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35, No. 1, pp.131-149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2
Received 26 Jul 2021 Revised 24 Nov 2021 Accepted 24 Nov 2021
DOI: https://doi.org/10.15187/adr.2022.02.35.1.131

20~30대 1인 가구 홈 라이프스타일 기반 행태: 사물 관계 모델에 기반한 IoT 시스템 구성 디자인 제안

Kyungmin Kim김경민Eui-Chul Jung정의철
Department of Crafts and Desig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석사, 서울, 대한민국 Faculty of Desig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서울, 대한민국
Proposal of IoT System Configuration Design Based on the Behavior-Things Relationship Model: Hom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Correspondence to: Eui-Chul Jung jech@snu.ac.kr

초록

연구배경 20~30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 환경 변화에 따라 일상 행동의 행태도 바뀌고 있다. 공간 내 거주자의 안전, 편의, 경제적 요구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홈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IoT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는 3~4인 이상의 중대형 가구를 대상으로 시나리오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 홈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시스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1인 가구 홈 라이프스타일 행태에 따른 제품 활용 분석을 바탕으로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모델에 기반하여 IoT 시스템 구성을 디자인한다. 디자인을 위해 1차 사용자 거주 행태 관찰 조사, 2차 설문조사, 3차 심층 인터뷰를 통해 거주 공간과 일상 행동, 제품 구성, 선호 배치 및 활용 제품군을 확인한다. 그리고 1인 가구 거주자 행태 중심의 사물 관계 모델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는 좁은 공간 내에서 복합적,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분석된 행태-사물 관계 모델을 통해 IoT 시스템의 중심이 ‘AI스피커’와 ‘스마트폰’이 아닌, ‘천장 조명’, ‘간접 조명’, ‘좌식 테이블’, ‘침대/소파’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대표적인 행태 '취침하기' '청소하기' '영상 보기' '홈 트레이닝하기' '출근하기' 다섯 가지를 체계화하여 20~30대 1인 가구를 위한 홈 IoT 시스템 구성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일상 행동을 조명, 전자제품, 가구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연결하여 홈 IoT 시스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nges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increases, daily behavior is also changing. Many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mart home products are being released according to the safety, convenience, and economic needs of residents in the space. However, IoT-based smart home services in South Korea are currently presented with scenarios for medium to large households with more than three to four people. Therefore, research on system design based on the hom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needed.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of produc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home lifestyle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 relationship model was presented, and IoT system configurations are designed based on the model. For design purposes, primary user residential behavior observation surveys, secondary surveys, and tertiary in-depth interviews identify residential space and daily behavior, product configuration, preference placement, and utilization families. In addition, a single-person household resident behavior-oriented object relationship model was constructed.

Results Single-person households appear to use products in a small space by connecting them together in a complex and efficient manner. The analyzed behavior-things relationship model showed that the center of the IoT system was not 'AI speaker' and 'smart phone', but 'ceiling light', 'indirect light', 'sitting table', and 'bed/sofa'.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for a home IoT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by organizing representative behaviors such as sleeping, cleaning, watching videos, home training, and going to work.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home IoT system design is proposed by analyzing and connecting everyday behaviors from user-centered ways to the perspective of lighting, electronics, and furniture.

Keywords:

Smart Home, IoT System, Lifestyle, Relationship Model, Single-person Households, 스마트홈, IoT 시스템, 라이프스타일, 관계 모델, 1인 가구

1. 서론

1. 1. 연구 배경

편리성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생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주 5일제 근무로 거주 공간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공간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실생활에 사용되는 사물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스마트홈 제품과 서비스 시장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BI Intelligence(2015)는 스마트홈 기기 시장은 매년 120%씩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CERP-IoT(2010)는 인간의 개입 없이 인간과 사물, 서비스시스템 요소들 사이에 센싱, 네트워킹, 정보 교환 및 처리의 상호 협력적이고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연결망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에 주목하였고,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2019)는 국내 스마트홈 시장에서 5대 산업 분야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주홍 외(2017)는 이러한 성장을 위해 IoT 서비스를 IT 기업이나 통신사 기술 중심적 접근에서 사용자 관점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사용자 가치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사용자 가치라는 관점과 함께 홈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도 스마트홈 시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심정민(2017)은 6가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호하는 공간 배치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53개 스마트 서비스를 라이프스타일별로 공간에 맞게 제안하였다.

