국 전체인구의 20%가 서울에 살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오늘날 정부기관의 지방이전 정책과 대도시 생활에 지친 시민들의 지방도시에 관한 높은 관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농촌은 도시민의 귀농·귀촌현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은 급증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농촌의 복지 인프라시설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며 열악한 주거환경, 문화, 의료, 교육, 복지, 편의시설의 부족은 농촌지역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농촌지역의 부족한 인프라시설을 만들어 기존의 농촌지역주민들 뿐만 아니라 귀농·귀촌주민들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새롭게 들어설 인프라시설은 그 동안 농촌지역의 공동화 현상으로 인한 휴경지와 빈 건축물을 이용하는 리모델링 방식을 통하여 경제적일 뿐 만 아니라 농촌지역 마을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에 위치한 구 농협창고와 지역아동센터이다. 본 대상지인 사리면의 지역적 특성은 괴산문의 서부에 위치하며 괴산군의 관문이다. 사리면은 과거 지역의 중심 거점마을이었으나 근대화를 거치면서 점차 쇠퇴하였고, 사리면 마을의 인구수도 급격히 줄어들어 사리면 인구의 32%가 65세 이상인 초 고령화 마을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하여 기존의 노후화된 건축물을 새롭게 건축디자인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화된 두 건축물을 새로운 프로그램인 주니어, 시니어 센터로 리모델링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두 건축물 사이와 외부에서의 접근성을 고려한 동선계획 및 특히 건축물 1층 내부공간의 용도와 관련된 외부공간디자인을 하였다. 셋째, 각 건축물들의 평면계획은 건축물을 사용할 농촌지역의 시니어와 주니어세대의 행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넷째, 건축물 각 층의 용도에 맞는 입면디자인 계획과 본 연구의 대상지인 사리면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토속적 건축재료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가 농촌인 것을 고려하여, 두 건축물은 다양한 친환경적 건축설계방법이 적용되었고,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 친환경 건축물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Figure 1

Site for new residential facilities

1. 3. 건축 디자인 목표

기존의 건축물을 리모델링하여 제시할 시니어 그리고 주니어 센터는 건축물을 사용할 사용자의 생활행태에 부합하고 건축물 용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시니어 센터 설계목표는 첫째, 대상 사이트가 농촌지역인 만큼 농번기에 이루어지는 주민 공동 작업에 적합한 대공간 설계 둘째, 도시화로 인하여 농촌지역에 증가한 시니어들의 여가생활에 적합한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니어 센터는 젊은 세대의 귀농현상과 도시민들의 농촌체험 선호 현상으로 인하여 농촌지역에 증가된 주니어들을 위한 문화 공간적 건축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대 간의 분절현상도 사회적인 문제점이라 인식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시니어, 주니어 센터 사이에 적극적으로 연결성을 부여하였다. 건축물 재료 선정에 있어서도 농촌의 친환경적 요소에 적합한 재활용이 가능하며 공해가 없는 재료선정을 하고, 또한 빗물 및 태양열을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건축설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새롭게 제시해야할 시니어 그리고 주니어 센터를 위해서 기존의 건축물인 구 농협창고 그리고 노후화된 지역아동센터를 리모델링하여 기존 건축물이 가진 역사성을 지키고 공사비 절감의 경제성까지 고려하는 것도 본 설계의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이다.

Figure 2

Design purpose


2. 건축디자인 컨셉

새로 들어설 시니어, 주니어 센터는 농촌지역의 공공건물이며, 이 프로그램들은 농촌마을을 활성화 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 만큼 공공건물의 위상은 매우 중요하며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건물을 사용하는 대상에 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건축물이 들어서는 대상지도 매우 중요한 건축디자인 요소이며, 본 건축물은 농촌지역이라는 특수성이 잘 표현되도록 설계되었다.

