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26, No. 3, pp.363-377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3
Received 18 Jan 2013 Revised 08 Jul 2013 Accepted 07 Aug 2013
DOI: https://doi.org/10.15187/adr.2013.08.26.3.363

A Study of the Interior Design of Seoul Design Center with the 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

ChunSegeun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san, Korea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적용한 서울디자인센터 실내디자인 연구

Correspondence to: Segeun Chun Junechun@empal.com

Background While it is evident that embodying Korean traditional motifs in space is a common challenge for Korean interior designers, unfortunately the reality is that the presentation and excavation of the best practices are insufficient comparing to Japan, which has developed a clear difference to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in the same culture. This is because while the formativeness of Japanese traditional space has easy access to the typological approach, the forma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s based on a relationship-oriented metaphysical formative consciousness that is difficult to be materialized to modern designs.

Methods The aim fo the interior design methods of Seoul Design Center (SDC) is to embody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space by applying an interdisciplinary design process in order to coincide with the era of the emotional designs of Pathos that seek the creative differences among designers. During this process, the typological approach that derives forms from the formal guidelines depending on the design direction step is sublated, and the 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 that draws forms from the concepts as a resul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presented.

Results The lower floor part space of SDC embodied the design subject, CHAOSMOS, by paying attention to abstraction towards the sky among the metaphysical concepts of Korean designs and giving shape to chunks of space that float by buoyancy. Furthermore, in order to realize the design theme of a man of virtue, affordance by behavioral setting was given to the designed forms and a digital three-dimensional surface design was used.

Conclusion By conducting this research work, a more suitable 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 was presented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space. Additionally, the best practices design, in other words, the realization of a design concept that acquires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by revamping traditional concep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oday’s tools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process of embodying and construction was realized.

초록

연구배경 한국전통의 모티브를 공간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우리나라 실내디자이너들의 공통된 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동일 문화권에서 분명한 차별성을 세계적 보편성으로 발전시킨 일본과 비교할 때 그 모범사례의 제시와 발굴이 아쉬운 상황이다. 이는 유형학적 접근이 용이한 일본 전통공간의 조형성에 비해, 한국 전통공간의 조형성은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유형화하기 어려운 관계중심의 형이상학적 조형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 서울디자인센터의 실내디자인 방법은 작가개인의 창의적 차별성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파토스적 감성디자인의 시대에 부합하도록 다학제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한국전통공간의 현대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방향설정 단계에 의존하여 형상적 지침에서 다시 형상을 도출하는 유형학적 접근을 지양하고, 다학제적 리서치에서 얻어진 개념에서 형상을 도출하는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를 제시한다.

연구결과 서울디자인센터의 공간은 한국 디자인의 형이상학적 개념 중 하늘을 향한 추상성에 주목하여 마치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공간덩어리들로 형상화함으로써 CHAOSMOS라는 디자인 컨셉를 구현하였다. 또한 공간 기능의 주제인 군자의 디자인 구현을 위하여 디자인된 형태들에 인간행태적 지원성(Affordance by behavioral setting)을 부여하고, 디지털 3차원 곡면설계를 활용한 구축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 작품연구를 통해 우리전통공간의 현대화에 보다 적합한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그 형상화와 구축 과정에서 오늘날의 도구인 디지털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전통적 개념을 재창발함으로써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디자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Keywords:

Korean Traditional Space, 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 Digital Technology, 한국전통공간,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 디지털기술

1. 디자인의 배경 및 방법

1.1. 디자인의 배경과 목적

오스트리아의 세계적 연출가 Christian Mikunda(2002)는 사무공간은 업무 중심의 기능공간으로서 제 2의 공간에 해당한다고 보았으나, 오늘날의 사무공간은 그 기능적 영역을 넘어서서 감성적 교류가 중시되는 제 3의 공간의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Chun, 2006). 이는 IT와 광고, 디자인 분야 등 창의적 발상을 위하여 구성원 간의 소통이 중요한 업계의 사무공간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십여 년 동안 소통기능 클러스터 공간(Hive)을 도입한 NHN 사옥 등 감성적 교류공간을 적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가 유관의 대표적 디자인 행정 및 연구기관인 서울디자인센터(이하 SDC) 실내 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의 감성적 교류가 공간의 지원성(Affordance)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공간기능을 설정하였다.