LGERI(2012)는 1인 가구에 주목하면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가구 전체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직접적으로 이끌 것으로 예측하였다. KB금융경영연구소(2019)는 20~30대에서는 초혼 연령 상승, 비혼주의 증가, 저출산 등으로 인해 1인 가구 구성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보고서는 1인 가구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간과 개성이 표출되는 공간으로 집을 활용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거주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 요구사항이 기존 국내 기업의 IoT 기반 스마트홈 콘셉트에는 잘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이 3~4인 이상의 중대형 가구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어 1~2인 소형 가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1~2인 가구 대부분이 전용면적 60㎡ 이하의 중소형 집에 거주하고 있다. IoT 서비스로 인해 늘어나는 단말기 수와 복잡한 연결 방식은 이들에게 현실적으로 제약이 될 수 있다.

1. 2. 연구 목적 및 방법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30대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제품 활용을 분석하여 IoT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행태와 제품인 사물의 관계를 설명하는 콘셉트 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1)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 행태와 제품 활용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설문조사와 2) 관계 모델 구성 기반 마련을 위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계획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관찰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참여자 중 연구 대상에 해당되는 참가자를 선별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는 연구체계로 Figure 1과 같이 구성하였다.

Figure 1

Research structure


2. 국내 스마트홈 현황 고찰

2. 1. 국내 스마트홈 서비스 특성 분석

홍은정, 엄주희(2015)에 따르면 해외 스마트홈 서비스인 구글이나 애플 등 플랫폼 사업자들은 기존 플랫폼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연결망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홈 서비스와 연동할 물리적 자산은 부족하기 때문에 스마트홈 업체를 인수하거나 개방된 플랫폼을 구축하는 양상으로 서비스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국내 서비스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삼성전자의 SmartThings, LG전자의 SmartThinkQ, SKT 텔레콤 'Smart[Home]' 세 가지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해외와 달리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가전사의 경우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사 제품을 스마트홈 서비스에 최적화하여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Table 1처럼 연동할 플랫폼 구현에는 개방성, 호환성 측면의 문제 등 제한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nalysis of IoT-based smart home services in Korea

SKT 텔레콤 'Smart[Home]'의 경우 스마트홈 구축에 핵심적인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나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시장 진입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장희순, 이상일(2015)에 의하면 가전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특정 제어 기기를 통해서 제어해야 하는 제한이 존재한다.

스마트홈 서비스는 거주 공간의 크기, 구조, 거주자 구성 및 활동 특성 등 주택 환경이나 주거 문화의 차이로 인해 해외와 국내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상이한 것을 볼 수 있다. 단독주택이나 소규모 집합주택의 비율이 높은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스마트홈 시큐리티 서비스나 에너지 관리 기능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에 반해 아파트나 다세대 공동주택의 비율이 높은 국내에서는 자체적인 방범 및 에너지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해당 기능을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 수요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삼성과 LG의 자사 제품 중심과 통신사업자 플랫폼 중심으로 파편화된 국내 서비스의 특성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2. 2. 국내 Home IoT 시나리오 분석 및 행태-사물 모델 구성

본 연구의 대상인 IoT 제품 중심의 시나리오 분석을 위해 삼성전자Home IoT 시나리오의 일부를 살펴보면, Figure 2와 같이 인공지능 비서 ‘Bixby’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LG전자의 경우도 ThinkQ 플랫폼에 기반한 IoT 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SKT 텔레콤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즉, 스피커 기능을 중심으로 상황별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Figure 2

Home IoT scenario by Samsung Electronics

국내 Home IoT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Home 라이프스타일 행태와 사용되는 제품과 사물의 관계 모델을 Figure 3과 같이 구성하였다. Figure 3과 같이 IoT 서비스의 경우 AI 스피커가 중심 허브가 되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모델 구성을 위해 X축은 여가 활동과 가사 활동으로, Y축을 기상 활동과 취침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기업의 광고 및 소개 자료에 제시된 시나리오의 행태로는 ‘취침하기, 기상하기, 영상 보기, 세탁하기, 외출 시 청소하기, 외출 시 냉장고 확인하기’가 있다. 기업들에서 제안하는 홈 IoT 솔루션은 ‘모든 스마트 제품들 간의 연결’과 ‘스마트폰과 AI 스피커’를 활용한 제어와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안에서 실제 거주 환경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특히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며 거주하고 있는 20~30대 1인 가구에게 적합하다고 보기 어렵다.