2. 1. 시니어 센터

시니어 센터 디자인 컨셉은 첫째, 시니어센터를 이용하는 중장년층의 생활패턴이 건축물 디자인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시니어센터는 현재 농촌지역의 인구의 대다수인 중장년층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이다. 농촌지역의 생활패턴은 주로 농사기간과 깊게 관련되어 있으며 공공건물인 시니어 센터 는 이러한 농촌생활이 가능한 대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둘째, 새롭게 들어설 시니어센터는 기존의 건물을 리노베이션 하는 것이므로 시니어 센터로 사용될 기존 건물에 대한 구조분석과 증축의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셋째, 시니어 센터 내부는 농촌 회의 및 중장년층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가변적인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넷째, 농촌지역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디자인 컨셉으로 빗물 재 사용방법, 재활용이 가능한 건축재료 사용 그리고 건축물 내 자연공기순환을 유도하는 다양한 친환경적 건축설계방법이 도입되었다.

Figure 3

Design Concept for the Senior Centre

2. 2. 주니어 센터

주니어센터 디자인 컨셉은 첫째, 청년층의 제빵실습과 요리활동을 할 수 있는 특별 활동공간을 위하여 가변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을 제시하였다. 둘째, 어린이 도서관, 시청각 공간은 어린이들의 교육 및 상상력 함양을 위하여 주니어 센터의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고려하였다. 농촌지역을 상기시키는 온실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건물 최상층인 3층에 도서관, 시청각 공간을 배치하였고, 이는 주니어 센터의 랜드마크적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었다. 셋째, 기존의 건물 내부공간에 비하여 새롭게 들어설 프로그램이 많은 관계로 건물에 필요한 서비스 공간들을 건물 중앙에 집약시켜 더 넓은 내부공간을 설계하였다. 넷째, 주니어들을 위하여 외부 공간에 체육시설을 배치하였다.

Figure 4

Design Concept for the Junior Centre


3. 디자인 전개

3. 1. 동선 및 외부공간계획

서로 남북방향으로 30미터 가량 떨어져 있는 시니어센터와 주니어센터 사이에 있는 길은 기존의 보도를 식재 및 석재 포장의 친환경적 디자인을 제시하여 두 건물사이에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하고, 주민들이 편하게 산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성격의 두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고 농촌지역에서 볼 수 있는 골목길의 성격을 더욱 강화하였다. 또한 두 건물 전면부에 적극적으로 녹지를 배치하고 두 건축물 사이의 골목길을 통하여 건축물과 자연과의 연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차량동선은 기존의 주 도로 에서부터 직접 외부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설계하였고 보행자의 동선과 차량의 동선을 명확히 구분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외부주차장 계획은 바닥에 석재와 잔디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주차장을 도입하여 주차차량이 없을 경우 농촌의 외부행사가 진행될 수 있는 가변적 주차공간을 제시하였다.

시니어 센터의 외부공간계획은 농촌지역의 논과 밭을 형상화하여 사각형 모양의 외부 정원을 계획하였다. 사각형 모양의 외부 정원에는 대상지인 충북 사리면에서 자생하는 여러 다양한 수목을 배치하여 사계절의 변화가 외부정원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나타나도록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부정원 사이에 수공간을 배치하여 더운 여름에 주민들의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남쪽에서 부는 바람이 수공간 표면에 접촉한 후 시원해진 상태로 건물 내부로 들어와 여름철에 건축물 내부가 시원하도록 하였다. 주니어 센터의 외부공간에는 주니어들을 위한 소규모 축구장을 계획하여 현재 대상지에 부족한 체육시설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Figure 5