상기의 공간기능 설정과는 별도로 SDC를 통한 한국성의 구현이라는 요청(requirement for proposal)에 공간형태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디자인 형상화를 위한 과정을 분리하여 진행하였다. 한국전통의 모티브를 공간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우리나라 실내디자이너들의 공통된 과제임이 분명하겠으나, 동일 문화권에서 분명한 차별성을 세계적 보편성으로 발전시킨 일본과 비교할 때 그 모범사례의 제시와 발굴이 아쉬운 상황이다.

이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인위적으로 재현해내는 인공적 자연스러움(Kwon, 2001)과 같이 유형학적 접근이 용이한 일본 전통공간의 조형성에 비해, 한국 전통공간의 조형성은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얻는 무위이치(無爲而治)의 자연미(Lim, 2005)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유형화하기 어려운 관계중심의 형이상학적 조형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한국전통 공간의 현대화가 유형학적 접근으로 달성되지 못하는 어려움 때문에 한옥을 모티브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대표적 건축가 조정구는 전통 건축양식의 현대적 변형이 아닌 그대로의 재현을 답으로 제시하고 있다(조정구, 개인인터뷰, 2010).

Figure 1

2010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Korean Pavilion

이 특징을 간과한 채 한국전통의 조형을 섣불리 유형학적으로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일본적 미니멀리즘(Kwon, 2001)”이 조합되어 국적불명의 공간이 제시되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이번 작품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형상을 모티브로 현대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유형학적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형이상학적 수준에서 우리전통의 차별적 가치를 현대적 디자인이라는 보편적 타당성으로 창발하는, 현상학적 디자인 프로세스와 그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디자인의 방법과 범위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연구기관으로서 한국성을 표방하는 공간을 구현한다는 대전제 하에 SDC의 실내디자인 방법 역시 공간기능 설정 방향과 디자인 형상화 방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 번째, 공간 기능적 측면에서 설정된 방향은 “군자(君子)의 디자인((Lee, 2009)” 즉,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에서 바람직한 공간의 역할을 규정하는 개념을 도입하여, 위계 없이 열려서 소통을 유발하는 지원 공간인 매개 공간(Mediation Space)을 구현하는 것이다.

두 번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한국 조형성의 관계 중심적 특징에 기반을 둔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의 적용이 디자인 방향 설정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합함을 밝히고, 이에 따라 공간 형상적 측면에서 디자인 컨셉, CHAOSMOS를 설정하여 한국성을 브랜드 스케이핑(Mikunda, 2002)하는 실험적 형상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디자인의 범위는 SDC의 사무공간 중에서 상기의 군자의 디자인 기능에 부합하는 인간 행태 지원성을 갖고, 동시에 사무실 내에서 감성적인 소통을 유발하는 매개 공간을 중심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컨셉이 공간 형상으로 드러나는 1층 도서관을 추가하였다.


2.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성중심의 로고스(logos)적 관념이 지배했던 모더니즘 시대(Jung, 1963)의 조형원리는 절제된 장식과 비례미 강조(Papadakis, 1993) 등 일본의 건축공간에서 보이는 정제적 특징과 부합하는 부분이 존재했기 때문에 서구의 건축가들이 일본의 전통건축을 관찰하고 그 기법을 모방(Lee, 2000)하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 말에서 최근까지 로고스시대에서 파토스(pathos)의 시대로 전환하는 혼재적 상황의 실내디자인 영역에서 젠스타일(zen style)이라는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한 일본적 미니멀리즘 양식으로 이어졌다.

모더니즘 양식적 사고에서의 디자인은 창의적 차별성을 목표로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젠스타일과 같은 디자인 방향 설정만으로 디자인프로세스가 종결 된다.