Figure 3

Behavior-thing (product) relationships of home IoT system based on scenarios of home appliance companies in Korea


3.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행태 및 제품 활용 관계 연구

3. 1. 사전 연구: 거주 행태 관찰 및 분석

사용자 거주 행태 관찰은 1인 가구의 거주 공간과 생활 행태를 확인하고 설문조사 설계를 위한 사전 연구로 진행하였다. 2019년 12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 동안 서울에서 전용면적 기준 40㎡ 이하에 거주하며 디자인 직군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20대 1인 가구 1명을 대상으로 관찰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자는 실험 참여자의 행동에 개입하지 않고 조사를 진행하였다. 실험 참여자의 일상 행동에 따라 사용하는 사물, 참여자와 사물 간의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Figure 4의 양식에 기록하고, Figure 5와 같이 Activities, Environment, Interactions, Object, User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Figure 4

Observation data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igure 5

Recomposition of observation data of single-person households

Home 공간 내에서 기록한 일상 행동과 행동에 따라 사용되는 사물을 Figure 6과 같이 정리하였다. 그리고, 기업에서 제공되는 제품의 연결이 아닌, 일상 행동에 따라 실험 참여자가 어떠한 사물과 제품들을 사용하는지의 순서에 초점을 맞추어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Figure 6

Connectivity of things (products) according to the daily behaviors of a participant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experiment

Things (products) related to daily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관찰을 진행한 20대 1인 가구의 경우 물리적 공간의 역할 구분이 불분명하며, 상황에 따라 공간을 복합적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제품들이 집약적으로 위치해 있었다. 일상 행동으로는 거주 공간 내에서 ‘영상 시청’을 가장 오래하였으며, AI 스피커는 제품과 연동시키지 않고 간단한 날씨 정보와 노래를 듣는 용도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1인 가구의 일상 행동과 제품 연결성을 이해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3. 2.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20~30대 1인 가구의 홈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공간 및 제품 구성과 배치를 확인해보고자 진행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며 디자인 직군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20~30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020년 4월 15~18일, 4일에 걸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52개의 답변서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주거 특성은 Table 3과 같으며,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은 침실 50%, 거실 26.9%, 컴퓨터방 9.6%, 서재 5.8% 기타 공간 7.7% 순서였다.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응답자의 86% 이상이 현재 주거 공간에 가지고 있다고 답한 제품은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PC, 전자레인지였다. 이 제품들은 생활 필수 전자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 밖의 보유 제품은 응답 수가 높은 순으로 TV(70%), 인덕션(52%), 가습기(52%), AI 스피커(46%), 공기청정기(42%), 사운드바(38%), 에어프라이기(38%), 셋톱박스(38%), 웨어러블 기기(34%), 커피머신(30%), 김치냉장고(26%), 정수기(24%), 제습기(18%), 운동기기(14%), 빔프로젝터(12%), 로봇청소기(12%), 안마기기(12%), 건조기(10%), 의류관리기(8%), 홈cctv(6%), 식기세척기(2%)였다.