Circulation and outdoor spaces planning

Figure 6

Outdoor spaces planning for the Senior & Junior Centre

3. 2. 외부공간과 건축물의 연계방안

시니어, 주니어 센터에 제시한 친환경적 주차장과 정원 그리고 축구장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관련성을 가진다. 이러한 내·외부 공간의 관련성은 1층 건물 입면에 배치한 접이식 문을 통하여 극대화 되는데, 한옥건축요소에서 차용한 분합문, 들어열개문을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확장 될 때 내·외부 공간의 높은 활용도에 있다. 이는 농업활동에 필요한 주민들의 공동작업과 ‘사리면민 한마음 큰잔치’로 대표되는 마을 주민화합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건축물 1층 부분의 큰 개방성은 물리적인 공간의 확장성이 주는 장점뿐만 아니라 시니어센터 건물 내부에서 외부공간의 아름다운 정원을 최대한 감상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주니어센터 건물 내부에서 어린이들의 외부 활동모습을 쉽게 관찰 할 수 있기에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_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설계이론의 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7

Expansion of interior spaces to outside

3. 3. 건축물 평면계획

3. 3. 1. 시니어 센터

시니어센터의 평면계획은 농촌지역의 생활문화가 반영되었다. 1층의 대 공간 평면계획은 농사기간동안 주민들이 여러 다양한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농촌마을에 필요한 주민회의나 행사가 행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옥에서 볼 수 있는 분합문과 들어열개문을 1층에 배치함으로서 외부공간을 내부로 확장하고 자연스러운 공기흐름을 유도 하였다. 또한 2층에는 가변적인 내벽을 도입하여 남·녀의 분리된 공간에 적용하였고 시니어들의 공동행사가 있을 경우에는 간단히 가벽을 제거함으로서 하나의 융통성 있는 공간이 생기도록 설계하였다.

화장실 및 부엌에 필요한 배수시설은 건물 중앙에 집중 배치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하였다. 본 설계를 통하여 농번기 동안에는 1층, 2층에 적용된 대 공간에서 시니어들은 공동 농업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대형 마을 행사가 있을 경우에는 많은 수의 주민들을 수용 할 수 있다. 또한 그룹별 작업이나 여러 공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벽을 통하여 쉽게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Figure 8

Concept Diagram _ Senior Centre Plan & Section

Figure 9

Plan of 1st Floor _ Senior Centre

Figure 10

Plan of 2nd Floor _ Senior Centre _ Diversity of Space

3. 3. 2. 주니어 센터

주니어센터의 평면계획 핵심은 공간의 가변성과 대 공간 설계이다. 1층의 제빵실습, 북 카페와 같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계획된 공간들은 상황변화에 따라 한 공간으로 사용 될 수 있는 평면의 가변성과 융통성을 갖게 설계되었다. 이는 시니어 센터에도 적용한 한옥의 분합문 제시와 같은 설계요소 그리고 가변적인 내벽을 설계에 적용한 결과이다. 주니어 센터의 평면은 시니어 센터에서 보이는 기둥의 모듈화된 구조로서 시니어 센터와 같은 맥락으로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공간내부에 기둥이 없고 최소한의 가벽으로 필요한 공간만을 구획함으로서 주니어들의 활발한 활동에 무리가 없는 공간을 제시할 수 있었다.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동쪽 내부에 있었던 기존의 계단을 없애고 건물 전면부에 적극적으로 배치하였고, 본 계단은 3층까지 연결된다. 건물 입면에 배치된 계단은 단순히 각 층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건물 앞의 작은 축구장에서 주니어들의 체육활동을 관람할 수 있는 스탠드 역할까지 하도록 설계되었다.

주니어 센터의 3층에 증축된 도서관은 본 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건물 난간높이 (1.5m)깊이를 이용하여 도서관 내부에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건물옥상에 농촌에서 쉽게 접하는 온실과 같은 공간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항상 식재가 있는 공간에서 학업 및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자연요소가 공존하는 공간은 다른 도서관과는 차별되는 본 연구만의 특징이다.