Figure 2

Japanese Style House in U.S on Modernism Era

이 때 프로세스 상에서 디자인 컨셉을 도출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설정된 디자인 방향 역시 디자이너가 직간접으로 경험하여 익숙해진 스타일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기단계부터 형상화 작업, 즉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추구하는 디자인방향이 형상화의 지침(formational guide line) 역할을 하게 되므로 디자인 방향별로 유사한 디자인이 양산된다.

그러나 작가개인의 창의적 차별성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파토스적 감성디자인의 시대에서는 디자인방향설정을 넘어서는 구체적이고 차별적인 디자인컨셉 도출과정이 필수적으로 디자인프로세스에 포함되며, 드로잉과 같은 직접적 형상화 작업은 대부분 그 이후 단계에 진행된다.

이 연장된 프로세스에서는 디자인컨셉을 얻기 위한 리서치 과정이 강조되며, 그 리서치의 영역 또한 새롭고 차별화된 단서를 얻기 위해 건축과 디자인의 영역으로 제한시키고 않고, 다학제적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유리하다(Chun, 2006). 이러한 파토스시대의 다학제적 디자인프로세스에는 리서치 과정에서 형이상학적 영역의 상호주관적 개념을 모티브로 도출하는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디자인프로세스가 포함된다.

한국전통공간의 현대화 과정에서는 우리의 조형적 특징은 관계적 조형의식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전자의 모더니즘적 디자인프로세스, 즉 디자인방향설정 단계에 의존하여 형상적 지침에서 다시 형상을 도출하는 유형학적 접근(typological approach)을 지양하고, 리서치에서 얻어진 개념에서 형상을 도출하는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주제 및 디자인 컨셉 설정

3.1. 공간 기능을 위한 주제 설정

이은숙(Lee, 2009)은 그의 저서 『우리정신, 우리디자인』에서 한국디자인의 역할은 스스로 실천한 후 다른 것에 파급하여 디자인의 선도한다는 군자(君子)의 디자인이라고 규정하였다.

서울디자인센터(이하 SDC)의 역할 역시 이러한 군자의 디자인 개념과 일맥상 통하는 것으로서 한국디자인의 선봉에 서서 서울이 세계디자인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전통과 세계적 트랜드를 융합하는 디자인인프라 허브의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디자인 영역에서 새로운 한국성을 정의하고 전파하는 발신지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의 군자의 디자인 역할에 따라 설정한 ‘스스로 바로서서 모범을 보이는 연구소’의 디자인 방향은 첫째, 인(仁)의 공간 만들기, 즉 위계 없는 공간, 모두를 위한 공간을 구현하는 것과, 둘째, 의(義)의 공간 만들기로서 인간과 자연의 본성에 충실하여 다채롭고 열린공간을 구현하는 것, 셋째, 예(禮)의 공간 만들기로서 공간의 지원성(Affordance)을 실현하는 것, 마지막으로 지(知)의 공간 만들기, 즉 이야기를 담는 공간으로 모범적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Figure 3

Functional Positioning of Interior Design for SDC

3.2. 디자인을 위한 컨셉 설정

이은숙(Lee, 2009)은 다시 한국디자인의 사상은 한국 유학의 하늘사상, 도가의 도(道)사상, 자연 불가의 공(空)사상이 융합되어 세 가지의 특징, 즉 화쟁사상과 같은 아우름의 사상으로서 ‘하늘의 향한 추상성’, 단군신화와 등과 연관된 ‘생명을 향한 순일성’, 순박순후한 정서 등과 통하는 ‘본성적 정감의 인간성’을 지닌다고 설명하였고, 이 특징들의 반영으로서 각각 ‘혼돈과 비(飛)의 디자인’,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디자인’, ‘풍자와 해악의 디자인’이 형성된다고 논하였다. 임석재(Lim, 2005) 역시 유,불,도 사상이 민족정서와 조형의식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혼재되었으며, 특히 사찰공간에서는 우주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아우르는 ‘원통(圓通)’의 개념과 시공을 초월하는 전체적 질서로서 ‘법신상주(法身常住)’의 개념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를 한국 디자인의 사상을 아우름과 혼재의 민족정서 관점에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4

Diagram of Conceptual Keywords

SDC 디자인의 컨셉 설정에 있어서 상기의 융합적이고 혼재적인 민족정서를 생명적 혼돈으로 정의하고 여기에 우주적 질서를 획득하는 법신상주(法身常住)로서 ‘CHAOSMOS’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 때 오늘날의 디지털기술은 전통적인 법신상주 개념에서 시공을 초월하는 석가의 능력을 대체하여 두 개념을 융합하는 가속기(integrational accelerator)로서 역할하게 된다.