현재 보유한 제품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제품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PC와 TV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영상 콘텐츠 시청’과 ‘인터넷 활동’이 20~30대의 대표적인 여가 활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거나 여가 활동에 사용되는 제품이 대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TV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빔프로젝터’를 설치하여 큰 화면으로 영상 콘텐츠를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피머신’과 ‘소형 냉장고’의 경우 최근 거실 공간에 ‘홈카페’를 만들고자하는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안마기기’와 ‘운동기기’의 경우 집에서 헬스케어를 하려는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Product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앞선 거주 행태 관찰 분석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20~3대 1인 가구의 거실의 형태를 Figure 7(bottom)과 같이 가설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국내 기업이 제시한 홍보자료인 Figure 7(top)의 거실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1인 가구는 경제적인 문제로 넓은 공간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상황에 맞게 스마트센서를 설치하길 원했는데 미세먼지로 인한 공기질 센서와 삼성전자의 거실 솔루션에서 제안된 IP카메라보다는 센서를 통해 외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도어센서를 설치하길 원했다. 결론적으로 20~30대 1인가구는 전통적인 기능의 거실 공간이 아닌 다양한 기능과 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편리성을 추구하는 통합적인 스마트 엔터테인 공간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7

The living room IoT environment based on business scenarios in Korea (top) and a hypothetical living room model reflect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observation and survey (bottom)


4. 행태 및 제품 활용 관계 모델 구성

4. 1. 심층 인터뷰 및 분석

심층 인터뷰는 Figure 7(bottom)의 가설적 모델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온라인 설문조사 참여자 52명 중 전용면적 40㎡ 이하 거주 공간에 거주하며 월 소득이 400만원 이하, 그리고 거주 공간 점유 형태가 월세와 전세인 사람 중에서 9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2020년 5월 8일부터 20일까지 13일간 일대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주거하고 있는 공간의 사진을 제출, 심층 인터뷰 이전에 주거 환경, 제품 정보와 행태 정보를 미리 확인하여 Table 6과 같이 9개의 평면도(색상의 면으로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배경의 검정색 평면도)를 사전에 작성하였다. Table 6은 거주 공간 제품 평면도를 바탕으로 취침 시간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을 고른 결과이다. 그 공간에서 하는 일상 행동과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는 Table 5와 같이 정리하였다.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Analysis

Spaces where daily actions take place using products

인터뷰 대상자 9명 모두 거주 공간 내에서 영상 콘텐츠 시청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긴 이유는 밥을 먹을 때, 화장할 때, 운동할 때, 스마트폰을 할 때 등 다른 행동들을 할 때에도 영상 콘텐츠를 켜 놓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영상을 볼 생각이 없지만 ‘소리’에 대한 니즈가 있어서 켜 놓는 경우도 빈번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천장 조명을 제외하고 추가적인 간접 조명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상황이나 행동에 따라 조명의 쓰임을 다르게 하였다. 거주 공간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은 ‘침대’였다. 이들은 AI 스피커, 스마트 워치, 스마트폰 등에 음성으로 정보를 물어보거나 제어하는 것을 어색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안마기기, 요가매트, 폼롤러, 요가링 등 헬스케어와 관련된 제품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동영상을 참고해서 이 제품들을 사용하는 홈 트레이닝 행동을 자주 보였다.

4. 2. 분석을 통한 20~30대 1인 가구를 위한 형태-사물(제품) 관계 모델

심층 인터뷰를 통해 행태와 제품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만든 홈 IoT 모델은 Figure 8이다. Figure 3과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려고 X, Y축을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검은색 실선은 9명의 인터뷰 대상자 모두가 매일 사용하는 경우, 검은색 점선은 일부 인터뷰 대상자가 매일 사용하는 경우이다. 회색 선은 간헐적 사용을 의미한다.

Figure 8

Behavior-thing (product) relationship model for designing a home IoT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igure 8 모델의 특징은 IoT 시스템의 중심이 ‘AI스피커’와 ‘스마트폰’이 아닌, ‘천장 조명’, ‘간접 조명’, ‘좌식 테이블’, ‘침대/소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천장 조명’과 ‘간접 조명’으로 나누어 모델화한 것 가장 큰 특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는 Figure 3의 ‘블라인드/커튼’ 행태가 관찰되지 않았는데, 공간의 특성 및 사생활 안전의 문제로 커튼을 고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① 밥 먹기, 업무하기, 쇼핑하기, 홈 트레이닝하기, 자기 전 루틴 행동과 제품 간의 관계

20~30대 1인 가구의 홈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이들은 거주 공간 내에서 헬스케어를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자기 전 루틴에 ‘안마기기’가 포함될 수 있었고, 거주 공간 내 행동에 ‘홈 트레이닝하기’가 추가될 수 있었다.