3층 도서관은 낮에는 식재가 있는 온실처럼 보이며, 반면에 밤에는 불빛이 도서관으로부터 나와 주변을 환하게 비추는 마을의 거대한 조명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Figure 11

Concept Diagram _ Junior Centre Plan & Section

Figure 12

Plan of 1st Floor _ Junior Centre

Figure 13

Concept Diagram _ Exterior Stair & Library _ Junior Centre

Figure 14

Detail Library _ Junior Centre (3rd Floor)

3. 4. 건축물 입면 디자인 계획

시니어, 주니어 센터 건축물의 입면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는 현재 농촌의 주변 환경과의 긴밀한 관련성이다. 본 대상지의 사리면의 명칭에 모래“사(沙)”자가 쓰일 만큼 현지 주변에는 모래가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건축 재료인 모래와 흙으로 대표되는 건축외장재인 테라코타는 오늘날 많은 건축가가 다양한 건물 입면에 활용하고 있는 재료이며, 본 건축물설계에도 모래가 대상지인 사리면을 대표하는 지역 특색재료이기 때문에 모래를 사용한 테라코타 외장재를 건물 입면에 적용하였다. 모래재료인 테라코타 외장재는 2층 부분의 비교적 사적인 공간이 필요한 외벽에 주로 배치하였다. 반면에 1층 부분은 한옥의 건축요소에서 차용한 접이식 문을 배치하여 공간의 투명성과 내부공간의 외부공간으로 확장되는 효과도 가져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투명성을 가진 1층 입면 그리고 불투명한 모래재질의 2층 입면디자인은 시니어, 주니어 센터 두 건물에 통일성 있게 적용됨으로서 비록 두 건물이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두 건물사이의 연결성을 부여하고 건축 공사비도 절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주니어 센터의 3층은 시민 도서관의 용도로 증축된 부분으로서 1층 입면의 투명성을 다시 제시하였다. 이는 농촌 주변 환경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비닐하우스 및 온실의 이미지를 차용하였고, 도서관 내부공간에 마치 온실과 같은 식재가 가능한 공간을 제시하여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민들과 주니어들이 늘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도서관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igure 15

Concept Facade _ Senior & Junior Centre

Figure 16

Elevation _ Senior & Junior Centre

3. 5. 친환경적 건축설계 계획

환경보호 및 에너지 절감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히 호주 건축가 글렌 머컷(Glenn Murcutt, 2002년 프리츠커 수상자_Pritzker Prize)의 건축물을 사례조사 하였는데 그는 오직 자신의 나라 호주에서 건축 작업을 하며, 호주라는 국가의 환경특성을 이용한 친환경적 건축물을 설계하는 점이 특징이다.

글렌 머컷 건축물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얻은 친환경 재료의 선택, 주변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건축공법제시, 공기순환 및 우수를 이용하는 건축설계 방법을 본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의 대상지가 농촌이라는 친환경적 요소와도 일맥상통한다.

첫째, 친환경 건축 재료를 사용하였다. 건축물 지붕에 적용된 징크 알루미늄(Zincalume Roof)은 물에 대한 화학반응이 없으며 또한 제작이 용이하여 농촌지역의 간이 창고와 같은 다른 용도의 재료로 재활용이 용이하다. 건축물 입면에는 모래나 석재와 같은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서 농촌의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이와 같은 건축 재료는 농촌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건물 내부에 자연환기를 유도한다. 기존의 건물 지붕에 있던 두 구멍에 작은 관을 설치하여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발생되도록 한다. 건물 1층에 접이식 문을 열어두면 1층으로 들어온 대량의 공기는 건물 지붕의 작은 관으로 빠르게 빠져나가려는 성질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으로 건물 내부에는 인공적인 설비시설이 필요 없는 자연 순환식 공기흐름이 발생한다. 셋째, 우수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기울어진 건물 지붕 끝부분에 관을 설치하고 건물 1층에 우수저장 공간을 설치한다. 저장된 빗물은 건물주변의 녹지공간에 공급한다. 또한 우수저장 공간은 연못과 같은 공간으로 설계하여 조경디자인의 요소로도 사용된다.