Figure 5

Design Concept of Interior Design for SDC


4. 디자인 과정

4.1. 공간 기능의 주제 ‘군자의 디자인’ 적용

군자의 디자인 주제의 실천전략 중 첫째, 인(仁)의 공간 만들기, 즉 위계 없는 공간, 모두를 위한 공간을 구현하는 것과, 둘째, 의(義)의 공간 만들기로서 인간과 자연의 본성에 충실하여 다채롭고 열린공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반사적 공간으로서의 매개 공간을 도입하였다. 즉, 공간 속의 공간을 형성하는 유기적 덩어리들이 복도와 실 사이에 배치되어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소통의 매개 공간으로 역할 하도록 계획하였다. 동시에 이동형 벽체와 천정 라이팅 시스템을 일체화하여 가변적 기능성을 극대화하였다.

Figure 6

Application of Mediation Space

그리고 셋째, 예(禮)의 공간 만들기로서 공간의 지원성(Affordance)을 실현 하는 것, 마지막으로 지(知)의 공간 만들기, 즉 이야기를 담는 공간으로 모범적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위하여 구축된 형상들이 그 자체로서 다양한 가구, 집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디자인하였다.

Figure 7

Behavioral Settings of Spatial Forms

4.2. 디자인 컨셉, ‘CHAOSMOS’ 적용

이론적 고찰 과정과 디자인 컵셉 설정 과정에서 도출된 한국 디자인 사상의 형 이상학적인 개념들은 현상학적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모티브를 끌어내기 위한 단서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자면 이 단서들은 개념적 키워드로서 형상화 과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형상적 키워드, 즉 모티브를 끌어내기 위한 형이상학적 준거(criterion)로 작용한다(Cook, 2000).

동시에 이 형상적 키워드는 각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으로 역할하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 공간별로 그 기능과 정체성에 부합하는 각각의 현상학적 디자인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상기의 현상학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수직의 아트리움으로 통합된 1,2,3층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한국 디자인의 형이상학적 개념 중 하늘을 향한 추상성을 개념적 키워드로 채택하고, 마치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공간 덩어리들을 형상적 키워드, 즉 모티브로 적용함으로써 CHAOSMOS라는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였다.

Figure 8

Design Studies of Spatial Massfor The Lower Part of SDC Building

4.3.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는 디지털 기술의 적용

디자인 컨셉인 CHAOSMOS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디지털기술은 융합적 무질서와 우주적 질서의 두 개념을 통합하는 가속기이자 동시에 그 형상적 구현을 가능케 하는 기술적 방법으로 작용한다.

이에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 설계에서 모델링에 사용된 라이노 프로그램과 모듈제작을 위해 보완된 카티아용 디지털프로젝트(3D PLM)를 공간 형태별 특성에 맞도록 적용하고(Kang, 2009), 선박가공 공장에서 에셈블리(assembly)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디지털 3차원 곡면설계를 활용한 구축방법을 제시한다.

Figure 9

Construction Process of 3 Dimensional Non-linear Formation

Figure 10

Simulation Process of 3 Dimensional Non-linear Formation


5. 디자인 결과

상기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각 공간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

Interior Design Image of Library in SDC Building

Figure 12

Interior Design I m a g e s o f M e d i a t i o n Space in The Upper Part of SDC Building

Figure 13

Interior Design I m a g e o f M e d i a t i o n Space in The Lower Part of SDC Building