② 청소하기, 설거지하기, 요리하기, 샤워하기, 출근 준비하기 행동과 제품 간의 관계

20~30대 1인 가구의 홈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이들은 거주 공간 내에서 ‘요리하기’와 ‘청소하기’ 행동을 일주일에 3번 이하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요리에 익숙하지 않다 보니 요리를 할 때 스마트폰을 통해 레시피와 시간을 확인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리를 할 때와 청소를 할 때도 AI 스피커를 통해 노래를 트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9명 모두 무선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집이 작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에 대한 니즈를 크게 느끼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복층 원룸에 거주하는 가구의 경우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리고, 세탁감이 적어 일주일에 한번 이하로 불규칙적으로 세탁하는 모습을 보였고, 외출 시에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주거 공간을 관리하고자 하지 않았다.

③ 머리카락 말리기 행동과 제품 간의 관계

20~30대 1인 가구의 홈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이들은 거주 공간 내에서 머리카락을 말릴 때에도 좌식 테이블에 앉아 영상을 시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선풍기가 있는 경우에는 모두 선풍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5. 20~30대 1인 가구를 위한 행태-제품 관계 홈 IoT 시스템 디자인

① 취침하기 재구성

기존 시스템의 취침하기 모델을 Figure 9의 (top)과 같이 새롭게 재구성하고 이에 해당되는 스토리보드는 Figure 9의 (bottom)와 같이 제안하였다. 기존 시나리오에서는 스마트폰은 별개로 사용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포함시키는 것이 일상의 흐름에 더 자연스럽다.

Figure 9

‘Going to sleep’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② 청소하기 재구성

기존 시스템의 청소하기는 외출 시 로봇청소기가 대신해주는 형태였으나, 새롭게 제안하는 시스템은 Figure 10의 (top)과 같이 조명-무선청소기-스피커로 재구성하고, 이에 해당되는 스토리보드는 Figure 10의 (bottom)와 같이 제안하였다.

Figure 10

‘Cleaning’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③ 영상 보기 재구성

Figure 11인 영상 보기의 경우 새롭게 제안하는 시스템인 천장 조명은 끄고 간접 조명을 켜고, tv와 노트북이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영상을 볼 때 스마트폰을 충전시켜놓고, 안마기기를 추가하였다.

Figure 11

‘Viewing video’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④ 홈 트레이닝하기, 출근하기 제안

Figure 12의 ‘홈 트레이닝하기’와 Figure 13의 ‘출근하기’는 기존 시스템에서 볼 수 없었던 행태를 분석을 통해 추가한 것이다. 20~30대 1인 가구에서 ‘홈 트레이닝하기’는 하나의 자연스러운 문화로 보인다. ‘출근하기’ 시스템에 냉장고가 들어 있는 이유는 조사 결과 1인 가구의 거주 공간에서 냉장고가 모두 현관 쪽에 위치하고 냉장고를 메모장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발견하여 추가하였다.

Figure 12

‘Home training’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3

‘Going to work’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4는 앞서 제안한 시스템을 구성한 디자인으로, 20~30대 1인 가구의 대표적인 행태라고 볼 수 있는 ‘외출하기, 취침하기, 영상 보기, 홈 트레이닝하기, 청소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선 굵기는 거주 공간 내에서 행태를 보이는 빈도에 따라 구분하였다. 20~30대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거주 환경 내 행태에 적합한 ‘천장 조명’, ‘간접 조명’, ‘좌식 테이블’이 중심이 되는 IoT 시스템으로 디자인 콘셉트를 구성하였다. 20~30대는 하고자 하는 행동과 상황에 따라 조명을 다르게 사용하는 것에 익숙하며 좌식 테이블과 침대 및 소파에서 하루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IoT 시스템은 기술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품의 구성에서 일상 행동에 기반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하여야 괴리감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4