Figure 17

Reference Foreign Project

Figure 18

Eco Friendly System _ Senior Centre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새로운 문화시설 공간을 제시하여 지역주민들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농촌지역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휴경지 및 빈 건축공간을 주민공용시설로 변경하여 현재 농촌에 주거하는 주민들뿐만 아니라 도시생활에 지쳐 귀농하는 새로운 세대 간의 활발한 교류 확대에 있다. 기존의 유휴공간을 재활용함으로서 농촌지역의 역사성을 살리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농촌 지방정부의 부담을 덜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본 건축설계의 가장 큰 의의는 첫째, 기존의 두 건축물에 최소한의 증·개축 설계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경제적인 건축설계방법을 제안한 점이다. 이는 농촌지방정부에서 충분히 실행 가능한 건축프로젝트로서 큰 가치가 있다. 실제 공간구성의 큰 변화는 시니어 센터의 2층 복층부분의 증축부분과 주니어 센터의 내부 계단을 없애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대신 외부계단을 제시한 점 두 가지뿐이다. 둘째, 한옥사례분석을 하여 그 장점을 현대화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는 단순히 한국건축의 외형을 차용한 것이 아니라 농촌지역의 시니어, 주니어의 생활환경에 적합한 대 공간 및 가변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가 되었다. 셋째, 한국에도 적용 가능한 외국 건축사례분석을 통하여 친환경 건축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연공기순환을 이용하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도입한 점 그리고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지붕설계 요소들은 매우 경제적인 친환경 건축설계 방법으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이기도 하다.

충북 괴산군에 리모델링된 두 건축물 시니어, 주니어 센터는 서로 다른 두 세대가 각각 그들의 생활방식에 맞게 잘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건축디자인 사례는 미래 농촌지역의 새로운 문화시설의 모델이 되어 여러 다른 농촌지역 활성화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Figure 19

General View of the Senior Centre

Figure 20

General View of the Junior Centre

Notes

Citation : Choi, H. (2016). Architectural design for Two Residential Facilities in a Rural Village by Remodeling the Old Building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9(1), 183-195.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제10회 한국농촌건축국제공모전 3등 수상작

References

  • Fromonot, F. (2009). Glenn Murcutt. French: Gallimard.
  • EL Croquis. (2012). Glenn Murcutt. French: Gallimard.
  • Kim, B. Y. (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2 [Bong yeol Kim's the story of Korean architecture 2]. Seoul, Korea: Dolbegae.
  • Lee, Y. S. (2005). Hard & soft shell for ecological living. Seoul, Korea: Yeonsei Univesity.

Figure 1

Figure 1
Site for new residential facilities

Figure 2

Figure 2
Design purpose

Figure 3

Figure 3
Design Concept for the Senior Centre

Figure 4

Figure 4
Design Concept for the Junior Centre

Figure 5

Figure 5
Circulation and outdoor spaces planning

Figure 6

Figure 6
Outdoor spaces planning for the Senior & Junior Centre

Figure 7

Figure 7
Expansion of interior spaces to outside

Figure 8

Figure 8
Concept Diagram _ Senior Centre Plan & Section

Figure 9

Figure 9
Plan of 1st Floor _ Senior Centre

Figure 10

Figure 10
Plan of 2nd Floor _ Senior Centre _ Diversity of Space

Figure 11

Figure 11
Concept Diagram _ Junior Centre Plan & Section

Figure 12

Figure 12
Plan of 1st Floor _ Junior Centre

Figure 13

Figure 13
Concept Diagram _ Exterior Stair & Library _ Junior Centre

Figure 14

Figure 14
Detail Library _ Junior Centre (3rd Floor)

Figure 15

Figure 15
Concept Facade _ Senior & Junior Centre

Figure 16

Figure 16
Elevation _ Senior & Junior Centre

Figure 17

Figure 17
Reference Foreign Project

Figure 18

Figure 18
Eco Friendly System _ Senior Centre

Figure 19

Figure 19
General View of the Senior Centre

Figure 20

Figure 20
General View of the Junior Cen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