이 작품연구를 통해 첫째, 한국 조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우리전통 공간의 현대화에 보다 적합한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둘째, 제 3의 공간 개념에서의 감성적 교류와 군자의 디자인이라는 한국 전통적 공간 역할을 수행하는, 인간 행태의 지원 공간으로서의 매개 공간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형상화와 구축 과정에서 오늘날의 도구인 디지털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전통적 개념을 재창발(re-emergence)함으로써 “세계적 보편가치(Kwon, 1998)”를 획득하는 디자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SDC 실내디자인 과정에서 현상학적 디자인프로세스의 제시 이외에도 공간 기능성 설정(군자의 디자인)과는 분리된 디자인 컨셉과 프로세스를 통해 표현주의적 형상화를 진행한 점을 또 다른 의의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디자인 과정을 기능설정 과정과 철저하게 분리시킴으로써 디자이너의 차별성이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주변 환경 등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의도하는 것은 최근 디지털 기술 기반의 파토스(Pathos)적 경향에서 나타나는 작가주의 특징과 부합된다.

그러나 한 편으로 이는 모더니즘 양식이 지배했던 시대로부터 발전되어온 설계방식, 즉 컨텍스트와 공간 자체의 역할 등 공간 기능성 분석과 형상화를 연계 시키는 과정과는 괴리가 발생하는 디자인 기법으로, 실제 월간 SPACE지(549호, 동대문디자인프라자, 처음 보는 새로운 풍경)에서 대표적 표현주의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 완공에 즈음하여 이러한 괴리와 충동을 일부 논하기도 하였다.

이에 디자인 방법론 측면에서 이 대립에 대한 고찰이 심층 깊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done by 2013 Seoul Institute of The Arts Research Fund.

Notes

Citation: Chun, S.(2013). A Study of the Interior Design of Seoul Design Center with the Phenomenological Design Process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363-37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Kang, S. (2009). 동대문역사문화공원 BIM을 통해 해법을 찾다 [The Dongdaemun Historical and Cultural Part: Finding Solutions through BIM]. BIM-SPACE The 43rd Anniversary Special Edition , 80-85.
  • Kwon, Y. (1998). 전통한국건축과 서구건축의 유기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ganic Trait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Occidential Archite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4 , 130-136.
  • Kwon, Y. (2001). 공간디자인 16講 [16 Issues in Space Design] . Seoul: Kukje Publishing House.
  • Lee, E. (2009). 우리정신, 우리디자인 [Korean Spirit and Korean Design]. Seoul: Ahn Graphics.
  • Lim, S. (2005).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Oriental Idea] . Seoul: Book House. Buchanan, R. (1979). The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 London: Bingley.
  • Jung, I. (1963). 건축양식발전의 주기성과 이원성 [Peridicity and Duality o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Styl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7(2) , 1-2.
  • Chun, S. (2006).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기반 연계교육 시스템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 (8), 114-123.
  • Cook, P. (2000). Bartlett Books of Ideas. London: Bartlett Books of Architecture.
  • Lee, V. (2000). Zen Interiors. Newyork: Tabori & Chang.
  • Mikunda, C. (2002). Brand Lands, Hot Spots & Cool Spaces: Welcome to the Third Place and the Total Marketing Experience . London: Kogan Page.
  • Papadakis, A. (1993). Theory+Experimentation . London: Academy.

Figure 1

Figure 1
2010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Korean Pavilion

Figure 2

Figure 2
Japanese Style House in U.S on Modernism Era

Figure 3

Figure 3
Functional Positioning of Interior Design for SDC

Figure 4

Figure 4
Diagram of Conceptual Keywords

Figure 5

Figure 5
Design Concept of Interior Design for SDC

Figure 6

Figure 6
Application of Mediation Space

Figure 7

Figure 7
Behavioral Settings of Spatial Forms

Figure 8

Figure 8
Design Studies of Spatial Massfor The Lower Part of SDC Building

Figure 9

Figure 9
Construction Process of 3 Dimensional Non-linear Formation

Figure 10

Figure 10
Simulation Process of 3 Dimensional Non-linear Formation

Figure 11

Figure 11
Interior Design Image of Library in SDC Building

Figure 12

Figure 12
Interior Design I m a g e s o f M e d i a t i o n Space in The Upper Part of SDC Building

Figure 13

Figure 13
Interior Design I m a g e o f M e d i a t i o n Space in The Lower Part of SDC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