Home IoT system configuration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6.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를 통해 간과하기 쉬운 일상의 행태를 조명, 전자제품, 가구의 관점으로 재구성하여 일상 행동에 기반한 행태-제품 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20~30대 1인 가구가 주도하는 새로운 홈 라이프스타일 욕구는 기존에 출시된 제품 서비스로는 아직 적절히 충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기능을 제시하는 기술적 접근의 한계점을 실생활 사용 행태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통해 IoT 기반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다섯 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을 디자인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 1인 가구의 행태가 본 연구의 중심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인 혹은 유사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2인 커플 정도까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공간을 한정한 것은 1인 가구의 현실 공간을 고려한 것이며, 만약 공간이 넓다면 이것을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제한한 40㎡ 이하 공간에서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2명 이상이 거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 번째로 서울에 거주하며 디자인 직군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20~30대 1인 가구로 20~30대 1인 가구 전체를 대표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일 것이다. 이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사 대상을 확대하여 제안한 모델로 설명되지 않는 행태를 발견하고 이것을 반영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20~30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IoT 서비스를 실무에서 기획한다면 이러한 접근 방법은 유용할 것이다. 두 번째는 섭외의 어려움으로 인해 설문조사를 위한 사전 연구 관찰조사 대상자가 기간은 길었지만 1명이었다는 점이다. 물론 1명의 결과를 가설적으로 설정하여 설문과 심층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였지만, 인원을 3명 내외의 복수로 하였다면 보다 신뢰도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2A03045669)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S1A5A2A03045669)

Notes

Citation: Kim, K., & Jung, E. -C. (2022). Proposal of IoT System Configuration Design Based on the Behavior-Things Relationship Model: Hom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5(1), 131-149.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 Bisantz, A. M., & Vicente, K. J. (1994). Making the abstraction hierarchy concret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40(1), 83-117. [https://doi.org/10.1006/ijhc.1994.1005]
  • CERP-IoT. (2010), Vision and Challenges for Realising the Internet of Things.
  • Hong, E. J., & Um, J. H. (2015). A Study on Smart Home UX Design Cases in the IoT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Design, 15(4), 33-44.
  • Jang, H.,& Lee, S. (2015).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홈 발전 전망, IITP, Korea.
  • Lee, J., Hyun, A., Lee. S., & Goo, Y. (2017, June.). 사용자가치로 본 사물인터넷 서비스 사례분석 - Home automation hub 중심으로[An Analysis of IoT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User Value : Centered on the Home automation hub]. In Proceedings of KSDS Spring Conference, 114-115.
  • LGERI. (2012). 새로운 홈 라이프스타일로 본 미래 홈 IT 스타일[The Future Home IT style seen as a New Home Lifestyle].
  • KB 금융경영연구소 (2019). 한국 1인 가구 보고서[Report on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 Sim, J. (2017). A study on Application of Smart Layers in Residential Space through User Experience Analy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 Amazon. https://developer.amazon.com.
  • APPLE. http://www.apple.com/kr/ios/homekit/?cid=wwa-kr-features-com.
  • Google. https://store.google.com/kr/product/google_nest_hub.
  • LG Electronics Blog. http://www.lgblog.co.kr/lg-story/lg-product/42200.
  • SamSung 뉴스룸, https://news.samsung.com/kr/?p=173201.
  • SK C&C 블로그, http://skccblog.tistory.com/2426.

Figure 1

Figure 1
Research structure

Figure 2

Figure 2
Home IoT scenario by Samsung Electronics

Figure 3

Figure 3
Behavior-thing (product) relationships of home IoT system based on scenarios of home appliance companies in Korea

Figure 4

Figure 4
Observation data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igure 5

Figure 5
Recomposition of observation data of single-person households

Figure 6

Figure 6
Connectivity of things (products) according to the daily behaviors of a participant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experiment

Figure 7

Figure 7
The living room IoT environment based on business scenarios in Korea (top) and a hypothetical living room model reflect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observation and survey (bottom)

Figure 8

Figure 8
Behavior-thing (product) relationship model for designing a home IoT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igure 9

Figure 9
‘Going to sleep’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0

Figure 10
‘Cleaning’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1

Figure 11
‘Viewing video’ behavior-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2

Figure 12
‘Home training’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3

Figure 13
‘Going to work’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Home IoT system reconfiguration (top), storyboard (bottom)

Figure 14

Figure 14
Home IoT system configuration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Table 1

Analysis of IoT-based smart home services in Korea

구분 삼성전자 LG전자
공통 구성 오브젝트 스마트 TV, AI스피커, 에어컨,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스마트조명, 스마트커튼(블라인드)
차이점 사운드바, IP카메라 스마트 소파
스마트허브 스마트TV, AI스피커
주요 UX 스마트허브 <----> 오브젝트
오브젝트 <----> 오브젝트

Table 2

Things (products) related to daily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일상 행동 사용 사물(제품)
화장하기 스마트폰 - AI스피커 - 책상/의자 - 스탠드 조명 - 거울
세탁하기 세탁기 - 빨래통 - 빨래 건조대 - 제습기 - AI스피커 - 창문
1층 내려오기 계단 - 천장 조명
2층 올라가기 보일러 - 천장 조명 - 계단 조명 - 계단
샤워하기 보일러 - 화장실 조명
외출하기 AI 스피커 - 옷장 - 전신거울 - 거실조명 - 에어팟
TV 시청하기1 소파 - 리모컨 - TV - 셋톱박스 - 마사지기
TV 시청하기2 침대 - 리모컨 - TV - 스마트폰 - 스마트폰 충전기
업무하기 좌식 테이블 - 노트북
휴식하기 침대 - 간접 조명 - 스마트폰 - 스마트폰 충전기
잘 준비하기 스탠드 조명 - 침대 - 가습기 - 스마트폰 - 스마트폰 충전기
밥 먹기 좌식 테이블 - 천장 조명 - 리모컨 - TV - 셋톱박스

Table 3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설문 항목 구분 빈도(명) 비율(%)
현재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의 크기
40m2 이하 28 53.8%
41~60m2 11 21.2%
61~85m2 6 11.5%
86m2 7 13.5%
주거 공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침실 26 50%
거실 14 26.9%
컴퓨터방 5 9.6%
서재 3 5.8%
기타 공간 4 7.7%

Table 4

Product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설문 항목 구분 빈도(명) 비율(%)
현재 가지고 있는
전자제품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제품
PC (노트북/패드) 16 30.8%
TV 13 25%
공기청정기 5 9.6%
AI 스피커 4 7.7%
스타일러 2 3.8%
커피머신 2 3.8%
정수기 2 3.8%
에어프라이기 2 3.8%
가습기 2 3.8%
제습기 2 3.8%
빔 프로젝터 2 3.8%

Tlable 5

Behavior - Product Relationship Analysis

일상 행동 사용 사물(제품)
영상 보기 [tv/노트북/데스크톱/패드]-[소파/침대]-[천장/간접 조명]
밥 먹기 [좌식 테이블] - [tv/노트북/데스크톱/패드]-[천장 조명]
씻기 [보일러] - [스마트폰] - [AI 스피커]-[천장 조명]
운동하기 [TV/노트북/패드] - [요가매트/운동기구] - [천장 조명]
요리하기 [스마트폰]-[AI스피커]-[냉장고/인덕션/전자레인지] - [믹서기/에어프라이기/토스트기] - [천장 조명]
설거지하기 [AI 스피커] - [천장 조명]
청소하기 [AI 스피커] - [무선 청소기] - [천장 조명]
술 마시기 [좌식 테이블] - [tv/노트북/데스크톱/패드] - [간접 조명]
인터넷 쇼핑하기 [스마트폰] - [소파/침대] - [천장/간접 조명]
업무하기 [노트북/데스크톱] - [좌식 테이블] - [천장 조명]
출근 준비하기 [천장 조명] - [AI 스피커] - [옷장] - [전신 거울]
화장하기 [천장 조명] - [좌식 테이블] - [tv/노트북/데스크톱/패드]
머리 말리기 [천장 조명] - [좌식 테이블] [tv/노트북/데스크톱/패드] - [드라이기] - [선풍기]
세탁하기 [천장 조명] - [세탁기] - [소파/침대] - [스마트폰]
자기 전 [간접 조명] - [침대/소파] - [스마트폰]- [충전기]-[안마기기]

Table 6

Spaces where daily actions take place using products